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서초(朱書抄)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선(周宣)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선(酒仙)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주선광(周宣光) - 주거(周擧)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ㆍ학자. 여남(汝南) 사람으로, 주방(周防)의 아들. 박학다식하고 오경(五經)에 능통하여 유학자들의 종사(宗師)가 됨. 《후한서(後漢書)》에 열전(列傳)이 있음.
?~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선생어류(朱先生語類) - 주자어류(朱子語類)
중국 송(宋) 나라 도종(度宗) 때의 학자인 여정덕(黎靖德)이 이전까지 각각 따로 간행된 주희(朱熹)의 어록(語錄)과 어류(語類)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책. 140권. 1270년에 처음 간행됨.
127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선왕(周宣王)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성(周成) - 성왕(成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2대 왕. 재위 B.C.1042~B.C.1021. 어린 나이에 무왕(武王)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숙부인 주공 단(周公旦)과 소공 석(召公奭)의 보좌를 받아 주 나라의 성세(盛世)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성(朱聖)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숙(周叔)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주순필(周舜弼) - 주모(周謨)@송
중국 송(宋)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효우(孝友)가 깊었고, 상례를 치르는 데 고례(古禮)를 써 많은 사람들이 본받음.
1141~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시(周詩)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주신재(周愼齋)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심경(註心經) - 반야심경(般若心經)
불교 경전(經典)의 하나. 여러 반야경(般若經) 가운데 중심 사상을 간결하게 설한 것으로,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현장(玄奘)의 한역(漢譯)이 가장 널리 알려짐.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라는 문구로 유명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주애(朱崖)@애주 - 애주(崖州)
중국 해남성(海南省) 해남도(海南島) 서남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서 좋은 항구(港口)를 이룸.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중문(仲文)@전기 - 전기(錢起)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문인. 고공낭중(考功郞中)ㆍ태청궁 사(太淸宮使) 등을 지냄. 대력(大歷) 십재자(十才子)의 한 사람으로 오언율시(五言律詩)에 뛰어났으며, 저서로《전중문집(錢仲文集)》10권이 있음.
710~78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중미(仲美)@박지원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민(仲敏) - 송눌(宋訥)
중국 원(元) 말 명(明) 초의 문신ㆍ학자. 학문에 해박하여 명조(明朝)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로 《서은집(西隱集)》이 있음.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민(仲敏)@박사우 - 박사우(朴思愚)
조선 명종(明宗) 때 문신. 본관은 태인(泰仁).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박수량(朴守良)의 아들로, 별제(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중방(仲房) - 위기(魏驥)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남경 이부상서(南京吏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저서에 《남재적고(南齋摘稿)》가 있음.
1374~147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방(仲芳) - 양계성(楊繼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지냄. 엄숭(嚴嵩)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
1516~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보(中父)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中甫)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中甫)@이곡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仲保) - 박용(朴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인종(仁宗)의 장인. 딸이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이 되었고, 후에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추봉됨.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중보(仲父)@관중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보(仲父) - 강회중(姜淮仲)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냄.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
?~144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중보(仲父)@왕도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보(仲父)@이곡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仲甫) - 하위지(河緯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문장이 뛰어나 《역대병요(歷代兵要)》등의 편찬에 참여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141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仲輔)@한중보 - 한중보(韓仲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시의사 통사사인(侍儀司通事舍人)ㆍ중흥무공고 부사(中興武功庫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중보(仲輔)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중보(重甫)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봉(中峰) - 명본(明本)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일본유학승 용산(龍山)의 스승. 인종(仁宗)이 불렀으나 가지 않아 인종이 금문(金紋)가사를 보내고 불자원조광혜선사(佛慈圓照廣惠禪師)라 사호함. 저서에 《광록(廣錄)》이 있음.
1263~132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중봉(仲峰)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봉(重峯)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중봉명본선사(中峰明本禪師) - 명본(明本)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일본유학승 용산(龍山)의 스승. 인종(仁宗)이 불렀으나 가지 않아 인종이 금문(金紋)가사를 보내고 불자원조광혜선사(佛慈圓照廣惠禪師)라 사호함. 저서에 《광록(廣錄)》이 있음.
1263~132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중봉선생문집(重峰先生文集) - 중봉집(重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조헌(趙憲)의 문집. 3책. 목판본. 안방준(安邦俊)이 정리하고, 송시열(宋時烈)이 저자의 증손이자 자신의 제자인 조광한(趙匡漢)과 함께 문집의 초본을 완성하였으며, 1666년(현종 7) 전라 감사인 민유중(閔維重)이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중봉선생항의신편(重峯先生抗義新編) - 항의신편(抗義新編)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조헌(趙憲)의 유문(遺文) 및 행록(行錄)을 수록한 책. 4권 2책. 목판본. 이정귀(李廷龜)와 안방준의 서(序), 조헌의 행적을 나타낸 그림이 실려 있으며, 《중봉집(重峯集)》과 《은봉전서(隱峯全書)》에 수록됨.
162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중부(中父)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夫) - 정중부(鄭仲夫)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170년(의종 24)에 의종이 무신을 학대하는 데에 불만을 품고 정변을 일으켜 임금을 폐하고 정권을 잡은 후 무단 정치를 행하다가 경대승(慶大升)에게 피살됨.
1106~11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중부(仲孚)@나사침 - 나사침(羅士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이성 현감(尼城縣監)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무고(誣告)로 인해 문초(問招)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
152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孚)@배중부 - 배중부(裵仲孚)
고려 후기의 문인. 김덕유(金德儒)ㆍ이직(李稷) 등과 교유함. 《동문선(東文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시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중부(仲孚)@정포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孚) - 이언침(李彦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을사사화 직전에 민제인(閔齊仁) 등이 주관한 중학재(中學齋) 모임에서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회유와 협박에 굴하지 않았으며, 정미년(丁未年)에 서천(舒川)에 유배되어 죽음.
1507~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孚)@채침 - 채침(蔡忱)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정평 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를 지낸 채석경(蔡碩卿)의 아들로, 곤양 군수(昆陽郡守)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중종의 원비(元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반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父)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중빈(仲賓) - 이간(李衎)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절강행성평장정사(浙江行省平章政事) 등을 지내고,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
1245~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중사(仲思)@박제인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중사(仲思)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사(仲思)@임성주 - 임성주(任聖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영조 때 시직(侍直)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 공주(公州) 녹문(鹿門)에 은거함.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하고,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주장함.
1711~17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중산(中山)@악양 - 악양(樂羊)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 때의 장군. 악의(樂毅)의 선조로,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中山)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 영수(靈壽)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중산(中山)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산(中山)@중산보 - 중산보(仲山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신백(申伯)과 함께 임금을 보좌한 어진 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그들을 찬미하는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산(中散)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산공자(中山公子) - 공자모(公子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장자(莊子)》 양왕(讓王)에, “몸은 강과 바다 위에 있어도 마음은 항상 대궐 아래에 있다(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라는 공자모(公子牟)고 이야기가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산대이(中山大耳)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산무령왕(中山武寧王)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중산보(中山父) - 중산보(仲山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신백(申伯)과 함께 임금을 보좌한 어진 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그들을 찬미하는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산왕(中山王)@서달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중산왕(中山王)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산정왕(中山靖王) - 유승(劉勝)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아들.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을 세운 유비(劉備)의 선조(先祖)로 중산정왕(中山靖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산후(中山侯) - 국순(麴醇)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假傳) 〈국순전(麴醇傳)〉의 주인공. 국주(麴酎)의 아들로 태어나 임금의 깊은 총애를 얻어 중산후(中山侯)에 봉해지고 권세를 누렸으나, 치사(致仕)하고 나서 갑자기 죽음.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중상(仲尙) - 이거(李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세순(李世純)의 아들. 허엽(許曄)의 문인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등을 지냈으며 윤인함(尹仁涵)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32~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중상(仲常) - 정구(鄭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감찰대부(監察大夫) 정양생(鄭良生)의 아들로,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의정부 찬성(議政府贊成)을 지냄.
1350~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중상(仲翔) - 우번(虞翻)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문신ㆍ학자. 기도위(騎都尉)로 있으면서 손권(孫權)의 잘못을 거리낌없이 간하다 단양(丹陽) 경현(涇縣)으로 귀양간 뒤에 다시 교주(交州)로 귀양가 죽었음. 역리(易理)에 정통했음.
146~23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서(仲舒) - 이만부(李萬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옥(李沃)의 아들로, 북청(北靑)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
1664~173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학자
-
중서(仲舒)@김중서 - 김중서(金仲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오수 찰방(獒樹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중서(仲舒)@왕중서 - 왕중서(王仲舒)
중국 당(唐) 헌종(憲宗)~목종(穆宗) 때의 문인ㆍ문신. 홍주 자사(洪州刺史)ㆍ중서사인(中書舍人)ㆍ강남서도 관찰사(江南西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한유(韓愈)와 교유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서(仲舒)@동중서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서(重瑞) - 김남득(金南得)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고령김씨(高靈金氏)의 시조(始祖).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중선(仲先) - 위야(魏野)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인ㆍ은자.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섬주(陝州) 동교(東郊)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김.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중선(仲善)@박중선 - 박중선(朴仲善)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5~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중선(仲善)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선(仲宣)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중선(仲宣)@왕찬 - 왕찬(王粲)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학자. 아들 유종(劉琮)을 조조(曹操)에게 귀순시키고 시중(侍中)으로서 제도개혁에 진력함. 학식이 풍부하고 문장에 뛰어나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꼽힘.
177~217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섭(仲燮)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중성(仲城)@홍이평 - 홍이평(洪以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아버지.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구 부사(大邱府使) 등을 지냄.
1463~152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중성(仲成)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중성(仲成)@임훈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성(仲星) - 김응규(金應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종의 신임을 받은 김응기(金應箕)의 아우로, 평안도 향공(鄕貢)으로 삼과(三科)에서 장원하였으나 진사 회시(進士會試)의 과장(科場)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중성(仲誠)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중성(重城) - 적성(積城)
경기도 파주(坡州) 적성면(積城面)과 양주(楊州) 남면(南面) 일대에 해당하던 고을 이름.
경기도>적성 , 지명>행정지명
-
중소(中昭) - 정종(靖宗)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5~1046. 현종(顯宗)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元成王后金氏). 형인 덕종(德宗)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
1018~10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중소(仲昭) - 문익명(文益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8년(명종 13)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중소(仲泝) - 유수(柳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문성군(文城君)에 봉해지고, 성종(成宗)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5~148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중소(仲素)@박숭질 - 박숭질(朴崇質)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윤(府尹) 박훤(朴萱)의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일부러 낙마하여 등청하지 않다가 면직되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재등용됨.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소(仲素)@남상문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소(仲素)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소(仲素)@윤이지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중소(仲紹) - 백중소(白仲紹)
조선 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와 관련된 글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소(仲邵) - 강억(姜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중종실록(中宗實錄)》기주관(記注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손(仲孫)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손멸(仲孫蔑) - 맹헌자(孟獻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어진 대부. 다섯 사람의 벗과 교유하였는데, 스스로 세력 있는 가문임을 염두에 두지 않았고, 세력에 아부하는 세속 사람을 멀리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손하기(仲孫何忌) - 맹의자(孟懿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에게 효(孝)에 대해 물은 일이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수(仲綏)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수(仲遂) - 공자수(公子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장공(莊公)의 서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수광운(重修廣韻)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수대명회전(重修大明會典) - 만력회전(萬曆會典)
중국 명(明) 나라의 행정법전(行政法典). 1587년 신시행(申時行) 등이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수하여 228권, 수(首) 2권으로 간행함.
158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중숙(中叔)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숙(仲叔) - 민공(閔貢)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노병(老病)이 있는데다 집이 가난하여 날마다 저간(猪肝) 한 점씩만을 사먹었는데, 안읍 현령(安邑縣令)이 저간을 충분히 공급하자 안읍에 폐를 끼칠 수 없다며 고을을 떠나버린 고사가 《후한서(後漢書)》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