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박승건(朴承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박승륜(朴承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박승리(朴承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풍산 만호(豐山萬戶) 박원지(朴元智)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박승문(朴承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승임(朴承任)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박승약(朴承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 박건(朴楗)의 아들로,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승언(朴承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30년(중종 2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黃海道) 평산(平山)에 우거(寓居)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박승원(朴承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ㆍ박하청(朴河淸)ㆍ박하징(朴河澄)의 아버지로,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승인(朴承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승제(朴承制)
고려 후기의 문인. 김구용(金九容)의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박승종(朴承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선교랑(宣敎郞) 박안세(朴安世)의 아들. 윤인(尹訒)ㆍ이인경(李寅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함.
1562~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승준(朴承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박시용(朴時庸)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의 조부(祖父)로,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냈으며, 운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시행(朴始行)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박중신(朴中信)의 아들이고,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박공달(朴公達)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박식(朴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박중원(朴仲元)의 아들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별시(别詩)와 화답시(和答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박신(朴伸)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덕계집(德溪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신(朴信)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362~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운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신동(朴信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박중검(朴仲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신형(朴信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유호인(兪好仁) 등과 함께 낙동강(洛東江)에서 물놀이했던 내용이 《뇌계집(㵢谿集)》의 〈낙강범주시발(洛江泛舟詩跋)〉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심문(朴審問)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인해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성삼문(成三問) 등 육신(六臣)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살함.
1408~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안경(朴安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박맹지(朴孟智)의 아버지로, 성균생원(成均生員)이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안성(朴安性)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의정 박원형(朴元亨)의 아들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안세(朴安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병조 판서(兵曹判書) 박계현(朴啓賢)의 아들로, 품계(品階)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고 응원군(凝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양(朴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양계(朴良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추밀원사(樞密院事)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과 시문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양좌(朴良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이장(朴而章)의 아버지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폐하였으며 훗날 경기전 참봉(慶基展參奉)ㆍ승선(承宣) 등을 지냄.
1521~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박언(朴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전적(典籍) 박성건(朴成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언계(朴彦桂)
조선 전기의 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정여창(鄭汝昌)ㆍ박한주(朴漢柱)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박언부(朴彦孚)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최충(崔冲)과 함께 태사(太師)를 지낸 후 문하시중(門下侍中)ㆍ도평의사(都評議事)에 이르렀으며,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언상(朴彦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의(文義). 유학 박훤(朴萱)의 아버지로, 교수(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관인>문신
-
박언신(朴彦信)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셋째 아들. 속함대군(速咸大君)에 봉해짐. 함양박씨(咸陽朴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함양ㅣ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박언침(朴彦忱)
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첫째 왕자.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중조(中祖).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왕실>왕자
-
박여량(朴汝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졸재(拙齋) 노상(盧祥)의 문인. 정인홍(鄭仁弘)ㆍ정온(鄭蘊)ㆍ오장(吳長)ㆍ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하고, 지평(持平)ㆍ문학(文學) 등을 지냄.
1554~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여룡(朴汝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면천(沔川)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를 호위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여주(朴汝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우의정을 지낸 박숭질(朴崇質)의 손자로, 1543년(중종 38)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을 지냄.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여헌(朴黎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냄.
1530~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박연(朴演)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남효온(南孝溫)ㆍ강응정(姜應貞) 등과 함께 소학계(小學契)를 만들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으며, 향약(鄕約)을 만듦.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박연폭도(朴淵瀑圖)
조선 영조(英祖) 때의 화가 정선(鄭歚)이 그린 그림. 박연폭포를 실제보다 두 배 가량 늘려 과장되게 그렸으며, 폭포 아래의 고모담(姑母潭)과 그 기슭의 범사정(泛槎亭)을 묘사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박연폭포(朴淵瀑布)
개성 북쪽의 천마산과 성거산 사이의 화강암 암벽에 걸쳐 있는 폭포 이름.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박영(朴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한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내고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영(朴英)@고려
고려시대의 문신.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다섯째 아들인 사벌왕(沙伐王) 박언창(朴彦昌)의 11세손으로, 부정(副正)을 지냄. 충주박씨(忠州朴氏)의 시조.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박영(朴英)@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 성리학(性理學)뿐만 아니라 역학(易學)ㆍ천문(天文)ㆍ의술(醫術)에도 조예가 깊었음.
1471~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박영(朴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호군(副護軍) 박훈(朴塤)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하였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영균(朴永均)
고려 후기의 문신.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재상(宰相)을 지냈으며,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으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영년(朴永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조 판서(吏曹判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이며, 박팽년(朴彭年)ㆍ박인년(朴引年)ㆍ박기년(朴耆年)ㆍ박대년(朴大年)의 아우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등을 지냄. 아버지와 형들과 함께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영덕(朴盈德)
조선 전기의 문인.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무예(武藝)에도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
-
박영석(朴永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찰방(察訪) 박대임(朴大任)의 아버지로, 상서원 판관(尙瑞院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영윤(朴永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선산 부사(善山府使) 박찬(朴璨)의 아들로, 이산 군수(理山郡守)ㆍ서산 군수(瑞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영자(朴永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선산 부사(善山府使) 박찬(朴璨)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岩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영준(朴永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낸 무숙(茂叔) 박조(朴稠)의 아들.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번갈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오름.
1510~15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영충(朴永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요동정벌(遼東征伐) 때 원수(元帥)로서 이성계(李成桂)의 우군(右軍)이 되어 출전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지휘함.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추록(追錄)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영형(朴永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박온(朴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박희중(朴熙中)의 아버지로, 구례 감무(求禮監務)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박옹(朴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옹집(朴雍緝)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박용(朴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인종(仁宗)의 장인. 딸이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이 되었고, 후에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추봉됨.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박용현(朴用賢)
조선 전기의 화가. 본관은 밀양(密陽).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지은 제시(題詩) 〈제화병(題畫屛)〉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박우(朴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이괄(李适)의 난(亂)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쌍령(雙嶺)에서 전사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우(朴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
1476~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박운(朴蕓)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로,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박운(朴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선조(宣祖) 때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493~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박운손(朴雲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어려서 최항(崔恒)과 같이 학문하였으며, 지평현(砥平縣)의 객사(客舍) 중건을 완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박원겸(朴元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1514년(중종 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양근 군수(楊根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원경(朴元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과 왕비 사후 명복을 빌기 위해 짓는 광통 보제선사(廣通普濟禪寺) 공사를 감독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원경(朴原鏡)
고려 우왕(禑王) 때의 재신(宰臣). 현감(縣監)을 지낸 양신지(梁信之)의 처조부(妻祖父)임.
?~13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박원근(朴元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박효순(朴孝順)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문사>유학
-
박원기(朴元基)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지몽(朴之蒙)의 아들이고,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박전(朴全)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박원량(朴元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첨정(僉正) 박난(朴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원량(朴元良)@박흥문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인 박흥문(朴興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박원량(朴元良)@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함께 술을 마시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원령(朴元秢)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박유정(朴惟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박원응(朴源應)
조선 철종(哲宗) 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후손. 박상(朴祥)의 《눌재집(訥齋集)》을 중간(重刊)했으며, 1857년(철종 8)에는 박순(朴淳)의 《사암집(思菴集)》을 전주(全州)에서 중간(重刊)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박원정(朴元貞)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흥군(延興君) 박고(朴翺)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원종(朴元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令議政) 등을 지냄.
1467~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원지(朴元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유학 박승리(朴承李)의 아버지로, 풍산 만호(豊山萬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원후(朴原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청하 현감(淸河縣監) 박지(朴持)의 아버지로, 내섬윤(內贍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위(朴葳)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였으며, 창왕(昌王)을 폐하고 공양왕(恭讓王)을 즉위시키는 데 공을 세움.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유(朴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민헌(朴民獻)의 아버지로, 좌랑(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유동(朴惟棟)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사삼(朴事三)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親交)가 있었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박유문(朴有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1361년(공민왕 10)에 홍건적(紅巾敵)이 침입하여 공민왕이 남천(南遷)할 때 호종한 공으로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유정(朴惟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박원령(朴元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박윤(朴潤)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박계조(朴繼祖)의 아들로, 고령에 죽연정(竹淵亭)을 지어 그곳에서 심성을 도야함. 《남명집(南冥集)》에 〈죽연정증윤진사규(竹淵亭贈尹進士奎)〉라는 작품이 실려 있음.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
-
박윤경(朴潤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의(文義). 박세연(朴世延)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관인>문신
-
박윤문(朴允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참의정승(參議政丞)을 지낸 김태현(金台鉉)의 사위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였으며, 모친상 때 예를 다하여 칭송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윤손(朴閏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한강(漢江) 하류에 만경정(萬景亭)을 짓고 은거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윤신(朴允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장(茂長).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박성번(朴成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문사>유학
-
박윤원(朴胤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김창협(金昌協)ㆍ이재(李縡)ㆍ김원행(金元行)의 학통을 계승하여 홍직필(洪直弼)에게 전수함.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예학(禮學)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저서로 《근재집(近齋集)》ㆍ《근재예설(近齋禮說)》이 있음.
1734~17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
-
박윤후(朴允厚)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무신 박성양(朴成陽)의 아버지로, 중랑장(中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박융(朴融)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부 시랑(禮部侍郞) 박익(朴翊)의 아들이며, 전적(典籍) 박진(朴震)과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버지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아우 박소(朴昭)ㆍ박조(朴調)ㆍ박총(朴聰) 등과 함께 사우당(四友堂)으로 불림.
?~14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응남(朴應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음.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응립(朴應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명종(明宗) 때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박지계(朴智誡)의 아버지로, 수안 군수(遂安郡守)를 지냄.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응복(朴應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의 아들로, 유조순(柳祖詢)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였고, 정유재란 때 왕비를 수안(遂安)까지 호송함
1530~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박응인(朴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의 문인.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ㆍ인의(引儀) 등을 지냄. 작은 아버지 박집(朴緝)에게 입양됨.
1532~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응천(朴應川)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사재감 정(司宰監正) 등을 지냄.
?~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