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숙(仲叔)@이중숙 - 이중숙(李仲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셋째 아들로,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詩山正) 이정숙(李正叔)에 연좌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중숙(重叔)@김응남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숙(重叔)@홍신 - 홍신(洪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창(洪慶昌)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하사(進賀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중숙(重叔) - 조균(趙鈞)@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숙(重叔)@이정하 - 이정하(李鼎夏)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손자.
1652~17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중숙(重淑)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순(中順) - 나흥유(羅興儒)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고사(故事)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 우왕 때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승려 양유(良柔)의 주선으로 석방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중순(仲淳) - 이희량(李希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형으로, 전적(典籍) 등을 지냄.
1511~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순당(中順堂) - 나흥유(羅興儒)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고사(故事)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 우왕 때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승려 양유(良柔)의 주선으로 석방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중술(仲述) - 신승서(申承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신흠(申欽)의 아버지.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구례 현감(求禮縣監)ㆍ개성부 도사(開城府都事) 등을 지냄.
1531~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승(仲升) - 반초(班超)
중국 후한(後漢)의 무신. 반표(班彪)의 아들로, 31년간 서역(西域)에 머물면서 흉노(匈奴)의 지배 아래 있던 국가들을 평정하여 서역도호(西域都護)가 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짐.
32~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중시(仲始)@김중시 - 김중시(金仲始)
고려 후기의 문신. 사보(思補)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중시(仲始) - 김대경(金臺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벼슬이 대제학에 이르렀으며, 문장(文章)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에 시(詩)가 실림.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시(仲時) - 심자(沈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들이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지낸 심전(沈銓)의 형으로 김제 군수(金堤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중신(中信) - 박중신(朴中信)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박시형(朴始亨)의 아버지로, 영흥 판관(永興判官) 등을 지내다가 고향으로 돌아와서 강릉향교(江陵鄕校)를 중건함.
1390~145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중신(仲愼) - 권중신(權仲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신(重臣) - 임중신(任重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권(任權)의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실(仲實)@이욱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실(仲實) - 이오(李塢)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실(仲實)@조신 - 조신(曺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명(明) 나라에 과거를 보러가는 도중, 영광(靈光)의 자은도(慈恩島) 근해에서 풍랑으로 배가 부서져 물에 빠져 죽음.
?~1373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중심(仲深)@민준 - 민준(閔濬)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選錄)됨.
1532~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심(仲深)@정연 - 정연(鄭淵)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정홍(鄭洪)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장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오름. 장령(掌令)이 되었을 때 태종이 철원에 가려는 것을 간하다가 진산(珍山)에 유배됨.
1389~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중심(仲深)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심(仲深)@구준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아(仲雅) - 김공예(金公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낸 차헌(次軒) 김지(金墀)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역임함.
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악(中嶽) - 숭산(嵩山)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북쪽에 있는 산.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로 방위상 중앙에 위치하며,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였고, 소림사(少林寺) 등의 사찰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중악산(中嶽山) - 숭산(嵩山)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북쪽에 있는 산.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로 방위상 중앙에 위치하며,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였고, 소림사(少林寺) 등의 사찰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중안(仲安)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안(仲安)@이중안 - 이중안(李仲安)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안(仲安)@오윤지 - 오윤지(吳允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낸 오치정(吳致精)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중안(仲安)@오흠로 - 오흠로(吳欽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길재(吉再)로부터 학문을 배워 도학에 밝았음.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고 효성으로 이름이 났으며 황주 판관(黃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중암(中庵) - 수윤(守允)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조선에 있을 때 이행(李行)이 소를 타고 노닐던 모습을 담은 〈월하기우도(月下騎牛圖)〉를 그렸는데, 권근(權近)이 기우도(騎牛圖)에 대한 시를 지어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중암거사(中菴居士)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암도사(中巖道士)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중앙(仲昻)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중야(仲野) - 이운(李耘)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형.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9~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약(仲約) - 황박(黃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을사사화 때 권벌(權橃)ㆍ이언적(李彦迪)을 두둔하다 중도부처(中途付處)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언(仲偃) - 유갑(劉韐)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흠종(欽宗) 때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모욕을 당하자 스스로 자결함.
1067~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언(仲彦)@박승준 - 박승준(朴承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중언(仲彦) - 이세우(李世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강직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성종의 신임을 받았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역임함.
1449~149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언(仲言) - 하손(何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시문(詩文)에 뛰어나 범운(范雲)과 망년(忘年)의 교유를 맺고, 건안왕(建安王)ㆍ여릉왕(廬陵王) 등 왕족들의 총애를 받음. 유효작(劉孝綽)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5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중엄(仲淹)@김중엄 - 김중엄(金仲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성종(成宗) 때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뉴(金紐)의 아버지. 왕세자 시절 문종(文宗)의 빈(嬪)이었던 휘빈(徽嬪)의 오빠로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俯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중엄(仲淹)@범중암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엄(仲淹) - 왕통(王通)
중국 수(隋) 나라의 학자. 기본 바탕은 유학에 두고 유ㆍ불ㆍ도 합일을 주장했으며, 제자 중에서 당(唐) 나라의 문무대관이 된 사람들이 많음.
584~617 중국>수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엄(仲淹)@유중엄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중엄(重淹)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중업(仲業) - 강종경(姜宗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사인(舍人) 강극성(姜克誠)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냈으며, 성혼(成渾)과 교분이 두터웠고, 특히 역학(易學)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여(仲輿) - 김광헌(金光軒)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심언광(沈彥光)과 교유하여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애사(哀辭)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중연(仲沿) - 유사(柳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희송(柳希松)의 아들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02~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연(仲淵) - 박미(朴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짐. 장유(張維)ㆍ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
159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연(仲演) - 김중연(金仲演)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김자행(金自行)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ㆍ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열(中悅)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悅)@혜능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중열(仲悅) - 강희(姜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 강징(姜澂)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신창 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함.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悅)@조극공 - 조극공(趙克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계공랑(啓功郞) 조이종(趙李宗)의 아들. 조욱(趙昱)이 서울로 올라가는 조극공에게 영월(寧越)에서 시를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열(仲說)@백유함 - 백유함(白惟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었을 때 당쟁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복직함.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왕을 호종(扈從)했고, 명사(明使) 정응태(丁應泰)를 접반(接伴)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說) - 강희(姜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 강징(姜澂)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신창 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함.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說)@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榮) - 김익휘(金益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개(金鎧)의 아들로, 음보로 사산감역(四山監役)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
1533~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永) - 김수(金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세묵(金世黙)의 아들로, 김세정(金世靜)에게 출계(出系)함. 1572년(선조 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학유(學諭) 등을 지냈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英)@원호 - 원호(元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송수(元松壽)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江原道助防將)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여주(驪州)에서 적병을 무찌르고, 패주하는 왜적을 구미포(龜尾浦)에서 섬멸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중영(仲英) - 각웅(覺雄)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제자. 스승이 입적한 뒤 동문인 야운(野雲) 각우(覺牛)와 함께 중국에서 법을 구하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여러 곳의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를 묻고 깨달음을 얻음. 이색(李穡)이 그의 도를 위하여 〈중영설(仲英說)〉을 지어 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종교인>승려
-
중영(仲郢)@당 - 유중영(柳仲郢)@당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공작(柳公綽)의 아들로, 이부 낭중(吏部郞中)ㆍ형부 상서(刑部尚書) 등을 지내고 학문이 뛰어나 《상서이십사사잠(尙書二十四司箴)》등의 저술을 찬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郢)@조선 - 유중영(柳仲郢)@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을 떨침.
1515~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예(仲豫) - 이태(李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사필(李師弼)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정국(金正國)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중오(仲悟)@심경 - 심경(沈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이발(李潑) 형제가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을 때 장사를 지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정인홍(鄭仁弘)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규탄하다가 유배감.
1556~161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중오(仲悟) - 이언경(李彦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중오(仲悟)@김영남 - 김영남(金穎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김기(金誋)의 아들. 진양 군수(晋陽郡守)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동강(東江)의 왜적을 방어하는 한편, 사천(泗川)에 있는 적을 소탕하고 수천석의 군량미를 서울에 운반하였음.
1547~161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오(重五) - 단오(端午)
음력 오월 오일.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가장 센 길일(吉日)로 여겼으며, 단오떡을 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그네뛰기와 씨름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즐김.
사건>풍속
-
중오(重午) - 단오(端午)
음력 오월 오일.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가장 센 길일(吉日)로 여겼으며, 단오떡을 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그네뛰기와 씨름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즐김.
사건>풍속
-
중오절(重五節) - 단오(端午)
음력 오월 오일.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가장 센 길일(吉日)로 여겼으며, 단오떡을 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그네뛰기와 씨름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즐김.
사건>풍속
-
중옥(仲玉)@남도진 - 남도진(南道振)
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며,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남택하(南宅夏)의 아들.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玩賞)하며 시조(時調)와 가사(歌辭)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
1674~17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중옥(仲玉)@심온 - 심온(沈溫)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세종(世宗)의 장인.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왕조의 창업에 참여함. 태종(太宗) 때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은 뒤 이조 판서(吏曹判書)ㆍ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중옥(仲玉)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중옥(仲玉)@민선 - 민선(閔璿)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상정(閔祥正)의 아들이며, 태조(太祖)의 4남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李芳幹)의 장인. 충혜왕 때 등과하여, 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중온(仲昷)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중온(仲溫)@성중온 - 성중온(成仲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 성준(成俊)이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하자 동생 성경온(成景溫)과 함께 유배지에서 자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중온(仲溫) - 신여종(申汝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거(申據)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중온(仲溫)@김열 - 김열(金說)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김열가김호이마(金說假金鎬以馬)〉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온(仲溫)@김언기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중온(仲溫)@박세후 - 박세후(朴世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5년 하절사(賀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중온(仲韞) - 황기(黃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공조 판서 황형(黃衡)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천거로 대사간에 올랐지만 그의 청탁을 거부하여 길주 목사(吉州牧使)로 좌천되고, 다시 발탁된 뒤 경기 감사(京畿監司)로 재임 중에 사망함.
1498~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중옹(仲翁)@문옹 - 문옹(文翁)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어 촉민(蜀民)을 교화시키고 최초로 국립 학교를 창설함.
B.C.156~B.C.10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옹(仲翁)@소광 - 소광(疏廣)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황태자의 태부(太傅)로 있으면서 관직과 명성이 점차 높아지자 떠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고 하며, 소부(少傅)로 있던 조카 소수(疏受)와 함께 사임하고 낙향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옹(仲雍)@이목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왕(中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요(仲饒) - 이유(李裕)@이배근의아들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선공감 정(繕工監正) 이배근(李培根)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중용(仲容)@홍언박 - 홍언박(洪彦博)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李穡)ㆍ박실(朴實) 등을 뽑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흥왕사(興王寺)의 난 때 피살됨.
1309~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용(仲容)@완함 - 완함(阮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은자. 노장(老莊)의 허무주의(虛無主義)를 주장했고, 숙부인 완적(阮籍)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중용(仲容)@심달원 - 심달원(沈達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참수된 심순문(沈順門)의 아들로, 심형(沈泂)에게 출계(出系)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외방으로 귀양갔다 돌아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내고, 외교문서 작성에 공을 세움.
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중용(仲容)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중용(仲容)@신한 - 신한(申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좌의정을 지낸 신용개(申用漑)의 아들. 유자광(柳子光)의 당여(黨與)로 지목받기도 하였으나, 광주(光州)ㆍ진주(晉州) 등을 잘 다스려 표창을 받았음.
1482~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용현상(中庸賢相) - 호광(胡廣)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부(太傅) 등을 지내고,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元老)로서 모든 정무(政務)를 잘 처리하여 ‘중용(中庸)의 재상’으로 일컬어짐.
91~17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우(仲佑) - 나중우(羅仲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금양군(錦陽君) 나석(羅碩)의 아들. 조선이 건국되자 김제(金提)로 낙향하여 벼슬길에 나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중우(仲又)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중우(仲友)@남궁제 - 남궁제(南宮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돈으로, 연안 부사(延安府使) 등을 지냄. 성혼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15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우(仲友) - 이희옹(李希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중우(仲愚) - 구사안(具思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부마.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孝順公主)를 맞아 능원위(綾原尉)에 봉해졌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經史)에 밝았음.
152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중우(仲愚)@형사보 - 형사보(邢士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형건(邢健)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중욱(仲郁) - 문익주(文益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효렴(孝廉)으로 이후백(李後白)의 천거를 받아 낭천 현감(狼川縣監)ㆍ태인 현감(泰仁縣監)을 지냈으며, 청렴한 목민관으로 칭송받았음.
1535~16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