“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보(正甫)@이준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보(正甫) - 원충(元忠)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부(元傅)의 손자. 충선왕(忠宣王)의 총애로 왕씨(王氏)를 하사받아 이름을 왕주(王鑄)로 바꾸고,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추성좌리공신(推誠佐理功臣)에 봉해짐.
1290~133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보(正輔) - 강회숙(姜淮叔)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강시(姜蓍)의 넷째 아들로, 제위장군(諸衛將軍)ㆍ함안 군사(咸安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정보(禎父)@이흥 - 이흥(李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음보(蔭補)로 도원 찰방(桃源察訪)을 지냈으며, 성수침(成守琛)ㆍ민제인(閔齊仁)ㆍ송순(宋純) 등과 계축 갑계(癸丑甲契)를 맺음.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보(禎父)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정보(程普) - 정보(程保)
조선 성종(成宗) 때 광주목(光州牧)에 소속된 아전. 제주(濟州)에서 뭍으로 돌아오는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 최부(崔溥)를 수행하던 중 함께 중국에 표류되었다가 돌아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아전
-
정보(精甫) - 성안의(成安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로 호종한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1~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정보(精甫)@김언건 - 김언건(金彦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동(永同). 온성 판관(穩城判官) 김각(金覺)의 아버지로,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淵嶽書院)에 제향됨.
1511~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정보(貞父)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보(貞甫)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보(靜甫)@유발 - 유발(柳潑)@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시집(玉峯詩集)》에, 그와 이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보(靜甫)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정보(靜甫)@권도 - 권도(權濤)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를 지낸 권세춘(權世春)의 아들. 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며, 유효립(柳孝立)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영사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557~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복(鼎福)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봉(鼎峯) - 김광헌(金光軒)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심언광(沈彥光)과 교유하여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애사(哀辭)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정부(定夫)@김종수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부(定夫)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부(挺夫) - 완위(阮偉)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정부(正夫)@유격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부(正夫)@김우용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부(正夫)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정부(禎夫) - 이흥(李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음보(蔭補)로 도원 찰방(桃源察訪)을 지냈으며, 성수침(成守琛)ㆍ민제인(閔齊仁)ㆍ송순(宋純) 등과 계축 갑계(癸丑甲契)를 맺음.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부(貞夫) - 송세량(宋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여해(宋汝諧)의 아들로, 선릉 참봉(宣陵參奉)ㆍ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 등을 지냄.
1473~15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정부(貞符) - 조동호(趙銅虎)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조려(趙旅)의 아들이자 집의(執義) 조참(趙參)ㆍ상주 목사(尙州牧使) 조적(趙績)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조순(趙舜)의 아버지로, 진산 군수(珍山郡守) 등을 지냄.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정부(靜夫) - 안처근(安處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를 지냈으며, 형인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죄목으로 처형될 때 이에 연좌되어 죽음.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북창(鄭北窓)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분(鄭奮) - 정안(鄭晏)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최우(崔瑀)와 처남ㆍ매부 사이. 최항(崔沆)을 비난한 일로 백령도(白翎島)에 귀양 갔다가 살해됨.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의 행록(行錄)을 지음.
?~125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불우헌(丁不憂軒)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비(定妃) - 정비안씨(定妃安氏)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妃). 본관은 죽산(竹山). 안극인(安克仁)의 딸로, 1366년(공민왕 15) 왕비로 책봉되고, 1390년(공양왕 2)에 왕대비(王大妃)로 봉해짐. 조선 태조(太祖)의 즉위 때 대비 자격으로 옥새를 넘겨줌.
?~142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정비(貞妃) - 정숙왕후(貞淑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妃). 본관은 등주(登州).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낸 최기열(崔基烈)의 딸로, 태조가 정비(貞妃)로 추존하고 태종(太宗)이 정숙(貞淑)의 시호를 더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정비(貞妣)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비(鄭毗) - 정승원(鄭承源)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낸 정해(鄭諧)의 아버지로,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ㆍ지제고(知制誥)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비(靜妃)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빈(正彬)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빈(貞嬪)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사(正思) - 정단몽(程端蒙)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 교재인 《성리자훈(性理字訓)》을 저술함.
1143~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사(精寺) - 월정사(月精寺)
강원도 평창(平昌)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창건했으며, 여러 차례 화재를 겪음.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무는 성지(聖地)로 여겨짐.
643 한국>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정사(靜師)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정사도(鄭思度) - 정사도(鄭思道)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侍墓)한 효성으로 일성군(日城君)에 봉해짐. 최영(崔瑩)을 제거하려는 신돈(辛旽)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烏川君)에 개봉(改封)됨.
1318~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사조(鄭士朝) - 정종명(鄭宗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인ㆍ문신인 정철(鄭澈)의 아들로,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사현(鄭士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사현(鄭思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산(鼎山)@박형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정산(鼎山)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정삼(挺三) - 탁정삼(卓挺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셋째 아들이고, 탁정화(卓挺華)ㆍ탁정항(卓挺恒)의 동생이며,탁정오(卓挺五)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삼봉(鄭三峯)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상(廷相)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상인(政上人)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정상인(靜上人)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정서(呈瑞)@채정서 - 채정서(蔡呈瑞)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 채순(蔡恂)의 아버지로,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정서(呈瑞) - 김인손(金麟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시절 황정(荒政)을 바로잡아 칭송받음.
147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서(廷瑞) - 이원록(李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행(李荇)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李芑)를 비판하고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해 주었으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1514~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정서(程書)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서장사(征西將士) - 김언경(金彦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정서천(鄭西川)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석(廷碩)@윤안국 - 윤안국(尹安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응상(尹應商)의 아들로, 병조 참의(兵曹參議)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함.
1569~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석(廷碩) - 소정(蘇頲)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중서사인(中書舍人)ㆍ익주장사(益州長史) 등을 지내고, 문학에 조예가 깊어 현종의 총애를 받음.
670~72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선(丁仙)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선(靖宣) - 김하(金何)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자지(金自知)의 아들.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 나라 사신을 접대하고 자주 중국에 내왕하였음.
?~14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정성(靖成) - 윤은보(尹殷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ㆍ《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ㆍ《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6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성군(定城君) - 왕석(王奭)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맏아들. 순비 노씨(純妃盧氏)의 소생으로, 1389년(공양왕 1)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391년 하정사(賀正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정송강(鄭松江)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송수(貞松守) - 이석손(李錫孫)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 때에 아들 신창령(新昌令) 이흔(李訢)과 함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고변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수(定叟) - 장표(張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장식(張栻)의 아우이며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연로하여 병들었을 때 그를 면려(勉勵)하는 말을 직접 남겼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수(廷叟) - 김수현(金壽賢)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김진(金鎭)의 아들.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斥和)를 주장함.
1565~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수(廷秀)@염정수 - 염정수(廉廷秀)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형제인 염국보(廉國寶)ㆍ염흥방(廉興邦)과 함께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수(廷秀)@이준 - 이준(李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아들로, 봉화 현감(奉化縣監)ㆍ의흥 현감(義興縣監)ㆍ군자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지냄.
152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정수(廷秀)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수(廷秀)@유정수 - 유정수(柳廷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냈으며, 김종직(金宗直)의 사옥(史獄) 때 항론(抗論)하다 장배(杖配)되었음.
1451~150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정수(正叟) - 구신경(具信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세조(世祖)의 조카사위인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중종(中宗)의 사위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아버지. 춘천 부사(春川府事)ㆍ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냄.
1494~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정수(靜修)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수(靜叟)@유인숙 - 유인숙(柳仁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종사(宗嗣)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賜死)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신원(伸寃)됨.
148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수(靜叟) - 정초(鄭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수붕(鄭壽朋)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수몽(鄭守夢)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수선생문집(靜修先生文集) - 정수집(静修集)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인(劉因)의 시문집. 저자가 직접 교정(校訂)한 시집과 죽은 후 문인과 친구들이 수집한 유문(遺文)을 모아 편찬하고, 순제(順帝) 때 관청에서 간행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정수재(鄭秀才)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수초(鄭遂初)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숙(正叔)@금원정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정숙(正叔)@정이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숙(正叔)@이정숙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숙(正叔) - 민세정(閔世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여성군(驪城君) 민무질(閔無疾)의 증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현감을 지냈고, 기묘사화 때 파출(罷黜)되었다가 함경 도사(咸鏡都事)에 발탁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정숙(正叔)@여대아 - 여대아(余大雅)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부지런히 학문을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으며, 저서에 《주자어록(朱子語錄)》 1권이 있으나 일실(佚失)되어 전하지 않음.
1138~11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숙(正叔)@권격 - 권격(權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춘추관 기주관(春秋官記注官)을 역임했으며《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620~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숙(正叔)@정종아 - 정종아(鄭從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성균생원(成均生員) 정제안(鄭齊安)의 아들. 1453년(단종 1)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낙향하여 독서로 여생을 보냄.
142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무신
-
정숙(正淑)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숙(正淑)@경녕군 - 경녕군(敬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 효빈김씨(孝嬪金氏)의 소생으로,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 태종부터 세조(世祖)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
1395~14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숙(貞叔) - 임대동(林大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나아가 배움. 1474년(성종 5) 생원이 되고,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양계종 - 양계종(楊繼宗)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중관(中官) 및 제신(諸臣) 들의 탐오와 비리를 지적하였으므로 고관들의 미움을 받았으며, 좌첨도어사(左僉都御史) 등을 역임함.
?~148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조인규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숙(貞肅)@정연 - 정연(鄭淵)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정홍(鄭洪)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장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오름. 장령(掌令)이 되었을 때 태종이 철원에 가려는 것을 간하다가 진산(珍山)에 유배됨.
1389~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이탁 - 이탁(李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과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덕이 많고 청렴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으며, 권신 이기(李芑)를 탄핵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이칙 - 이칙(李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성종 때 임사홍(任士洪)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8~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유규 - 유규(柳規)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익대공신(翊戴功臣) 유자광(柳子光)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1~14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 - 김인경(金仁鏡)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시부(詩賦)를 잘하여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됨.
?~123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숙(貞肅)@탁종성 - 탁종성(卓宗成)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문신.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맏아들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숙(靖肅)@성담수 - 성담수(成聃壽)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 때 아버지 성희(成熺)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坡州)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숙(靖肅)@안순 - 안순(安純)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의 개국공신 안경공(安景恭)의 아들로, 판호조사(判戶曹事)ㆍ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국가 재정 관리에 뛰어나 명성을 얻음.
1371~14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정숙(靖肅) - 유방택(柳方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를 지내고,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정숙(靜叔)@윤전 - 윤전(尹烇)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세(尹昌世)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순절함.
1575~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숙(靜叔) - 고형산(高荊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축출함.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