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우(從愚) - 박종우(朴從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태종(太宗)의 딸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하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종우(從愚)@이종우 - 이종우(李從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김정국(金正國)의 문인. 이언적(李彦迪)ㆍ기준(奇遵)ㆍ송순(宋純)과 함께 동년금방계(同年金榜契)를 설립(設立)함.
14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元) - 최두(崔㞳)
조선 전기의 유학.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종원(宗元)@민종원 - 민종원(閔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천위(驪川尉) 민자방(閔子芳)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元)@박종원 - 박종원(朴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율(殷栗). 우찬성(右贊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元)@유종원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종원(宗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遠) - 신종원(辛宗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낸 신진(辛鎭)의 아들로, 연천 현감(連川縣監)ㆍ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1551~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㽔)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儒) - 민종유(閔宗儒)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 때 삼사우윤(三司右尹)ㆍ전법판서(典法判書)ㆍ감찰대부(監察大夫)를 거쳐 찬성사(贊成事)가 되었으며, 충숙왕 때 복흥군(福興君)에 봉해짐.
1245~132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愈)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裕)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종윤(宗胤)@강종윤 - 강종윤(姜宗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생 강덕윤(姜德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윤(宗胤)@김종윤 - 김종윤(金宗胤)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김극뉴(金克忸)의 아들로,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내고, 병조 참의(兵曹參議)로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종윤(宗胤) - 이종윤(李宗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운림군(雲林君)에 봉해짐.
1563~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종윤(從胤) - 이종윤(李從胤)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사선서 주부(司膳署主簿)를 지낸 이효손(李孝孫)의 아들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ㆍ금성 현령(金城縣令) 등을 지냄.
1428~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종윤(悰胤) - 이종윤(李悰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수(李洙)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종윤(終允) - 권종윤(權終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종은(鍾隱)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종의(宗儀) - 곽종의(郭宗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낸 곽한방(郭翰邦)의 아버지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종의(宗儀)@윤종의 - 윤종의(尹宗儀)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병(兵)ㆍ농(農)ㆍ율력(律曆)ㆍ도상(圖象)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헌종(憲宗)의 부묘(祔廟)와 관련해 《방례고증(邦禮考證)》을 저술함.
1805~18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의(宗誼) - 최세충(崔世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맏아들로,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냄.
1453~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종인(宗仁)@유종인 - 유종인(柳宗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유종례(柳宗禮)의 형.
1516~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종인(宗仁)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인(種仁) - 유종인(柳種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서산유씨(瑞山柳氏) 28세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유섭(柳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종일(宗日) - 유종일(柳宗日)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함(柳諴)의 아들이며, 조계(潮溪) 유종지(柳宗智)의 동생.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가 병문안을 온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종일(從一) - 두회정(竇懷貞)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宰相). 고종(高宗)의 딸인 태평공주(太平公主)와 더불어 당시 태자인 현종(玄宗)의 폐립(廢立)을 모의하였으나 일이 발각되자 자살함.
?~7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자(終子)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자(鍾子) - 종자기(鍾子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백아(伯牙)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하였는데,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연주하지 않으면서, 세상의 음률(音律)을 이해하는 자 없음을 한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종재(宗梓) - 최종재(崔宗梓)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平章事) 최선(崔詵)의 아들이자 최온(崔昷)의 아버지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종전(從㙉) - 안종전(安從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안방형(安邦炯)의 아들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을 지냄.
1493~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정(宗頂) - 권종정(權宗頂)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종주(宗周)@심종주 - 심종주(沈宗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감찰(監察)을 지낸 심금(沈錦)의 아들로,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유학
-
종주(宗周)@정종주 - 정종주(鄭宗周)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옹(鄭雍)의 아들로, 1450년(문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종주(宗周) - 호경(鎬京)
중국 섬서성(陝西省) 장안현(長安縣) 서북쪽에 있던 고대 도시 이름. 주(周) 무왕(武王)이 즉위한 후 풍(豐) 땅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으며, 낙읍(洛邑)과 함께 서주(西周)시대의 양대 도성(兩大都城)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종주(從周) - 지종주(池從周)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서(序)에 이름이 나옴.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종준(宗峻) - 최종준(崔宗峻)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의학자(醫學者). 본관은 동주(東州).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고, 《신집어의촬요방(新集御醫撮要方)》을 지었는데 그 내용의 일부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전함.
?~124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종준(宗準)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중(從衆)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종지(宗之)@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지(宗之)@이계장 - 이계장(李繼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윤문(李允文)의 아들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십여 년간 여러 지방관을 두루 지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1465~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종지(宗之)@정도전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지(宗之)@정효종 - 정효종(鄭孝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24년(중종 19) 이해(李瀣) 등과 함께 용산(龍山)에서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종지(宗之) - 신윤종(申允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ㆍ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에 있는 명원루(明遠樓)를 개축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종지(宗智)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종지(淙之)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종직(宗直)@심종직 - 심종직(沈宗直)
조선 선조~인조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금(沈錦)의 아들이며, 송익필(宋翼弼)의 문인(門人)으로,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제용감 정(濟用監正)ㆍ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종직(宗直)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춘(宗春) - 유종춘(柳宗春)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운(柳澐)의 아들로, 도사(都事)를 지냄. 정유일(鄭惟一)의 《문봉집(文峯集)》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遠接使)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
1720~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종춘(鍾春) - 종리춘(鍾離春)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선왕(宣王)의 부인. 어진 덕의 소유자였으나 단지 모습이 추했다는 이유로 황제(黃帝)의 왕비였던 모모(嫫母)와 더불어 세인들의 비난과 조롱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종태(宗台) - 민경익(閔景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적성 현감(積城縣監) 민우증(閔友曾)의 아들이며, 민보익(閔輔翼)의 형으로,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학(種學)@유종학 - 유종학(柳種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진태(柳振泰)의 아들로, 유정태(柳挺泰)에게 출계(出系)함. 유흡(柳洽)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종학(種學)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종한(宗翰) - 공종한(孔宗翰)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공도보(孔道輔)의 아들. 형부 시랑(刑部侍郎)을 지냈으며, 공자의 46대손으로 《공씨종보(孔氏宗譜)》를 편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해(宗海)@황종해 - 황종해(黃宗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회덕(懷德).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611년(광해군 3) 유생들과 상소하여 정인홍(鄭仁弘)의 전횡을 논박함.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과거를 단념하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게 예학(禮學)을 배움.
1579~164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학자
-
종해(宗海) - 여진(余進)
중국 명(明) 영종(英宗) 때의 학자. 증선지(曾先之)와 함께 《십구사략(十九史略)》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종호(從濩)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종호(從虎) - 김종호(金從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차남으로, 자여도 찰방(自如道察訪)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종효(宗孝)@유숭조 - 유숭조(柳崇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성(大司成)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 저서로 《진일재집(眞一齋集)》이 있음.
1452~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효(宗孝)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후(從厚)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종후(鍾厚) - 김종후(金鍾厚)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민우수(閔遇洙)의 문인(門人).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
1721~17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좌(佐)@유좌 - 유좌(柳佐)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유량(柳亮)의 아들이며, 서원군(西原君) 정총(鄭摠)의 사위로, 전사령(典祀令)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좌(佐)@홍좌 - 홍좌(洪佐)
고려시대의 문신. 시중(侍中) 홍난(洪鸞)의 후손으로 부계홍씨(缶溪洪氏)의 시조이며,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좌(佐) - 고좌(顧佐)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성조를 쫒아 북정(北征)에 참여하고, 좌도어사(左都御史)ㆍ응천부 윤(應天府尹)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좌거(左車)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좌구(左丘)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좌구서(左丘書)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구씨(左丘氏)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좌길(佐吉) - 석전삼성(石田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60~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좌명(佐命) - 전좌명(田佐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좌명(佐明)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좌무(佐武) - 함좌무(咸佐武)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삼척 부사(三陟府使)를 지낸 함헌(咸軒)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좌사(左史)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세(佐世) - 종린(宗璘)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승려. 인종의 아들로, 화엄종(華嚴宗)으로 출가하여 국태사(國泰寺)ㆍ중흥사(重興寺)ㆍ부석사(浮石寺) 등의 주지를 지내고 승통(僧統)이 됨. 입적한 뒤 국사에 추증되었으며, 용인의 서봉사(瑞峯寺) 터에 비(碑)가 남아 있음.
1127~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좌시(佐時) - 남좌시(南佐時)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 밀직부사(密直副使) 권현룡(權玄龍)과 함께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함.
?~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좌씨(左氏)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좌씨전(左氏傳)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씨춘추(左氏春秋)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전(左傳)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치(佐治) - 신비(辛毗)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건의관(建議官). 문제(文帝) 때에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직간(直諫)을 좋아했음. 견거절함(牽裾折檻)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좌태충(左太冲) - 좌사(左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10년의 노력 끝에 위(魏)ㆍ촉(蜀)ㆍ오(吳) 세 나라의 도읍을 노래한 〈삼도부(三都賦)〉를 완성했는데 당시 문단의 영수였던 장화(張華)에게 절찬을 받아 유명해짐.
250?~3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좌한(左韓)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좌해부자(左海夫子)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儔) - 이주(李儔)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주(周)@도공 - 도공(悼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572~B.C.558. 14세에 즉위한 뒤 국가 대정(大政)을 총괄하고 인재(人才)를 등용하여 초(楚) 나라를 꺾고 천하의 패자(覇者)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주(周)@북주 - 북주(北周)
중국 남북조시대의 왕조. 서위(西魏)의 실권가인 우문태(宇文泰)의 조카 우문호(宇文護)가 서위의 공제(恭帝)를 밀어내고 세움. 폭군 선제(宣帝) 대에 이르러 수(隋) 나라의 양견(楊堅)에 의해 멸망함.
557~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주(周) - 허주(許周)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귀룡(許貴龍)의 아들이며 허조(許稠)의 형.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 등 신진세력의 전제(田制) 개혁에 동조하고,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냄.
1359~144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주(宙) - 안주(安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주(柱)@임주 - 임주(任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임내신(任鼐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주(柱)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주(柱)@신주 - 신주(辛柱)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징옥(李澄玉)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로가 있었고, 함경남도 병마절도사(咸鏡南道兵馬節度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주(椆) - 이주(李椆)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아들로, 용재(容齋) 이행(李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주(湊) - 김주(金湊)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낙안(樂安). 고려 말에 양광도(楊廣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고, 조선 초 한양천도(漢陽遷都) 때 종묘ㆍ사직ㆍ궁궐ㆍ관아 등을 짓는 데 공을 세웠으며, 밀양(密陽)의 영남루(嶺南樓)를 창건함.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주(湊)@이주 - 이주(李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유(李洧)의 아들이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의 아버지로,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주(澍)@한주 - 한주(韓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 등을 지냄.
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주(澍)@1534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주(澍)@홍주 - 홍주(洪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사사(三司使)를 지낸 홍융(洪戎)의 아들로,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주(澍)@윤주 - 윤주(尹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152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홍인우(洪仁祐)ㆍ노수신(盧守愼) 등과 교유함. 이량(李樑)에게 아부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당하기도 함.
1525~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주(澍)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