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치(仲稚) - 원중치(元仲稚)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윤조(元允祖)의 아버지이며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사위. 어모장군(禦侮將軍) 충무위 부호군(忠武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중택(仲擇) - 권심언(權審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야옹(野翁) 권의(權檥)의 아들로, 음서(蔭敍)로 거창 현감(居昌縣監)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의 학덕을 받들기 위해 예천(醴泉)에 야옹정(野翁亭)을 지음.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통(仲統) - 중장통(仲長統)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문을 좋아하고 문사(文辭)에 능하며 직언(直言)을 즐겨 비판정신이 투철하였으며, 저서로 《창언(昌言)》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179~2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통(仲通)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중퇴(仲退) - 안섬(安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평(仲平)@권응수 - 권응수(權應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덕신(權德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46~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신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중평(仲平)@조극치 - 조극치(曺克治)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수성(壽城). 조윤성(曺允誠)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함. 서장관(書狀官)으로 연경(燕京)에 다녀오고,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ㆍ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중평(仲平)@이수공 - 이수공(李守恭)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창성(昌城)과 광양(光陽)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갑자사화 때 참살당함.
1464~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평(仲平) - 윤지형(尹止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효손(尹孝孫)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심정(沈貞) 등의 사주를 받아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중평(仲平)@허형 - 허형(許衡)
중국 송(宋) 말~원(元)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학(理學)에 밝았으며, 세조 때 역법을 수정하여 《수시력(授時歷)》을 완성함.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며 평생 교육에 힘씀.
1209~1281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한(仲翰) - 유충정(柳忠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유해(柳瀣)의 아들로, 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뒤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나주(羅州)에 장춘정(藏春亭)을 지음.
150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중항언(中行偃) - 순언(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난서(欒書)와 함께 여공(厲公)을 시해하고 망명해 있던 도공(悼公)을 영립(迎立)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해(仲海) - 강중해(姜仲海)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은사(隱士). 형 강굉(姜肱)과 함께 효행(孝行)과 우애(友愛)로 이름이 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은자
-
중해(衆解)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중행(中行) - 서중행(徐中行)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부사(福建副使)ㆍ강서 포정사(江西布政使)를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17~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행(仲行) - 김중행(金仲行)
조선 전기의 외척ㆍ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넷째 아들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장인.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중향산(衆香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중향성(衆香城)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중향폭포(衆香瀑布) - 구룡폭포(九龍瀑布)
강원도 고성군(高城郡) 외금강 구룡동 골짜기에 있는 폭포. 설악산의 대승폭포(大勝瀑布), 개성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우리나라 3대 폭포 중의 하나이며, 십이폭포ㆍ비봉폭포ㆍ옥영폭포 등과 금강산(金剛山) 4대 폭포로 꼽힘.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중허(仲虛)@권벌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허(仲虛) - 임해(林畡)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으로, 부제학을 지낸 임형수(林亨秀)의 백부.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헌(仲獻) - 남호(南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판(工曹參判) 남응운(南應雲)의 아들로, 1568(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536~? 한국>조선시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현(中顯)@신인보 - 신인보(申仁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州). 영동정(令同正) 신홍(申弘)의 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동당시(東堂試)에 급제하였고,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2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중현(中顯)@장형숙 - 장형숙(張衡叔)
고려 후기의 문신. 전녹생(田祿生)이 서북면 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가 되었을 때 막부(幕府)에서 활동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중현(中顯)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중현(仲賢) - 김제안(金齊顔)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1366년(공민왕 13) 군부좌랑(軍簿佐郞)으로서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에게 사신으로 가서 사명(使命)을 다함. 김정(金精) 등과 신돈(辛旽)을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계획이 탄로나 죽임을 당함.
?~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현(仲賢)@이중현 - 이중현(李仲賢)
조선 전기의 문신.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역임하였으며, 도량이 넓고 백성을 사랑하여 선정(善政)을 베풂.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현(仲顯)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중형(仲衡) - 윤중형(尹仲衡)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제주 목사(濟州 牧使)ㆍ위원 군수(渭原郡守)ㆍ삭주 부사(朔州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중형(重衡) - 권중형(權重衡)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권호문이 55세 되던 해에 금영주(琴韺奏)와 함께 가르침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중호(仲虎)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호(仲虎)@이공인의아들 - 이중호(李仲虎)@이공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공인(李公仁)의 아들이며, 동암(東巖) 이발(李潑)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호(仲虎)@이정의아들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중호(仲豪) - 윤화명(尹化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한(尹瀚)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최항(崔恒)의 《태허정집(太虛亭集)》에 그의 명자(名字)에 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중호(重湖)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홍(仲弘)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홍(仲洪) - 김변(金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김세광(金世光)의 아들. 1535년(중종 30) 급제하여 훈련 참군(訓鍊參軍)ㆍ서산 군수(瑞山郡守) 등을 지냄.
1501~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중화(中和) - 박이온(朴而溫)@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中和)@이겸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김창협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기언정 - 기언정(奇彦鼎)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6대손이며, 덕창군(德昌君) 기정후(奇挺後)의 아들.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중간(重刊)함.
1716~17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정여해 - 정여해(鄭汝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삭주 교수(朔州敎授)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권중화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유종례 - 유종례(柳宗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동서(同壻)이자 김성일(金誠一)의 사돈으로, 습독(習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허흡 - 허흡(許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확(許確)의 아들이며 허항(許沆)의 형으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반충 - 반충(潘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지극한 효행이 알려져, 나라에서 충효로써 정려함. 《약포집(藥圃集)》과 《학사집(鶴沙集)》에 묘지(墓誌)와 비명(碑銘)이 실려 있음.
1508~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중화(仲華)@등우 - 등우(鄧禹)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개국공신.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論功第一)의 공신으로, 삼공(三公)의 하나인 대사도(大司徒)에 임명되고 고밀후(高密侯)에 봉해짐.
2~5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仲華) - 탁영(卓英)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종성(卓宗成)의 아들로, 고종 때 사마시(司馬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화(重華)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중화재(中和齋) - 강응정(姜應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첨지중추부사 강의(姜毅)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성균관 유생 시절 박연(朴演)ㆍ손효조(孫孝祖) 등과 함께 주자(朱子)의 고사에 따라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중회(仲恢) - 안세복(安世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70년(선조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풍저창 직장(豊儲倉直長)을 지내고, 순계군(順溪君)에 봉해짐.
1541~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중회(仲晦)@성세장 - 성세장(成世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감찰(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6~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회(仲晦)@윤선철 - 윤선철(尹先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탁(尹倬)의 아들이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윤경(尹暻)의 아버지로, 부정(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회(仲晦)@허혼 - 허혼(許渾)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주 자사(郢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몸이 병약하여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로 낙향함. 율시(律詩)에 뛰어나고,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의 시를 많이 지음.
791~85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회(仲晦)@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회(仲晦)@윤형 - 윤형(尹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규(尹珪)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추록(追錄)됨.
1388~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회(仲晦)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중회(仲晦)@성세창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중회(重晦)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후(仲厚) - 나덕형(羅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했던 나사돈(羅士惇)의 손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중후(重厚) - 안중후(安重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 안경(安璟)의 아들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내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훈(仲薰)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휘(仲輝) - 조중휘(趙仲輝)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관찰사 조근(趙瑾)의 아들.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냈으며, 학문이 숙성하고 백가(百家)에 밝음.
1445~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흡(仲洽)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중흥(中興) - 두황상(杜黃裳)
중국 당(唐) 숙종(肅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태상경(太常卿)ㆍ문하시랑(門下侍郎)ㆍ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배도(裵度)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
739~80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흥송(中興頌) -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원결(元結)이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이 진압된 뒤 숙종(肅宗)의 공덕(功德)을 송축하며 지은 글. 호남성(湖南省) 기양(祁陽)의 오계(浯溪) 암벽 위에 새겨져 있음.
761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중희(仲姬) - 관도승(管道昇)
중국 원(元) 나라의 화가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부인으로, 특히 묵죽(墨竹)에 뛰어남.
1262~1319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중희(仲熙) - 이문우(李文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이겸(李謙)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중희(仲禧) - 이중희(李仲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현감(縣監) 이굉식(李宏植)의 아들로,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즙(楫)@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즙(楫) - 이즙(李楫)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맏아들이며, 이백(李柏)ㆍ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충훈부 경력(忠勳府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즙(濈) - 유즙(柳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즙(緝) - 왕즙(王緝)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공양왕의 첫째 딸 숙녕궁주(肅寧宮主)와 혼인하였으나, 공양왕이 폐위되기 전 섬으로 귀양감. 조선 태조(太祖)의 서형(庶兄) 사위인 변중량(卞仲良)과 동갑계(同甲契)를 맺어 친분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즙(葺) - 이즙(李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옹진(瓮津). 영흥 부사(永興府使) 이수복(李壽福)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옹진 , 인명>문사>유학
-
증(增)@이원의아들 - 이증(李增)@이원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아들로, 영산 현감(靈山縣監)을 지내고, 후에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덕이 높은 향인(鄕人)들과 우향계(友鄕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증(增)@조선전기 - 이증(李增)@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증(增)@이이의아들 - 이증(李增)@이이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자,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아들이며, 돈녕부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장인.
1453~150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증(增)@이지숙의아들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증(嶒) - 안증(安嶒)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성리학의 이론을 깊이 터득하고 후일에는 실학사상에 심취함.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이후 낙향하여 평생 학문에 전념함.
1494~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증(拯)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증(曾) - 한증(韓曾)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지낸 한장손(韓長孫)의 아들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내고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증(烝) - 왕증(王烝)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제13대 선종(宣宗)의 동생으로, 태위 겸 중서령(太尉兼中書令)을 지내고, 학술에 뛰어났다고 함.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증(璔) - 계양군(桂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좌의정 한확(韓確)의 딸과 혼인함.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증(証) - 왕증(王証)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손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증^안(曾^顔) - 안^증(顔^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안회(顔回)와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증^연(曾^淵) - 안^증(顔^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안회(顔回)와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증경건(曾景建) - 증극(曾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주희(朱熹)가 그의 서(書)와 시(詩)를 얻어서 특별하게 여겼다고 하며, 저서에는 《춘릉소집(春陵小集)》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증광(曾狂)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남풍(曾南豊) - 증공(曾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저서에 《금석록(金石錄)》과 시문집 《원풍유고(元豊遺藁)》가 있음.
1019~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증무(增茂) - 이증무(李增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번(李蕃)의 둘째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증석(曾晳)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석(曾碩) - 이증석(李曾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증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외손자로, 중화 군수(中和郡守)를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증손(曾孫) - 김증손(金曾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황(金黃)과 김벽(金碧)의 아버지. 보천 교수(甫川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증수(增壽) - 이증수(李增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인(李認)의 아버지로, 사옹원 가낭청(司饔院假郎聽)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증씨십장(曾氏十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증영(增榮) - 박증영(朴增榮)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셋째 아들이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박의영(朴義榮)ㆍ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의 아우. 문장으로 유명하고,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증완명(證頑銘)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증자(曾子)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전(曾傳)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