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원(定遠)@귀성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정원(定遠) - 반초(班超)
중국 후한(後漢)의 무신. 반표(班彪)의 아들로, 31년간 서역(西域)에 머물면서 흉노(匈奴)의 지배 아래 있던 국가들을 평정하여 서역도호(西域都護)가 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짐.
32~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원(政院)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정원(正元) - 윤정원(尹正元)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의 죽마고우(竹馬故友)로, 송인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원(正源) - 나식(羅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정(安定).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흥양(興陽)으로 유배되었다가 강계(江界)에서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정원(淨源) - 소환(蘇渙)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禦史)를 지냄. 두보(杜甫)와 시문(詩文)에 대해 논함에 서로 의기(意氣)가 잘 부합했음. 저서에 《소환시(蘇渙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원(貞源) - 심정원(沈貞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세종(世宗) 때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로,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외사촌.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있던 중에 가벼운 실책으로 영주(寧州)로 귀양 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정원(靖原)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정원(靜元) - 권문연(權文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권지(權祉)의 아들이며,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의 동생. 권문해가 먼저 죽은 동생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정원군(定遠君) - 원종(元宗)@조선
조선 후기의 추존왕.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조(仁祖)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국왕
-
정원길(鄭吉元)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원왕(定遠王)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원일기(政院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정원재(鄭圓齋)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원후(定遠侯)@왕필(명) - 왕필(王弼)@명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쌍도(雙刀)를 지니고 다니며 사용하여 ‘쌍도왕(雙刀王)’으로 불렸으며, 원(元) 나라 말기 주원장(朱元璋) 휘하에서 활약하여 여러 전투에서 전공을 올림.
?~139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원후(定遠侯) - 반초(班超)
중국 후한(後漢)의 무신. 반표(班彪)의 아들로, 31년간 서역(西域)에 머물면서 흉노(匈奴)의 지배 아래 있던 국가들을 평정하여 서역도호(西域都護)가 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짐.
32~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월헌(汀月軒) - 전상인(田上人)
조선 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雲谷行錄)》에 〈서야옹전상인권(書野翁田上人卷)〉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정위(丁威)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위(廷位) - 탁정위(卓廷位)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둘째 아들로,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유(貞蕤)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정유왜란(丁酉倭亂) -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선조(宣祖) 30년에 왜군이 임진왜란에 이어 우리나라를 재침략하여 일어난 전란. 1598년(선조 31)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왜군을 격파시킴으로써 7년간 지속된 왜란이 종식됨.
159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유헌(丁游軒)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정육일(鄭六一) - 정육을(鄭六乙)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정여창(鄭汝昌)의 아버지로, 의주 통판(義州通判)ㆍ함길도 병마우후(咸吉道兵馬虞侯)를 지냈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피살당함.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에 추증되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정윤(正倫)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윤부(程允夫)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융진(靜戎鎭)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정은(貞恩)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은옹(程隱翁) - 정복심(程復心)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에 황씨(黃氏)ㆍ보씨(輔氏)의 설(說)을 절충(折衷)하고 장(章)을 나누어 도해(圖解)한 《사서장도(四書章圖)》을 저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읍부군(井邑府君) - 이자성(李自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아버지로, 정읍 감무(井邑監務)를 지내고, 뒤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정의(定懿) - 민공규(閔公珪)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종(高宗) 때의 학자 민인균(閔仁鈞)의 아버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어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의(廷議)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의(貞懿)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의(貞毅)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의(貞義)@채귀하 - 채귀하(蔡貴河)
고려 후기의 문신. 상서(尙書) 채원길(蔡元吉)의 아들로, 인천채씨(仁川蔡氏)의 중시조. 호조 전서(戶曹典書)를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키며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이 됨. 정몽주(鄭夢周)와 친교(親交)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ㅣ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정의(貞義)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정의(靖懿)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의(鼎儀) - 육익(陸釴)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곤산(昆山) 사람으로, 태상경한림시독(太常卿翰林侍讀)을 지내는 등 학문에 뛰어남. 저서인 《만록(漫錄)》에서 환자(宦者) 장안(蔣安)이 경태제(景泰帝)를 죽였다고 서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정의백(鄭義伯)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이(靖夷)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이(靜而)@홍우정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정이(靜而) - 심징(沈澄)
조선 후기의 문신. 진사(進士) 심삼달(沈三達)의 아들로 종사랑(從仕郞)을 지냄. 심언광(沈彦光)의 문적(文蹟)을 모아 신원(伸寃)을 회복하는 장계(狀啓)를 올려 복관(復官)시킴.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정이(靜而)@정지운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정이(靜而)@이상안 - 이상안(李尙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의 별장(別將)이 되어 안주(安州)에서 적과 싸우다가 전사함.
1575~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정이율(鄭而栗) - 정여관(鄭汝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대제학(大提學) 정경세(鄭經世)의 아버지로,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에 추증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정이자(程二子) - 이정(二程)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정주학(程朱學)을 창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이천(程伊川)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익(廷益) - 우겸(于謙)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종(英宗)이 토목(土木)의 변(變)으로 포로가 되자 영종의 아우 대종(代宗)을 옹립하고 수도를 사수하였으며, 다시 돌아온 영종이 복위에 성공한 후 피살됨.
139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익(貞翊) - 이여발(李汝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였으며,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지냄.
1621~16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정익(貞翼) - 황섬(黃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의 아들이며 정탁(鄭琢)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平安道募運使)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
1544~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익(靖翼)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인길(鄭仁吉)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인대선사(定印大禪師) - 지겸(志謙)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낸 전의(田毅)의 아들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사(王師)가 되어 선종(禪宗)을 크게 진흥시킴.
1145~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종교인>승려
-
정인성(鄭寅城)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일(正日)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정일(貞一) - 이소(李素)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하남 소윤(河南少尹)으로, 임지에서 죽음.
755~81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일두(鄭一蠹)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일선생(貞一先生)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정임당(鄭林塘)@정지연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임당(鄭林塘)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임은(程林隱) - 정복심(程復心)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에 황씨(黃氏)ㆍ보씨(輔氏)의 설(說)을 절충(折衷)하고 장(章)을 나누어 도해(圖解)한 《사서장도(四書章圖)》을 저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자(正子) - 최여지(崔與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ㆍ우승상(右丞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관문전 태학사(關文殿太學士)로 치사(致仕)함. 저서에는 《국파집(菊坡集)》이 있음.
1158~123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자(貞子) - 유고지(庾杲之)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를 지낸 일이 있으며, 가세가 청빈(淸貧)하여 조석 때마다 반찬이 오직 부추로 만든 음식뿐이었다고 함.
441~4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자명(鄭子明)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자산(鄭子産)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정자성(鄭自誠)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자어록(程子語錄)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자용(鄭子容)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정자정(鄭子精)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자중(鄭子中)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자진(鄭子眞)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장(鄭莊) - 장공(莊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무공(武公)의 아들. 탁월한 지략과 수완으로 친동생 공숙단(共叔段)이 친모 무강(武姜)과 짜고 반역을 일으키자 일거에 진압하고, 뛰어난 명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정 나라의 전성기를 구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재(定齋)@곽월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정재(定齋)@박태보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재(定齋)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정재(正齋) - 이현익(李顯益)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ㆍ김창협(金昌協)에게서 배우고, 생원시에 장원했으나 향리에 묻혀 학문에 힘씀. 학덕이 높아 세자시강원(世子講院)의 왕자사부(王子師傅)ㆍ진안 현감(鎭安縣監) 등을 지냄.
1678~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貞齋)@이수정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재(貞齋)@박의중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貞齋) - 김인경(金仁鏡)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시부(詩賦)를 잘하여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됨.
?~123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이종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재(靜齋)@조상치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이강 - 이강(李鋼)@이수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둘째 아들. 또한 경력(經歷)을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사위이며, 한백겸(韓百謙)의 고모부.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재(靜齋)@성담년 - 성담년(成聃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성담수(成聃壽)의 동생. 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 - 남언경(南彦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반박하고 양명학(陽明學) 체계를 완성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남언기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재선생일고(貞齋先生逸稿) - 정재일고(貞齋逸稿)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의중(朴宜中)의 문집. 1924년 후손들이 유고를 집일(輯佚)하여 김제(金堤)의 삼송재(三松齋)에서 3권 1책의 목활자로 간행함.
1924 한국>근대 , 전라도>김제 , 문헌>서명
-
정재집(貞齋集) - 정재일고(貞齋逸稿)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의중(朴宜中)의 문집. 1924년 후손들이 유고를 집일(輯佚)하여 김제(金堤)의 삼송재(三松齋)에서 3권 1책의 목활자로 간행함.
1924 한국>근대 , 전라도>김제 , 문헌>서명
-
정적(鄭賊) - 정여립(鄭汝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동래(東萊). 1570년(선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에 재령 군수(載寧郡守) 박충간(朴忠侃)의 밀고로 난을 일으킬 계획이 발각되자 자결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정절(正節) - 강구만(姜九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46년(광종 15)에 문과에 급제한 후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절(貞節)@정양 - 정양(鄭瀁)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정종명(鄭宗溟)의 아들. 간성 군수(杆城郡守) 등을 지내고, 홍석(洪錫) 등과 교유하며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저서로 《어록해(語錄解)》ㆍ《포옹집(抱翁集)》 등이 있음.
1600~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절(貞節)@조려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절(貞節)@이장곤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절(貞節)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절(貞節)@성사제 - 성사제(成思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정승 성유득(成有得)의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과 문형(文衡)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만수산(萬壽山)에 은거한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절(貞節)@정갑손 - 정갑손(鄭甲孫)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형조사(知刑曹事)ㆍ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절(靖節)@이옥 - 이옥(李沃)@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사근(李思謹)의 아버지이며 이승주(李承周)ㆍ이승소(李承召)ㆍ이승려(李承呂)의 증조부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름.
?~1409 한국>고려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정절(靖節)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정절(靖節)@정구 - 정구(鄭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감찰대부(監察大夫) 정양생(鄭良生)의 아들로,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의정부 찬성(議政府贊成)을 지냄.
1350~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절(靖節)@이백강 - 이백강(李伯剛)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이며, 태종(太宗)의 부마(駙馬)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아버지와 함께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태종의 맏딸인 정순공주(貞順公主)과 혼인함.
1381~145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절공(貞節公) - 허기(許麒)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두문동(杜門洞) 현인의 한 사람으로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정절옹(靖節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