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포(州蒲) - 여공(厲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경공(景公)의 아들로, 정(鄭) 나라와 초(楚) 나라를 격퇴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교만하고 포악하여 무도한 짓을 자행하다가 대부 난서(欒書)와 순언(荀偃) 등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함.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주하사(柱下史)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하은(柱下隱)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하인(柱下人)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한(周翰) - 공종한(孔宗翰)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공도보(孔道輔)의 아들. 형부 시랑(刑部侍郎)을 지냈으며, 공자의 46대손으로 《공씨종보(孔氏宗譜)》를 편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행촌(朱杏村) - 주지번(朱之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허(朱虛)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주허후(朱虛侯)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주헌(柱軒) - 임언수(林彦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삼사우사(三司右使) 임성미(林成味)와 문하시중(門下侍中)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로,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주헌(酒軒) - 김준손(金俊孫)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후에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책록됨. 연기김씨(燕岐金氏)의 시조.
1446~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주호왕(周虎王)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황(朱晃)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회암(朱晦菴)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후(周侯)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후(周后)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후조(朱厚照) - 무종(武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505~1521. 홍치제(弘治帝)의 맏아들로, 학문을 좋아했지만 즉위한 후 유희에 빠져서 방탕한 생활로 국력을 낭비함.
1491~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후총(朱厚熜)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흥종(朱興宗)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희조(周姬朝)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죽각(竹閣)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죽간(竹磵) - 강복성(康復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에서 전공을 세우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로 가자(加資)되었으나 난정(亂政)을 행하자 사직함.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호위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저서로 《죽간집(竹磵集)》이 있음.
1550~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죽강(竹岡) - 김보(金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죽강(竹崗) - 변귀수(邊龜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고려가 멸망하자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명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죽계육일 - 죽계육일(竹溪六逸)
중국 당(唐) 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태안부(泰安府) 조래산(徂徠山) 아래 죽계(竹溪)에 모여 날마다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여섯 명의 문인. 이백(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을 말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계(竹溪)@오운 - 오운(吳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함.
1540~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이백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죽계(竹溪)@임열 - 임열(任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참봉 임명필(任明弼)의 아들. 세 번 과거에 급제하여 문명을 떨치고, 대사헌ㆍ공조 판서ㆍ한성부 판윤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0~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안제 - 안제(安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이황(李滉)ㆍ구봉령(具鳳齡)의 문인(門人). 충청 도사(忠淸都事)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운 공(功)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음.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안처성 - 안처성(安處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아들로, 선공감 정(繕工監正)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77~151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 - 마희경(馬羲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목천(木川).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역학(易學)과 성리학(性理學)를 깊이 연구함.
1525~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죽계(竹溪)@문관 - 문관(文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낸 문걸(文傑)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음.
1475~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안축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남궁제 - 남궁제(南宮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돈으로, 연안 부사(延安府使) 등을 지냄. 성혼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15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임희일 - 임희일(林希逸)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ㆍ요주 태수(饒州太守)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장자(莊子)》에 대한 주석서인 《구의(口義)》를 저술함.
1193~127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안경빈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죽계(竹溪)@안한 - 안한(安澣)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심수경(沈守慶)ㆍ송찬(宋贊)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죽계(竹溪)@소수서원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계묘(竹溪廟)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계사(竹溪詞) - 죽계사(竹溪辭)
조선 중종(中宗) 때 풍기 군수(豐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순흥(順興)의 죽계(竹溪)에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사당을 세우고 지은 작품.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작품명
-
죽계서원(竹溪書院)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계안씨(竹溪安氏) - 순흥안씨(順興安氏)
고려 신종(神宗) 때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을 지낸 안자미(安子美)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집단>성씨
-
죽계원(竹溪院)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계원묘(竹溪院廟)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계일(竹溪逸) - 죽계육일(竹溪六逸)
중국 당(唐) 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태안부(泰安府) 조래산(徂徠山) 아래 죽계(竹溪)에 모여 날마다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여섯 명의 문인. 이백(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을 말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계헌(竹溪軒) - 신회(信廻)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자초(自超)와 달공(達空)의 제자로, 혜근(惠勤)이 다녀온 중국 강절(江浙) 지방을 유람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죽곡(竹谷) - 박양계(朴良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추밀원사(樞密院事)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과 시문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죽곡(竹谷)@이장영 - 이장영(李長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성균관 유생 시절에 관노(館奴)와 소란을 피운 군졸을 구타하였다가 의금부에 하옥됨. 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죽곡(竹谷)@임회 - 임회(林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였고, 임억령(林億齡)ㆍ백광훈(白光勳)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죽교(竹橋) - 선죽교(善竹橋)
경기도 개성(開城) 선죽동(善竹洞)에 있는 돌다리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말에 정몽주(鄭夢周)가 이방원(李芳遠)이 보낸 조영규(趙英珪)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
91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기타시설
-
죽궁(竹宮) - 감천궁(甘泉宮)
중국 진(秦) 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B.C.220년에 짓기 시작하여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완성한 궁전. 섬서성(陝西省) 감천산(甘泉山)에 고광궁(高光宮)ㆍ영풍관(迎風館)ㆍ통천대(通川臺) 등을 증축하여 12궁(宮)ㆍ11대(臺)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양웅(楊雄)의 《감천부(甘泉賦)》에 그 위용이 묘사되어 있음.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죽당(竹堂)@신혼 - 신혼(申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냈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죽당(竹堂) - 신숙서(申淑胥)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端宗)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 동무(東撫)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죽당(竹堂)@유진동 - 유진동(柳辰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ㆍ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했음. 문사(文詞)에 뛰어났으며, 죽화(竹畵)를 잘 그렸음.
1497~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죽당(竹堂)@정복주 - 정복주(鄭復周)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조부. 연안 도호부사(廷安都護府使)ㆍ전농시 판사(典農寺判事)를 지내고,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하사받음.
136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죽당(竹堂)@윤인함 - 윤인함(尹仁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경주(慶州)가 함락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함. 문장과 그림에 능하고, 특히 대나무를 잘 그림.
1531~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죽로(竹老)@김광준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로(竹老)@탁신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죽로(竹老)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죽록정(竹綠亭) - 송강정(松江亭)
조선 영조(英祖) 때 정철(鄭澈)의 후손들이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정자. 원래는 정철이 낙향한 후 은거하며 〈사미인곡(思美人曲)〉ㆍ〈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을 집필했던 초막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전라도 담양군(潭陽郡)에 속함.
177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누정
-
죽루(竹樓) - 죽서루(竹西樓)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승휴(李承休)가 강원도 삼척(三陟) 성내동(城內洞)에 세운 누각.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조선 태종(太宗) 때 김효손(金孝孫)이 중수(重修)함.
1275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유적>건물>누정
-
죽림(竹林)@죽림칠현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림(竹林)@남언기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림(竹林) - 권산해(權山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죽림(竹林)@조수문 - 조수문(曺秀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함양 군수(咸陽郡守) 조호(曺浩)의 아버지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隱居)하며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호남(湖南)의 유학 발전에 기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죽림(竹林)@이종유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죽림거사(竹林居士)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죽림명사(竹林名士)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림사(竹林寺) - 표충사(表忠寺)
신라 때 원효(元曉)가 경상도 밀양(密陽)에 건립한 사찰. 흥덕왕(興德王) 때 황면(黃面)이 재건하여 영정사(靈井寺)라 개칭하고, 조선 정조(正祖) 때 표충사(表忠祠)를 돌본 이후 표충사(表忠寺)라 불림.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찰
-
죽림사(竹林祠) - 도동서원(道東書院)@목천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목천(木川)에 건립된 서원. 1676년(숙종 2)에 사액되고, 주자(朱子)ㆍ정구(鄭逑)ㆍ김일손(金馹孫)ㆍ황종해(黃宗海) 등을 배향함.
164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림수(竹林守) - 이영윤(李英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셋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ㆍ이중윤(李仲胤)의 아우.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영모(翎毛)ㆍ화조(花鳥)ㆍ말 그림에 뛰어남.
156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죽림정(竹林亭)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죽림처사(竹林處士) - 박경(朴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박응현(朴應鉉)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죽림칠(竹林七)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림칠자(竹林七子)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림칠현(竹林七賢)@조선 - 청담파(淸談派)
조선 전기 유학계(儒學界)의 한 파. 중국 진(晉) 나라의 죽림칠현(竹林七賢)을 모방하여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 7명이 모여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함.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음.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집단>조직
-
죽림현(竹林賢)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봉(竹峯) - 강휘정(姜徽鼎)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의 문인.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34~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죽사(竹舍) - 정이청(鄭以淸)
조선 전기의 문신. 성균생원(成均生員) 정교(鄭僑)의 아들로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냄.
1498~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죽산군(竹山君)@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죽산군(竹山君)@관미생 - 관미생(管尾生)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처사 관술(管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죽산군(竹山君)@박지번 - 박지번(朴之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남이(南怡)의 옥사(獄事)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죽산군(竹山君) - 박문요(朴文瑤)
고려 후기의 문신. 지제교(知制敎) 등을 역임하였으며, 죽산군(竹山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죽산부원군(竹山府院君)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서(竹西) - 심종직(沈宗直)
조선 선조~인조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금(沈錦)의 아들이며, 송익필(宋翼弼)의 문인(門人)으로,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제용감 정(濟用監正)ㆍ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죽서(竹西)@이민적 - 이민적(李敏迪)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숙부인 이정여(李正輿)에게 출계하였고, 이이명(李頤命)의 생부임.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저서로 《죽서집(竹西集)》이 있음.
1625~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죽서루주인(竹西樓主人)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석(竹石) - 손홍량(孫洪亮)
고려 충선왕(忠宣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으로,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고조(高祖). 충정왕(忠定王)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
1287~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죽성군(竹城君)@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죽성군(竹城君)@안극인 - 안극인(安克仁)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공민왕의 비(妃)인 정비(定妃)의 아버지. 노국공주(魯國公主)의 영전(影殿) 축조 중지를 간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뒤에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짐.
?~13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죽성군(竹城君) - 박영충(朴永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요동정벌(遼東征伐) 때 원수(元帥)로서 이성계(李成桂)의 우군(右軍)이 되어 출전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지휘함.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추록(追錄)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죽성군(竹城君)@박포 - 박포(朴苞)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1차 왕자의 난에 대한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방간(李芳幹)을 충동하여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처형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죽성군(竹城君)@박지번 - 박지번(朴之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남이(南怡)의 옥사(獄事)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죽성군(竹城君)@안맹담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죽소(竹所) - 권별(權鼈)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예천(禮泉)으로, 사간(司諫)을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들. 왕실의 사적(事蹟)과 인물열전(人物列傳)을 집대성한 《해동잡록(海東雜錄)》을 편술함.
1589~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죽소(竹所)@한상질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죽수(竹樹)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죽수사(竹樹祠) - 죽수서원(竹樹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능성(綾城)에 건립된 서원(書院). 건립된 해인 1570년(선조 3)에 사액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ㆍ양팽손(梁彭孫)을 배향함.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수원(竹樹院) - 죽수서원(竹樹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능성(綾城)에 건립된 서원(書院). 건립된 해인 1570년(선조 3)에 사액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ㆍ양팽손(梁彭孫)을 배향함.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암(竹巖)@안전 - 안전(安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순(安處順)의 아들이며 매담(梅潭) 안창국(安昌國)의 아버지로, 노진(盧禛)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18~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