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환(趙桓) - 흠종(欽宗)
중국 송(宋)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1125~1127. 휘종(徽宗)의 맏아들. 금(金) 나라 군사의 침공을 받아 휘종과 함께 잡혀가 만주의 유배지에서 죽음.
1100~116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황(釣璜)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조황후(趙皇后) - 조비연(趙飛燕)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의 황후(皇后). 가무(歌舞)에 뛰어난 절세의 미인으로 황후(皇后)의 지위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성제(成帝)가 죽자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조회양(曺淮陽) - 조숙(曺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승로(曺承老)의 아들. 1540년(중종 35)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김인후(金麟厚)ㆍ임운(林芸)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횡(趙竤)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효직(趙孝直)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후(條侯) - 주아부(周亞夫)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장군. 강후(絳侯) 주발(周勃)의 아들로, 문제 때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고, 경제 때는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평정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후(趙煦)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후(趙珝) - 조연수(趙延壽)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
1278~1325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흥(調興) - 유천조흥(柳川調興)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인 종의지(宗義智) 집안의 가신(家臣)으로, 조부 유천조신(柳川調信)과 아버지 유천지영(柳川智永)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조흥문(趙興門) - 조일신(趙日新)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조위(趙瑋)의 아들. 공민왕을 수종하여 원(元) 나라에 갔다가 공민왕이 왕위에 오르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봉해짐. 이후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다가 왕에게 주살당함.
?~135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족경석죽(簇莖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족암(足庵)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족암(足庵)@종령 - 종령(宗聆)
고려 후기의 승려. 원효(元曉)의 무애사상(無㝵思想)을 중시하고, 미수사우(眉叟四友)라 불릴 정도로 문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족암사(足庵師) - 종령(宗聆)
고려 후기의 승려. 원효(元曉)의 무애사상(無㝵思想)을 중시하고, 미수사우(眉叟四友)라 불릴 정도로 문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족한(足閒) - 백인국(白仁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權銓)과 합세하여 축산(丑山)에서 적을 격파함.
1530~161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족한당(足閒堂) - 백인국(白仁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權銓)과 합세하여 축산(丑山)에서 적을 격파함.
1530~161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족헌수재(足軒秀才)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존(存) - 신존(愼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둘째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존광(存光) - 이존광(李存光)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4남인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증손으로, 중종(中宗) 때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최중홍(崔重洪)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존덕사(尊德祠) - 병산서원(屛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63년(철종 14)에 사액됨.
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존도(尊道) - 안존도(安尊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한백당(寒栢堂) 안숭효(安崇孝)의 손자이며, 취우정(聚友亭) 안관(安灌)의 아버지.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존도사(尊道祠) - 호계서원(虎溪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76년(선조 9)에 여강서원(廬江書院)으로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존량(存良)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존비(尊庇) - 이존비(李尊庇)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진(李瑨)의 아들이자,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우(李瑀)와 승려 복구(復邱)의 아버지로, 유경(柳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1233~12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존성(存性)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존성(存性)@조존성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존성재(存誠齋) - 박미(朴楣)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433~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존숙(尊叔) - 심삼달(沈三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징(沈澄)의 아버지로, 1630년(인조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존신(存愼) - 조척(曺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였고, 함창(咸昌)의 원으로 있을 때 함녕루(咸寧樓)를 중수함. 기문(記文)이 종형(從兄)인 조위(曺偉)의 《매계집(梅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존암(存庵) - 유지(劉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기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존암(尊巖) - 이수생(李遂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 본관은 수안(遂安).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으로, 길재(吉再)ㆍ이색(李穡) 등과 함께 수안(遂安)의 표리(票里)에 은거하여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존양(存養)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존양당(存養堂)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존양사(存養祠) - 녹동서원(鹿洞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영암(靈岩)에 건립한 서원. 1713년(숙종 39)에 사액되었으며, 최덕지(崔德之)ㆍ최충성(崔忠成)ㆍ김수항(金壽恒)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16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유적>건물>서원,향교
-
존양재(存養齋)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존오(存吾)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존와(存窩)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존요(尊堯) -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진관(陳瓘)이 지은 역사서. 왕안석(王安石)의 《일록(日錄)》에만 근거하여 개수(改修)한 《신종실록(神宗實錄)》에 대해 비판함.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존요록(尊堯錄) -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진관(陳瓘)이 지은 역사서. 왕안석(王安石)의 《일록(日錄)》에만 근거하여 개수(改修)한 《신종실록(神宗實錄)》에 대해 비판함.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존요집(尊堯集) -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진관(陳瓘)이 지은 역사서. 왕안석(王安石)의 《일록(日錄)》에만 근거하여 개수(改修)한 《신종실록(神宗實錄)》에 대해 비판함.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존유(存裕) - 구존유(具存裕)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 고려에서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존재(存齋)@곽준 - 곽준(郭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완(郭之完)의 아들이며, 배신(裵紳)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김면(金沔)의 막하에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웠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지키다 순국함.
1551~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존재(存齋)@허승 - 허승(許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따라 공부하였으나 끝내 선학(禪學)에 탐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존재(存齋)@기대승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존재(存齋)@조익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존재(存齋)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존재(存齋)@구우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존정(存正) - 김존정(金存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을 당한 김일손(金馹孫)의 후손. 김정오(金定旿)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존중(存中)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졸당(拙堂) - 박총(朴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졸본부여(卒本夫餘)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졸본천(卒本川) - 비류강(沸流江)
평안남도 양덕(陽德)의 오강산(吳江山)과 맹산(孟山) 대모원동(大母院洞)에서 발원하여 대동강(大同江)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평안도>양덕ㅣ평안도>맹산 , 지명>자연지명
-
졸수(拙叟)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졸수재(拙修齋)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졸암(拙庵)@유영순 - 유영순(柳永詢)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배천 군수(白川郡守) 유연(柳埏)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와중에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정유재란 때 복수군(復讐軍)을 조직하기도 함.
1552~16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졸암(拙庵) - 이충작(李忠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후손이며, 당은군(唐恩君) 이휘(李徽)의 아들. 이기(李芑) 등의 보익공신(保翼功臣) 칭호를 삭탈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모친상을 슬퍼하다가 실명(失明)함.
1521~15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졸암(拙菴) - 연온(衍昷)
고려 후기의 승려. 충렬왕(忠烈王)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유경(柳璥)의 증손으로, 학수사선(學首四選)에 참여하여 갑과(甲科)에 합격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졸야(拙爺) - 양희(梁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노정(盧禎)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嶺南)의 삼걸(三傑)이라 일컬어짐.
151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홍성민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이성동 - 이성동(李成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이희안(李希顔)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면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 - 채소권(蔡紹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졸은(拙隱)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졸재(拙齋)@유원지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졸재(拙齋)@노상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졸재(拙齋)@신식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졸재(拙齋)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졸재(拙齋)@혜진 - 혜진(惠眞)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졸재(拙齋)@권오기 - 권오기(權五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극형을 당하자 이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유배됨.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졸재선생문집(拙齋先生文集) - 졸재집(拙齋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원지(柳元之)의 시문집. 12권 6책. 목판본. 15세손인 유종춘(柳宗春) 등이 편집하여 1791년(정조 15)에 초간(初刊)함.
179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졸존재(拙存齋) - 노분(盧昐)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노숙동(盧叔仝)의 아들. 손자 노진(盧禛)의 문집인 《옥계집(玉溪集)》에 묘갈기(墓碣記)가 실려 있음.
1437~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졸탄(拙灘) - 김권(金權)@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全州)로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짐.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강계(江界)ㆍ무안(務安)으로 유배되어 죽음.
1549~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졸헌(拙軒) - 박응복(朴應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의 아들로, 유조순(柳祖詢)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였고, 정유재란 때 왕비를 수안(遂安)까지 호송함
1530~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示+重))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종(宗) - 노종(盧宗)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지인(志仁)이 그를 통해 김인후(金麟厚)에게 시(詩)를 지어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종(徖)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종(從)@유종 - 유종(柳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中宗) 때의 생원 유윤(柳潤)의 아버지로, 봉정대부(奉正大夫)로서 대구부 교수(大丘府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종(悰) - 정종(鄭悰)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해주(海州). 참판 정충경(鄭忠敬)의 아들로 경혜공주(敬惠公主)와 혼인함. 단종(端宗) 초기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지만, 세조(世曹)가 즉위하자 영월에 유배된 뒤 반역죄로 죽음.
?~14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왕실>인척
-
종(悰)@이종 - 무산군(茂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 명빈김씨(明嬪金氏)의 소생으로, 학문은 물론 서예에도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90~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종(淙) - 심종(沈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좌의정을 지낸 심덕부(沈德符)의 아들. 태조(太祖)의 차녀 경선공주(慶善公主)의 남편. 제1차 왕자의 난 때 방간(芳幹)을 도와 난을 성공시킨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종(琮)@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琮)@이종 - 이종(李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 이양필(李良弼)의 아들이자,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영(李瑛)의 형이며, 종실인 춘성령(春城令) 이형(李珩)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종(琮)@왕종 - 왕종(王琮)
고려 원종(元宗)의 아들. 내시 양선(梁善) 등으로부터 어머니인 경창궁주(慶昌宮主)와 함께 맹인 중 종동(終同)을 시켜 충렬왕을 저주한다는 무고를 받고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종(琮)@박종 - 박종(朴琮)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익대공신(翊戴功臣) 박지번(朴之蕃)의 장남으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종(琮) - 유종(劉琮)
중국 후한(後漢) 말의 군웅(群雄). 형주 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의 둘째 아들로, 채모(蔡瑁)와 장윤(張允) 등의 도움을 받아 유표의 군웅 지위를 계승하였으나 적벽(赤壁) 싸움에 앞서 조조(曹操)에게 항복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종(褈)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종(踵)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종(鍾) - 이종(李鍾)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종^엄(終^嚴) - 엄^종(嚴^終)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인 엄안(嚴安)과 종군(終軍)을 함께 부르는 말. 당대에 문학(文學)으로 이름을 날렸던 두 사람을 말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종가(從嘉)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종가(鍾街) - 종로(鍾路)
서울 광화문(光化門)에서 동대문(東大門) 사이의 거리 이름. 조선시대에 종루(鐘樓)가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함. 원래는 광화문에서 종루 사이를 지칭하였음.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종검(宗儉) - 이종검(李宗儉)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로, 아우 이종겸(李宗謙)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하여 이맹전(李孟專)ㆍ김시습(金時習)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종겸(宗謙) - 이종겸(李宗謙)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 일찍 벼슬을 버리고 형 이종검(李宗儉)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종경(宗卿)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경(宗慶)@종경무 - 종경무(宗經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종조국(宗助國)의 아들이며, 종뇌무(宗賴茂)의 아버지. 무등씨(無藤氏)를 배경으로 기반을 닦고 고려와 통교(通交)하였으며,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베풀고 두량(斗量)을 제정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종경(宗慶) - 강종경(姜宗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사인(舍人) 강극성(姜克誠)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냈으며, 성혼(成渾)과 교분이 두터웠고, 특히 역학(易學)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경(宗慶)@이종경 - 이종경(李宗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종경(宗敬) - 조종경(趙宗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팽(趙彭)의 아들로, 전한(典翰)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果川)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95~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경(宗經) - 종경무(宗經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종조국(宗助國)의 아들이며, 종뇌무(宗賴茂)의 아버지. 무등씨(無藤氏)를 배경으로 기반을 닦고 고려와 통교(通交)하였으며,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베풀고 두량(斗量)을 제정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