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지봉선생집(芝峯先生集) - 지봉집(芝峯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수광(李睟光)의 문집. 1633년(인조 11) 아들 이성구(李聖求)와 이민구(李敏求)가 의령(宜寧)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문헌>서명
-
지부(智夫) - 유숭지(劉崇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병부 낭중(兵部郞中)ㆍ호부 낭중(戶部郎中) 등을 역임함.
1154~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비산인(知非山人)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비옹(知非翁)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비자(知非子) - 홍봉세(洪奉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림(洪景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성수침(成守琛) 등과 친교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선조 때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역임함.
1498~157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지빈(之彬) - 박지빈(朴之彬)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낸 박장(朴莊)의 아버지로, 위위시 윤(衛尉寺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지사(芝舍) - 영지정사(靈芝精舍)
경상도 안동(安東) 도산면(陶山面)의 영지산(靈芝山) 남쪽에 있던 정사(精舍). 조선 중종(中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낙향하여 세운 것으로, 이황(李滉)과 교유하던 곳.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누정
-
지사재(志事齋)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지산(之産) - 정지산(鄭之産)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진주(晉州). 목사(牧使)를 지낸 정효안(鄭孝安)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낙향하여 공주(公州)의 동혈(銅岤)에 은거하면서 충과 효를 몸소 실천함.
1423~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산(芝山)@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산(芝山)@김팔원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지산(芝山)@조호익 - 조호익(曺好益)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칭병으로 관직을 거절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유배지에서 학문 및 후학 양성에 힘써 학풍을 크게 진작시킴.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여러 관직을 제수받지만 대부분 사직함.
1545~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산(芝山)@윤민일 - 윤민일(尹民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엄(尹儼)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성혼의 관작을 추탈하려는 정인홍(鄭仁弘)의 음모를 저지하려다 수원 판관(水原判官)으로 좌천됨. 후에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산(芝山)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애(朱崖) - 경주(瓊州)
중국 광동성(廣東省)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송(宋) 나라 때 소식(蘇軾)이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유명하며,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이자 농산물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주애(珠崖) - 애주(崖州)
중국 해남성(海南省) 해남도(海南島) 서남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서 좋은 항구(港口)를 이룸.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주어(朱語) - 주자어류(朱子語類)
중국 송(宋) 나라 도종(度宗) 때의 학자인 여정덕(黎靖德)이 이전까지 각각 따로 간행된 주희(朱熹)의 어록(語錄)과 어류(語類)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책. 140권. 1270년에 처음 간행됨.
127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어사(朱御史) - 주운(朱雲)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괴리 령(槐里令)을 지낼 때 성제에게 상방검(尙方劍)을 빌어 간신 장우(張禹)를 죽일 것을 간하였다가 죽음을 당함. 난간이 부러지도록 붙잡고 간하였다는 절함(折檻) 고사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언륜(周彦倫) - 주옹(周顒)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 공치규(孔稚圭)와 함께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황제가 부르자 나아가 벼슬하다가 다시 돌아가려고 하니까 공치규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거절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역(周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주역괘효경전훈해(周易卦爻經傳訓解) - 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학자인 채연(蔡淵)이 지은 《주역(周易)》해설서. 원래는 4권이었으나 산일되어 지금은 상경(上經)과 하경(下經) 2권만이 남아 있으며, 훈석(訓釋)은 의리(義理)를 밝힌 것이 대부분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역본의정의(周易本義精義) -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주역(周易)》해설서. 12권.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종지(宗旨)로 삼고 여러 학자들의 해설을 참고하여 엮은 책으로, 작자의 9세손인 호공(胡珙) 등이 보집(補輯)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주역주(周易注) - 주역주(周易註)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왕필(王弼)이 지은 《주역(周易)》의 주석서. 10권. 한대(漢代)의 상수(象數) 위주의 역학을 배격하고 의리(義理)를 강조한 책으로, 문장이 간결하고 사상이 심오하여 역학 연구자의 필독서로 꼽힘.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주역참동계주해(周易參同契註解) -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권극중(權克中)의 저서. 도교 사상서로, 위백양(魏伯陽)이 지은《참동계(參同契)》의 주해서(註解書).
163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주염계(周濂溪)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영(朱永) - 김주영(金朱永)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의원(金義元)의 아들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역임하고 상장군(上將軍)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주온(朱溫)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옹(主翁)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주옹(周翁)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주옹(朱翁) - 주매신(朱買臣)
중국 전한(前漢) 무제(漢武帝) 때의 문신. 엄조(嚴助)의 추천으로 무제에게 《춘추(春秋)》를 강설하게 되어 관직에 오름. 회계 태수(會稽太守)가 되어 고향에 돌아가 헤어진 아내와 그의 남편을 도와주었는데 옛 아내가 부끄러워 자살했다고 함.
?~B.C.10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왕(周王)@문왕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왕(周王)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왕(周王)@성왕 - 성왕(成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2대 왕. 재위 B.C.1042~B.C.1021. 어린 나이에 무왕(武王)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숙부인 주공 단(周公旦)과 소공 석(召公奭)의 보좌를 받아 주 나라의 성세(盛世)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왕(紂王)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왕비(周王妃) - 태사(太姒)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비(妃). 무왕(武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강(太姜)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주우원(朱祐杬)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우탱(朱祐樘) - 효종(孝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1487~1505.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비 기씨(淑妃紀氏). 전대의 폐정(弊政)을 숙정하고 명신현량(名臣賢良)을 선용하였으며,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편하는 등 법규를 정비하여 내정에 치적을 쌓음.
1470~150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운곡(朱雲谷)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원(周元)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주원공(周元公)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원장(朱元璋)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원회(朱元晦)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위(珠緯) - 오성(五星)
중국에서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다섯 개 행성(行星)의 통칭. 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화성(火星)ㆍ수성(水星)ㆍ토성(土星)을 일컫는 말로, 각각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앙(中央)에 위치하여 그 방위를 관장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됨.
자연물>천체
-
주유(朱游) - 주운(朱雲)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괴리 령(槐里令)을 지낼 때 성제에게 상방검(尙方劍)을 빌어 간신 장우(張禹)를 죽일 것을 간하였다가 죽음을 당함. 난간이 부러지도록 붙잡고 간하였다는 절함(折檻) 고사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유검(朱由檢) - 의종(毅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1628~1644. 광종(光宗)의 다섯째 아들로, 서광계(徐光啓)를 기용하여 재정을 바로잡으려 하였지만 신하들의 파벌당쟁으로 인해 실패하였으며, 이자성(李自成)이 이끄는 반란군에 수도가 함락되자 자살함.
1610~164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유교(朱由校) - 희종(熹宗)
중국 명(明)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1620~1627. 이 시기에 악명 높은 환관 위충현(魏忠賢)이 조정을 장악하여 나라가 쇠락해짐.
1605~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유왕(周幽王) - 유왕(幽王)
중국 주(周) 나라 제12대 왕. 포사(褒姒)를 총애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견융(犬戎)의 침공을 받아 여산(驪山)에서 살해됨.
?~B.C.77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윤문(朱允炆)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은(酒隱)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을곡(注乙谷) - 주곡(注谷)
경상북도 영양(英陽)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주의(奏議)@육선공주의 -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
중국 당(唐) 나라의 명상(名相) 육지(陸贄)가 황제에게 올린 글을 모아 만든 책. 상소문의 모범이 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주이락(周二樂)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이락당(周二樂堂)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익(柱翼) - 홍주익(洪柱翼)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대원(洪大源)의 아들로, 중종묘(中宗廟)에 배향된 박원종(朴元宗) 등 3인과 숙종묘(肅宗廟)에 배향된 남구만(南九萬) 등 3인을 출향(黜享)시킬 것을 상소하였다가 탄핵받음.
1726~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주익균(朱翊鈞)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인(州人) - 유염(柳琰)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들.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일재(主一齋) - 장흡(張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과거에 급제하여 직비각(直秘閣)을 지내고 치사(致仕)한 후에는 주일재(主一齋)를 지어 학문을 강마(講磨)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임(周姙) - 태임(太任)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강(太姜)ㆍ태사(太姒)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주자(周子)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자(朱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자가례(朱子家禮) - 가례(家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유가(儒家)의 예법 의장(禮法儀章)에 관하여 상술한 책. 8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대전집(朱子大全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문집(朱子文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문집대전(朱子文集大全)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서(朱子書)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주자십회(朱子十悔)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남긴 학설.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주자십훈(朱子十訓)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남긴 학설.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주자어류대전(朱子語類大全) - 주자어류(朱子語類)
중국 송(宋) 나라 도종(度宗) 때의 학자인 여정덕(黎靖德)이 이전까지 각각 따로 간행된 주희(朱熹)의 어록(語錄)과 어류(語類)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책. 140권. 1270년에 처음 간행됨.
127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절요(朱子節要)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주자통서(周子通書) - 통서(通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책.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표리(表裏)를 이루어 윤리적인 면이 강조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학(朱子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주자훈(朱子訓)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남긴 학설.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주재후(朱載垕)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전(周典)@주례 - 주례(周禮)
중국 주(周) 나라의 주공(周公)이 주 나라의 관제(官制)를 기록한 책. 천관(天官)ㆍ지관(地官)ㆍ춘관(春官)ㆍ하관(夏官)ㆍ추관(秋官)ㆍ동관(冬官)으로 직제를 나누어 설명하고,《의례(儀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주전(周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주전(朱全)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전충(朱全忠)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정(主靜) - 유정지(劉定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시문(詩文)에 능함. 저서로 《매재집(呆齋集)》ㆍ《역경도석(易經圖釋)》등이 있음.
1409~146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주정(周鼎) - 김주정(金周鼎)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무신.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 김경량(金鏡亮)의 아들로,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昭勇大將軍左右副都統) 등을 역임하였고, 호두금패(虎頭金牌)를 하사받음.
?~12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주제(周帝)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주조(周祖) - 후직(后稷)
중국 주(周) 왕조의 전설적 시조. 성은 희(姬)이고 이름은 기(棄). 농경신(農耕神)으로, 제곡(帝嚳)의 아내가 된 강원(姜嫄)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잉태하여 낳았다고 함. 후에 요제(堯帝)의 농관(農官)이 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주종(周宗)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종(周宗)@세종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종(周鍾) - 박주종(朴周鍾)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813~18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주주공(朱朱公) - 계(鷄)
닭. 가금(家禽)의 하나로, 민속(民俗)에서 새벽을 알리고 귀신을 쫓는 벽사(辟邪)의 동물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주주사(周柱史)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중선(酒中仙)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주지(注知) - 법지(法知)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음악인. 대나마(大奈麻)를 지냄. 우륵(于勒)으로부터 전수받은 12곡을 5곡으로 간추렸는데, 이 곡은 후에 신라의 대악(大樂)으로 채택됨.
한국>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주지(胄之) - 이주(李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진도(珍島)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 등과 함께 사사(賜死)됨.
146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주진수(朱陳守) - 이원(李瑗)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증손이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인 강녕부정(江寧副正) 이기(李祺)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주천(舟川) - 강유선(康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李洪男)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
1520~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주천고(舟川稿) - 주천유고(舟川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강유선(康惟善)의 시문집. 1책. 목판본. 아들인 강복성(康復誠)이 유문(遺文)을 정리하고, 1607년(선조 40) 한준겸(韓浚謙)ㆍ이심(李愖) 등이 선천(宣川)에서 초간(初刊)함.
160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선천 , 문헌>서명
-
주천후(酒泉侯)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주첨기(朱瞻基) - 선종(宣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5대 황제. 재위 1425~1435. 재위 기간 중 과거법(科擧法)을 고치고 군제(軍制)와 학제(學制)를 개혁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씀.
1398~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체(朱棣) - 성조(成祖)
중국 명(明)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1402~1424.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넷째 아들로, 조카인 혜제(惠帝))에게서 황위를 찬탈하고 수도를 북경(北京)으로 옮김. 여러 차례 대규모 원정(遠征)을 행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대내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국가이념으로 삼음.
1360~142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촌산로(注村散老)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충어재(注蟲魚齋)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주탄(舟灘) - 방유녕(方有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등을 지냄.
1460~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주태(朱泰) - 주재(朱在)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막내아들로, 《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을 편찬하였으며, 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평(周平) - 평왕(平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3대 왕. 재위 B.C.770~B.C.720. 유왕(幽王)의 아들로, 외조부인 신후(申侯)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왕의 제거를 도왔던 서방 이민족 세력이 커지자 낙읍(洛邑)으로 천도함. 이때부터 주 왕실이 약화되어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듦.
?~B.C.720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