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증전위문정장성(增田衛門正長盛) - 증전장성(增田長盛)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45~161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증천(增泉)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증택지(曾擇之) - 증조도(曾祖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청지(劉淸之)와 교유하다 육구연(陸九淵)에게 사사(師事)하였는데, 1197년 고정(考亭)에서 주자(朱子)를 만나 주자의 제자가 되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화(增華) - 이증화(李增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번(李蕃)의 맏아들이며,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정전(鄭荃)의 사위로, 판관(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지(址) - 노지(盧址)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셋째 아들로, 고려 초에 풍천백(豊川伯)에 봉해짐. 풍천노씨(豊川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지(墀)@조선전기 - 김지(金墀)@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칠언절구(七言絶句) 〈정김군자헌(呈金君子獻)〉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지(墀)@김종손의아들 - 김지(金墀)@김종손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손(金宗孫)의 아들로,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냄.
1455~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지(墀)@이원의아들 - 이지(李墀)@이원의아들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아들로,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를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지(墀)@이계중의사위 - 이지(李墀)@이계중의사위
조선 전기의 종친. 군사(郡事) 이계중(李繼重)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지(持) - 박지(朴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증조부로, 청하 현감(淸河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지(智)@탁지 - 탁지(卓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를 지낸 탁사준(卓思俊)의 맏아들로,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지(智) - 남지(南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경문(南景文)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돈. 문종(文宗) 때 좌의정으로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단종(端宗) 보필에 관한 고명(顧命)을 받았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풍질(風疾)로 인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지(智)@홍지 - 홍지(洪智)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아버지로, 조선 개국 후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의 벼슬을 내렸으나 은거하여 출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지(止) - 안지(安止)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찬성(贊成) 안사종(安士宗)의 아들로, 1445년(세종 27) 권제(權踶)ㆍ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시(詩)ㆍ서(書)에 능하였음.
1377~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지(漬)@김지 - 김지(金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치화(金致和)의 아들로,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을 지냄. 시를 잘 짓고 음율(音律)에도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지(漬) - 이지(李漬)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현군(翼峴君) 이곤(李璭)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지(漬)@민지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지(祉)@송지 - 송지(宋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 송진생(宋辰生)의 아버지로, 서운관 정(書雲觀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지(祉)@권지 - 권지(權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버지. 후에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지(祉)@서지 - 서지(徐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宗中) 때의 문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역임하였으며, 김안로(金安老)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468~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지(祉) - 김지(金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사순(金思順)의 아들로,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지(芝) - 허지(許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를 지낸 허곤(許琨)의 아버지로,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지(贄) - 최지(崔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돈(崔頓)의 아들이며, 최양(崔瀁)의 아버지이고,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의 사위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지(輊) - 김지(金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자흠(金子欽)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지(輊)@남지 - 남지(南輊)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상명(南尙明)의 아들이며, 남계당(南季堂)의 아버지. 1442년(세종 24) 친시 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소윤(少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輊)@유지 - 유지(柳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낸 유자미(柳自湄)의 아들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지간(芝澗) - 이종도(李宗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종손(從孫)이며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김해(金垓)의 휘하(麾下)에서 의병부장(義兵副將)으로 활약함.
1535~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지감국사(智鑑國師)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지감원명(智鑑圓明)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지강(之剛) - 이지강(李之剛)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둘째 아들로,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이 되어 활약하고, 태종(太宗) 즉위 후 풍기 단속과 공신(功臣)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363~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지강(之岡) - 윤지강(尹之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잠(尹岑)의 아들이자, 파성군(坡城君) 윤금손(尹金孫)의 아버지이며, 문효공(文孝公) 어효첨(魚孝瞻)의 사위로, 부승(府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지강(芝岡) - 유순익(柳舜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짐.
1559~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강(芝江)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견(之堅) - 곽지견(郭之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간(郭趕)의 아버지로, 통선랑(通善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지견무애(知見無礙)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지겸(智謙) - 복지겸(卜智謙)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 태봉(泰封)의 마군장군(馬軍將軍)으로 있다가 궁예(弓裔)가 민심을 잃자, 918년에 배현경(裵玄慶)ㆍ신숭겸(申崇謙)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움. 면천복씨(沔川卜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충청도>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지겸(智謙)@심지겸 - 심지겸(沈智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심신겸(沈信謙)ㆍ심인겸(沈仁謙) 등과 형제.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지겸(至謙) - 지겸(志謙)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낸 전의(田毅)의 아들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사(王師)가 되어 선종(禪宗)을 크게 진흥시킴.
1145~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종교인>승려
-
지경(之京) - 이득성(李得城)
조선 전기의 유학.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지경(之慶)@홍지경 - 홍지경(洪之慶)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풍산홍씨(豐山洪氏)의 시조로, 지제고(知製誥) 홍간(洪侃)의 아버지이며, 국학직학(國學直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경(之慶) - 김지경(金之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중종(中宗)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金應箕)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工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19~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지경(支卿)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경(支卿)@원주 - 원주(元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음보(蔭補)로 장사랑(將仕郞)을 제수 받은 뒤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등을 역임함.
1463~149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지경(旨卿)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지계(知誡) - 박지계(朴知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왕자사부(王子師傅)ㆍ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나 취임하지 않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주자학에 조예가 깊고, 저서로 《잠야집(潛冶)》등이 있음.
1573~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공(至公)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지공(誌公) - 지공(指空)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승려. 원(元)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스승임.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승탑(僧塔)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이 부도명(浮圖銘)을 지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지구(之衢)@박형린 - 박형린(朴亨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지구(之衢)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국(持國)@이치 - 이치(李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넷째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지국(持國)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지귀(知歸) - 안지귀(安知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구(安玖)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내고, 《문종실록(文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지남(指南) - 김지남(金指南)
조선 현종(顯宗)~정조(正祖) 때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청(淸) 나라에서 《자초신방(煮硝新方)》을 수입ㆍ번역하고, 《북정록(北征錄)》을 저술하였으며, 《통문관지(通文館志)》편찬에 참여함.
165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역관
-
지남(智男) - 박지남(朴智男)
조선 선조(宣祖) 때 무신ㆍ의병.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아버지 박경신(朴慶新)과 동생 박철남(朴哲男)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충추부 동지(中樞府 同知)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지남(止男) - 김지남(金止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김표(金彪)의 아들로, 경상 감사(慶尙監司) 등을 지냈음. 광해군(光海君)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죽이고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하려는 이이첨(李爾瞻) 일당의 죄상을 폭로함.
1559~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년(知年) - 정지년(鄭知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효종(鄭孝終)의 아버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낼 때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 연구에 전념함.
1395~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지능(至能) - 범성대(范成大)
중국 송(宋)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에 능하여 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ㆍ우무(尤袤)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짐.
1126~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단(之旦)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지달산(只恒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지당(止堂)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대(之岱)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지덕장경정숙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文明大王) - 정종(定宗)@고려
고려의 제3대 왕. 재위 946~949.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호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시도했으나 개경(開京)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함.
923~94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지도(知道)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도론(智度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지락재(至樂齋) - 왕십붕(王十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 주희(朱熹)ㆍ왕응신(汪應辰)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 소동파(蘇東坡)의 시(詩)를 집주(集註)한 《집주분류동파선생시(集註分類東坡先生詩)》로 유명함.
1112~117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란(之蘭)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지량초(只良肖)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지렴(之濂)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령(芝嶺) - 윤의정(尹義貞)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생원. 본관은 덕산(德山).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를 지낸 윤관(尹寬)의 아들로, 1573년(선조 6)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25~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지령후학(芝嶺後學)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로(止老)@남곤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로(止老)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록지적(指鹿之賊) - 조고(趙高)
중국 진(秦) 나라의 환관(宦官). 진시황(秦始皇)이 죽은 뒤 조서를 꾸며 호해(胡亥)를 제2대 황제(黃帝)로 즉위시키고, 이사(李斯)를 죽인 뒤 스스로 정승(政丞)이 되어 횡포를 저지름.
?~B.C.207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지릉(智陵) - 익조(翼祖)@조선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증조부. 1394년(태조 3)에 익왕(翼王)으로 추존되고, 태종(太宗) 때 익조(翼祖)로 추존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함경도>경흥 , 인명>왕실>국왕
-
지릉(知陵)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지리산(地異山)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지마(祇磨) - 지마이사금(祇摩尼師今)
신라 제6대 왕. 재위 112~134. 성은 박씨(朴氏)로,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의 아들. 가야(伽倻)를 공격하고 말갈(靺鞨)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대외적 활동이 뛰어났음.
?~13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지마왕(祇摩王) - 지마이사금(祇摩尼師今)
신라 제6대 왕. 재위 112~134. 성은 박씨(朴氏)로,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의 아들. 가야(伽倻)를 공격하고 말갈(靺鞨)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대외적 활동이 뛰어났음.
?~13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지망(之望) - 윤자운(尹子雲)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경연(尹景淵)의 아들이자 신숙주(申叔舟)의 처남으로, 영의정 등을 지냄.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고려사(高麗史)》편찬에 참여하고, 좌익공신(佐翼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명(智明) - 교지명(喬智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현령(縣令)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으로부터 신군(神君)이라는 칭송을 받음. 혜제(惠帝)가 업(鄴)을 정벌할 때 자신의 계략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趙) 나라로 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지몽(之蒙) - 박지몽(朴之蒙)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원기(朴元基)의 아버지로, 부사정(副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무신
-
지몽(知夢) - 최지몽(崔知夢)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전라도 영암(靈巖) 출신. 복서(卜筮)에 정통하여 태조에게 삼한(三韓)을 통일할 것이라는 해몽을 해주어 지몽(知夢)이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太師)를 지냄.
907~98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지무(之茂) - 이지무(李之茂)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치(李穉)의 둘째 아들로, 이지번(李之蕃)의 아우이자 이지함(李之菡)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아들인 이산보(李山甫)의 공으로 인해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지문(之問) - 송지문(宋之問)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심전기(沈佺期)와 함께 시(詩)로 명성을 떨치며 율시(律詩)의 형식을 완성시킴.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를 지냄.
656~7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미(知微) - 왕저(王著)
중국 오대십국 후주(後周)~송(宋)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송 태종(太宗) 때 한림 시서(翰林侍書)ㆍ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990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미(祇味) - 지마이사금(祇摩尼師今)
신라 제6대 왕. 재위 112~134. 성은 박씨(朴氏)로,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의 아들. 가야(伽倻)를 공격하고 말갈(靺鞨)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대외적 활동이 뛰어났음.
?~13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지방(之芳) - 이지방(李之芳)
중국 청(淸) 나라 세조(世祖)~성조(聖祖) 때의 문신. 오삼계(吳三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화전 태학사(文華殿太學士) 등을 지냄.
1622~1694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번(之蕃)@유지번 - 유지번(柳之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내의(內醫). 명종(明宗) 때 의원 김윤은(金允誾)과 함께 《달학이해방(疸瘧易解方)》을 편집하였으며, 중궁(中宮)의 산실의원(産室醫員)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지번(之蕃) - 박지번(朴之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남이(南怡)의 옥사(獄事)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지번(之蕃)@주지번 - 주지번(朱之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번(之蕃)@이산해의아버지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번(之藩) - 곽지번(郭之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위(郭瑋)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 사성(司成)을 지냄.
1495~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벌포(只伐浦) - 기벌포(伎伐浦)
금강(錦江)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장항읍(長項邑)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 사비성(泗沘城)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
한국>백제 , 충청도>서천 , 지명>자연지명
-
지범(志範)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범재(志範齋)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법(智法) - 보덕(普德)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의 승려. 고구려 말기에 불교가 쇠퇴함을 개탄하고 백제로 건너가 경복사(景福寺)를 짓는 등 부흥활동을 벌임. 이후 신라 열반종의 개조(開祖)가 됨.
한국>고구려 , 평안도>용강 , 인명>종교인>승려
-
지복(之復) - 이지복(李之復)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이태(李迨)의 6대손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된 쌍경당(雙鏡堂)을 복원하고 《월연집(月淵集)》의 부록에 들어 있는 〈쌍경당기사후지(雙鏡堂記事後識)〉를 지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
-
지봉(芝峯)@박효원 - 박효원(朴孝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으로, 성세준(成世俊)의 장인.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나, 임사홍(任士洪) 등과 결탁하여 대신들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지봉(芝峯) - 이수광(李睟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내고, 사신으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왕래하면서 천주교 지식과 서양 문물을 소개하여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봉(芝峰) - 황보인(皇甫仁)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을 지냄.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ㆍ정분(鄭奔)ㆍ이양(李穰)ㆍ조극관(趙克寬)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
1387~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