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운(仲雲)@박제상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중운(仲雲) - 김기손(金驥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중형(仲兄).
1455~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중웅(仲熊) - 주개(周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수의부정(修義副正)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중원(中原)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중원(仲元)@박중원 - 박중원(朴仲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식(朴植)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중원(仲元)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원(仲員) - 배규(裵規)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장이 탁월하여 관서(關西)의 공자(孔子)라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중원(仲源) - 민준(閔濬)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選錄)됨.
1532~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원(仲遠) - 신해(申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둘째 아들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냈으며, 숙부인 신경인(申景禋)의 계후(繼後)가 되어 평원군(平原君)에 봉해짐.
1598~163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중원(仲遠)@정원 - 정원(鄭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로(金安老)의 배척을 받아 외직으로 전전하다가 형조 정랑(刑曹正郞)ㆍ사간(司諫)을 역임하였고, 명종 옹립의 공으로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95~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원(重遠)@하홍도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중원(重遠)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중원경(中原京)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중원도(中原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중원박씨(中原朴氏) - 충주박씨(忠州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신라 경명왕(景明王)의 후손으로 고려 때 부정(副正)을 지낸 박영(朴英)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충주 , 인명>집단>성씨
-
중원소경(中原小京)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중유(仲孺) - 관부(灌夫)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평정할 때 공을 세웠고, 종실(宗室)인 두영(竇嬰)과 교유(交游)함. 사람됨이 호협(豪俠)했으나, 술에 취해 승상 전분(田蚡)이 있는 좌석에서 주사를 부려 처형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중유(仲孺)@곽중유 - 곽중유(霍仲孺)
중국 전한(前漢)의 현리(縣吏). 명장 곽거병(霍去病)의 아버지로, 무제(武帝)의 황후인 위황후(衛皇后)의 언니 위소아(衛少兒)와 밀통(密通)하여 곽거병을 낳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아전
-
중유(仲柔) - 남효의(南孝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1년(중종 6)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중유(仲猷) - 정희보(鄭希輔)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사화(士禍)로 인해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은거하며 평생 학문연구에 힘씀. 문하에서 강익(姜翼) 등 여러 명사들이 배출되었으며, 함양(咸陽)의 당주서원(溏洲書院)에 배향됨.
1488~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중유(仲瑜) - 허곤(許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낸 허지(許芝)의 아들로,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468~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무신
-
중윤(中允) - 이중윤(李中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성주 목사(星州牧使) 이지유(李之柔)의 아들로, 판결사(判決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윤(仲允) - 박중윤(朴仲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양응정(梁應鼎)의 장인으로, 판관(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중윤(仲潤) - 강영(姜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했으며, 안기 찰방(安奇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윤(仲胤) - 구사종(具嗣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용양위 사직(龍驤衛司直) 구숙원(具淑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중윤(仲胤)@이중윤 - 이중윤(李仲胤)
조선 전기의 종친.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둘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의 동생이자 이영윤(李英胤)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중윤(仲胤)@이인손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윤(仲胤)@김기종 - 김기종(金起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으며, 그 평정과정을 《서정록(西征錄)》으로 편찬함.
158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윤(重胤)@윤이손 - 윤이손(尹李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세자익위사 시직(世子翊衛司侍直)을 지낸 윤귀몽(尹龜蒙)의 아들이며, 명종(明宗) 때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윤개(尹漑)의 아버지.
1467~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윤(重胤) - 윤승류(尹承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세종(世宗)의 부마(駙馬)인 윤사로(尹師路)의 손자이며, 성종(成宗)의 부마인 윤섭(尹爕)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함.
1475~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중응(仲應) - 이경희(李慶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장령(掌令) 이경우(李慶祐)의 동생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응(仲膺) - 최희(崔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최천건(崔天健)의 아버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중의(仲儀) - 왕소(王素)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벼슬이 지간원(知諫院)에 이르렀으며 왕에게 직간을 잘 하기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의(仲義)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의(仲誼) - 홍의손(洪義孫)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317년(충숙왕 4)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원(元) 나라에서 감찰어사(監察御史)ㆍ좌사도사(左司都事) 등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 강서성 원외랑(江西省員外郞)으로 나가 임소에서 죽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중이(仲以) - 이건(李健)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자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후사로 들어감.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중이(仲耳) - 최담령(崔聃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덕령(金德齡)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그의 별장(別將)이 되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중이(重耳) - 문공(文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35~B.C.628.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으로, 제(齊) 환공(桓公)에 이어 제후들의 패자(覇者)가 됨.
?~B.C.6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중익(仲益) - 이우직(李友直)@152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선조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부묘제(祔廟祭)를 마치고 정기(呈技)를 관람하자 이를 비판하다 파직되었으며, 다시 등용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익(仲翼)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인(中仁) - 이중인(李中仁)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계(李成桂)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고,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중인(仲仁)@구영안 - 구영안(丘永安)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 등극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둔함.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고, 음양(陰陽)ㆍ추보(推步)ㆍ풍수(風水)ㆍ의술ㆍ선도(仙道)ㆍ불도ㆍ승제(乘除) 등 폭넓은 학문을 연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중인(仲仁) - 이숭원(李崇元)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보정(李補丁)의 아들로,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28~14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인(仲仁)@이성춘 - 이성춘(李成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홍주(洪州). 1555년(명종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정황(丁熿)ㆍ고경명(高敬命) 등과 교유함.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중인(仲仁)@이응원 - 이응원(李應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이륜(李崙)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일(仲一)@이유중 - 이유중(李惟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중(李精中)의 형으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일(仲一) - 윤흠중(尹欽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복(尹復)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중임(仲任)@왕충 - 왕충(王充)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반표(班彪)의 제자이며, 틀에 짜인 유교 사상을 철저히 거부하고 독창성이 넘치는 자유주의적 사상을 추구한 사상적 전환기의 선구자로, 당시의 전통적 정치와 학문을 비판하며 《논형(論衡)》을 저술함.
27~9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임(仲任) - 김만균(金萬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여 삭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축출되자 다시 서용되어 교리 등의 관직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중임(仲任)@이석간 - 이석간(李碩幹)
조선 전기의 유학ㆍ의원. 본관은 공주(公州). 권호문(權好文)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하였으며, 의술(醫術)에 정통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유학
-
중임(仲任)@이광윤 - 이광윤(李光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 등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서 전사한 뒤 종용사(從容祠)에 배향됨.
1545~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양 , 인명>문사>유학
-
중임(重任)@성로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중임(重任) - 윤홍중(尹弘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군수(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중자(仲子) - 진중자(陳仲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은자. 맹자(孟子)는 그를 나라의 제일 큰 선비로 인정하면서도 사람의 윤리를 저버리고 소소한 청렴에 급급했다 하여 비난한 바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중잠(仲潛) - 이지강(李之剛)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둘째 아들로,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이 되어 활약하고, 태종(太宗) 즉위 후 풍기 단속과 공신(功臣)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363~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장(仲將) - 위탄(韋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명필. 문재(文才)가 뛰어나고 글씨를 잘 쓴 것으로 유명함. 특히 묵(製墨)을 잘 만들어 그가 만든 묵을 중장묵(仲將墨)이라 부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중장(仲章)@하위지 - 하위지(河緯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문장이 뛰어나 《역대병요(歷代兵要)》등의 편찬에 참여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141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장(仲章)@위탄 - 위탄(韋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명필. 문재(文才)가 뛰어나고 글씨를 잘 쓴 것으로 유명함. 특히 묵(製墨)을 잘 만들어 그가 만든 묵을 중장묵(仲將墨)이라 부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중장(仲章) - 김관(金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나주 목사(羅州牧使) 김숭조(金崇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중재(中齋) - 조렴(趙廉)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안축(安軸)ㆍ최용갑(崔龍甲)과 함께 원(元) 나라에서 과거에 응시하여 제과(制科)에 급제하였고, 고려에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냄.
1290~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중재(仲材) - 금의(琴椅)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청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재(仲載)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중적(仲積) - 마희경(馬羲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목천(木川).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역학(易學)과 성리학(性理學)를 깊이 연구함.
1525~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중전(仲全) - 신중전(申仲全)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은풍(殷豊).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功)으로 상호군(上護軍) 은산백(殷山伯)에 봉해졌으며,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중정(中正) - 범관(范寬)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산수화가. 어려서 이성(李成)에게 화법을 배웠는데, 특히 설경산수(雪景山水)에 뛰어남. 저서로 《설보(雪譜)》가 있음.
?~102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중정(仲正) - 민시중(閔時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낸 민총(閔叢)의 아들. 여주 목사(驪州牧使)ㆍ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백담집(柏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중정(仲精) - 유덕수(柳德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문옥(柳文沃)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중조(中朝)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조(中祖)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조산(中條山)@수양산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중종(中宗)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종공희대왕(中宗恭僖大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재위 39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이기(李芑) 등이 주관하여 1550년(명종 5)에 간행함.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중종대왕(中宗大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대왕실록(中宗大王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재위 39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이기(李芑) 등이 주관하여 1550년(명종 5)에 간행함.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중종효선황제(中宗孝宣皇帝)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주(仲周) - 이신하(李紳夏)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식(李植)의 아들이며 이여(李畬)의 아버지. 예빈시 정(禮賓寺正)ㆍ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1623~16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중주(仲舟) - 신중주(申仲舟)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本貫)은 고령(高靈).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낸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신숙주(申叔舟)의 형. 지순창군사(知淳昌郡事)를 지내다가 단종이 세조(世祖)에게 양위(讓位)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동생 신말주(申末舟)와 함께 순창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중준(仲峻) - 신급(申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평주부원군(平洲府院君)에 추증된 신화국(申華國)의 아들이며 신립(申砬)의 형. 추천으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되었지만 나가지 않음.
1543~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중지(中之) - 국성(麴聖)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假傳) 〈국선생전(麴先生傳)〉의 주인공. 아버지 국차(麴醝)와 어머니 곡씨(穀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主客郞中)을 지내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湘東侯)에 봉해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중지(仲止)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지(仲止)@한표 - 한표(韓淲)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 한원길(韓元吉)의 아들로, 장천(章泉) 조번(趙蕃)과 함께 ‘이천(二泉)’으로 불림. 저서로 《간천일기(澗泉日記)》 등이 있음.
1159~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유정 - 유정(留正)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광종(光宗) 때 좌승상(左丞相)이 되어 조여우(趙汝愚)ㆍ황상(黃裳)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나,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와의 불화로 인해 파직되었으며, 후에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짐.
1129~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왕흠신 - 왕흠신(王欽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의 문신ㆍ학자. 구양수(歐陽脩)에게 문장을 인정받고, 문언박(文彦博)의 추천으로 벼슬하여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등을 지냄. 저서에 《광풍미집(廣諷味集)》ㆍ《왕씨담록(王氏談錄)》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공풍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 - 전오륜(全五倫)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초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정선(旌善).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右常侍)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瑞雲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ㅣ강원도>정선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지(重之)@종린 - 종린(宗璘)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승려. 인종의 아들로, 화엄종(華嚴宗)으로 출가하여 국태사(國泰寺)ㆍ중흥사(重興寺)ㆍ부석사(浮石寺) 등의 주지를 지내고 승통(僧統)이 됨. 입적한 뒤 국사에 추증되었으며, 용인의 서봉사(瑞峯寺) 터에 비(碑)가 남아 있음.
1127~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중지(重之) - 권득기(權得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89년(선조 2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뒤 예조 좌랑(禮曹佐郞)이 되었으나, 광해군 때 정치가 혼란해지자 사임하고 야인생활을 하다 뒤에 고산도 찰방(高山道察訪) 등을 지냄.
1570~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진(仲珍) - 안현(安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음. 의술에 정통하여 내외 의국(醫局)도 관리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1~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중진(仲珍)@강중진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중진(仲鎭) - 이옥산(李玉山)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복성정(福城正) 이영(李穎)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안양부수(安陽副守)로 봉해졌으나, 뒤에 왕자인 안양군(安陽君)의 호를 피하여 고영(高瀛)으로 고침.
1455~15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중질(仲質)@허광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질(仲質)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중집(仲集)@민광훈 - 민광훈(閔光勳)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부윤(府尹) 민기(閔機)의 아들이며, 민정중(閔鼎重)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종묘서 영(宗廟署令)으로 원손(元孫)을 호위하였으며, 그 공으로 통정(通政)으로 승진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가 됨.
1595~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집(仲集)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중창(仲昌)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창보(仲昌父)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청(中淸) - 김중청(金中淸)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몽호(金夢虎)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조목(趙穆)ㆍ정구(鄭逑)의 문인. 정언(正言)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李元翼)을 탄핵하라는 대북파(大北派) 정인홍(鄭仁弘)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
1567~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초(仲初) - 박충원(朴忠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절사(聖節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제학(大提學)과 예조(禮曹)ㆍ병조(兵曹)의 판서를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