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준(浚)@윤준 - 윤준(尹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걸(尹時傑)의 셋째 아들로,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를 비호하였다는 구사안(具思顔)의 밀계(密啓)로 인해 형 윤결(尹潔)과 함께 처형됨.
1520~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준(準)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준(準)@오준 - 오준(吳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서용(敍用)되어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준(準)@조선전기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준(準)@조선후기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準)@권준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준(準)@한준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濬)@민준 - 민준(閔濬)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選錄)됨.
1532~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濬)@고려후기 - 최준(崔濬)@고려후기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遼陽行省參知政事) 등을 역임했고, 어사(御史)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覲省)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준(濬)@최한중의아들 - 최준(崔濬)@최한중의아들
조선 영조(英祖) 때의 역관. 본관은 경주(慶州). 만호(萬戶) 최한중(崔漢重)의 아들로, 1741(영조 17) 식년시(式年試) 역과(譯科)에 급제하여 상통사(上通事)를 지냄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역관
-
준(濬)@최숙의아들 - 최준(崔濬)@최숙의아들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최숙(崔淑)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준(濬)@최덕산의아들 - 최준(崔濬)@최덕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계(丹溪).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최덕산(崔德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준(濬)@김준 - 김준(金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김경제(金敬悌)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이 그에게 차운한 시가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준(濬)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濬)@심준 - 심준(沈濬)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내고 좌찬성(左贊成)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준(濬)@최여우의아들 - 최준(崔濬)@최여우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전(崔澱)의 아우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창해우언(滄海寓言)》을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竴) - 이준(李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달충(李達衷)의 맏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동당시(東堂試)에 입격하고, 호조 전서(戶曹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준(綧) - 왕준(王綧)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후손으로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이며,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동생. 1241년(고종 28) 고종의 명으로 왕자라 칭하고 독로화(禿魯花)가 되어 몽고에 감.
1223~12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준(蹲) - 권준(權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遵)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遵)@양준 - 양준(梁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석재(梁碩材)ㆍ양동재(梁棟材) 형제의 아버지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준(駿) - 양준(楊駿)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장인이며,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의 아버지. 무제가 죽고 혜제(惠帝)가 즉위하자, 국정을 도맡아서 자기의 친당(親黨)만을 등용하여 정권을 전횡하다가, 가후(賈后)에게 미움을 받아 삼족(三族)이 멸하게 됨.
?~2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준겸(俊謙) - 우준겸(禹俊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성윤(禹成允)의 아들이며,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아버지.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겸(浚謙)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경(俊京) - 척준경(拓俊京)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무신. 곡산척씨(谷山拓氏)의 시조. 이자겸(李資謙)의 난에 가담하였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이자겸을 귀양 보내는 데 공을 세우고, 이후 권세를 휘두르다가 유배된 뒤 다시 복권됨.
?~1144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준경(俊卿)@진준경 - 진준경(陳俊卿)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재상. 진복(陳宓)의 아버지.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거쳐 소사(少師)ㆍ위국공(魏國公)으로 치사함. 치란(治亂)과 안위(安危)에 관해 직언을 잘함.
1113~118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준경(俊卿) - 노준경(盧俊卿)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우위 대호군(左右衛大護軍) 노단(盧亶)의 아들이며, 우의정(右議政) 노숭(盧嵩)의 아버지로, 감찰 지평(監察持平)을 지냄. 1343년(충혜왕 4) 원(元) 나라 사신에게 피살됨.
?~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준경(峻卿) - 박희량(朴希良)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신희눌(愼希訥)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준경(浚慶)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계(俊季)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길(浚吉)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덕(駿德) - 성준덕(成駿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교리(校理)를 지낸 성담년(成聃年)의 증손으로, 동생 성문덕(成聞德)과 함께 성혼(成渾)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준도(遵道)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준량(俊良)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례(遵禮) - 김준례(金遵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成宗) 때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김맹성(金孟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준립(俊立) - 탁준립(卓俊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 탁연(卓淵)의 맏아들이며, 탁준정(卓俊挺)ㆍ탁순인(卓純仁)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준미(遵美) - 신준미(申遵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취소된 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1491~15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준민(俊敏) - 한준민(韓俊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 손자로, 영릉 참봉(英陵參奉) 등을 지내다가 광해군 때 사직하였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준민(俊民)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준봉(隼峰)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준부(俊夫) - 방응현(房應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조식(曺植)ㆍ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임란의병장 변사정(邊士貞)과 친교가 두터웠음.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준성(遵聖)@조계은 - 조계은(曺繼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조 좌랑(吏曹佐郞) 조언경(曺彦卿)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준성(遵聖) - 이중현(李仲賢)
조선 전기의 문신.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역임하였으며, 도량이 넓고 백성을 사랑하여 선정(善政)을 베풂.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준성(遵聖)@임자 - 임자(任孜)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관직은 광록시 승(光祿寺承)에 이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준소(遵素) - 두황상(杜黃裳)
중국 당(唐) 숙종(肅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태상경(太常卿)ㆍ문하시랑(門下侍郎)ㆍ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배도(裵度)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
739~80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준손(俊孫) - 김준손(金俊孫)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후에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책록됨. 연기김씨(燕岐金氏)의 시조.
1446~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손(浚孫) - 김준손(金浚孫)
조선 전기의 문신. 서녀(庶女)가 구수영(具壽永)의 서자인 구인손(具麟孫)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준손(駿孫) - 김준손(金駿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일손(金馹孫)의 맏형. 무오사화(戊午士禍)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湖南)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난정(亂政)을 규탄하는 천위사(遷位事)를 조야에 전격(傳檄)함.
1454~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준수(俊秀)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숙(俊叔) - 권문언(權文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규(權逵)의 아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음.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3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준숙(俊叔)@백미량 - 백미량(白眉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흥(大興). 임진왜란 때 공이 큰 백현룡(白見龍)의 아버지.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준신(俊臣) - 권준신(權俊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형 권호신(權虎臣)과 함께 입격함.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준암(樽嵓)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준암(樽巖)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준옹(俊翁) - 노수민(盧秀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지만 벼슬은 하지 않음.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노군묘명(盧君墓銘)〉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준왕(淮王) - 고변(高騈)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무신. 황소(黃巢)의 난을 평정하여 천하에 위명(威名)을 떨쳤으나, 여용지(呂用之)의 말을 믿다가 황제의 신임을 잃은 뒤 신선술을 닦으며 무료하게 보내던 중 필사탁(畢師鐸)에게 죽임을 당함.
?~88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준의(遵義) - 이준의(李遵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아들이며, 한천군(漢川君) 이괵(李𥕏)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준인(遵仁) - 이준인(李遵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이며, 이준의(李遵義)의 형. 일선수(一善守) 이엽(李曄)의 사위. 1534년(중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정(俊丁) - 윤준정(尹俊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太宗)의 부마(駙馬)인 파평군(坡平君) 윤암(尹巖)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희인(尹希仁)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ㅣ인명>왕실>인척
-
준정(俊挺) - 탁준정(卓俊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 탁연(卓淵)의 둘째 아들이고, 탁준립(卓俊立)의 동생이며, 탁순인(卓純仁)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준중(濬仲) - 왕융(王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은자. 사도(司徒)의 관직을 지내다 정권교체기에 관직을 버리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이 됨.
233~305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준지(俊之)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준지(濬之)@최준 - 최준(崔濬)@최덕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계(丹溪).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최덕산(崔德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준지(濬之) - 이발(李渤)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형인 이섭(李涉)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자 빈객(太子賓客) 등을 지냄.
773~83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준천(濬川)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준치화(蹲鴟花)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중(中)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中)@오대십국(남당) - 이중(李中)@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문신ㆍ문인. 신도 영(新塗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벽운집(碧雲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中)@조선 - 이중(李中)@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도망쳐 온 스승 김식을 숨겨준 일로 의금부에 하옥되고 부령(富寧)에 유배됨.
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문사>학자
-
중가(仲嘉)@박숭질 - 박숭질(朴崇質)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윤(府尹) 박훤(朴萱)의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일부러 낙마하여 등청하지 않다가 면직되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재등용됨.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가(仲嘉)@이순형 - 이순형(李純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난(李蘭)의 아들로, 명종(明宗) 때 진위사(陳慰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까지 지냄.
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중각(仲覺) - 채모(蔡模)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채침(蔡沈)의 맏아들로, 건녕부학 교수(建寧府學教授)를 지내고, 《논맹집소(論孟集疏)》ㆍ《속근사록(續近思錄)》 등을 저술함.
1188~124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간(仲幹) - 변사정(邊士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연(長淵).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원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많은 전투에서 전공을 세움.
1529~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중간(仲簡) - 윤희렴(尹希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공조 판서(工曹判書) 윤국형(尹國馨)의 아버지로, 경산 현령(慶山縣令) 등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ㆍ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51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강(仲剛)@이건명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강(仲剛) - 박소양(朴少陽)
고려 후기의 유학. 밀직대언(密直代言) 박윤문(朴允文)의 아들로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하고 중국으로 가서 주유(周遊)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중강(仲康) - 노공(魯恭)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善政)을 베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강(仲綱) - 김기(金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金崇祖)의 아들. 홍문관 전한(典翰)을 지낸 뒤 조졸(早卒)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만시(挽詩) 두 편이 실려 있음.
1500~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김시번 - 김시번(金始蕃)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김신국(金藎國)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인조의 며느리인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를 구제하려다 파직당함.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이강 - 이강(李綱)@이순언의아들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사(蔭仕)로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 후 김안국(金安國)과 내왕하며 은사(隱士)로서 여생을 보냄.
1479~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임붕 - 임붕(林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좌승지ㆍ경주 부윤ㆍ광주 목사 등을 지냈음.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이산보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 - 김충(金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호조 정랑(戶曹正郞)ㆍ교감(校勘)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내고,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을 지음.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진번 - 진번(陳蕃)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위(太尉)ㆍ태부(太傅) 등을 지냈으나, 정권을 독점한 환관(宦官)들을 공박하다가 도리어 당인(黨人)이라고 지목되어 종신토록 금고(禁錮)됨.
?~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황준량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거(仲擧)@김현 - 김현(金鉉)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거(仲車) - 서적(徐積)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안정(安定) 호원(胡瑗)의 제자로, 선덕랑(宣德郞) 등을 지냄. 지극한 효성으로 유명하였으며, 저서에 《절효집(節孝集)》 등이 있음.
1028~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건(仲虔) - 정중건(鄭仲虔)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일손(金馹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검(仲儉) - 박중검(朴仲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이의무(李宜茂)의 《연헌잡고(蓮軒雜稿)》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
-
중견(仲堅) - 신할(申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기수어사(京畿守禦使)가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건너다 왜적에게 크게 패하여 순절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중결(仲潔)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겸(仲謙) - 백유양(白惟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으로,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아들 백수민(白壽民)이 연좌되어 사형당하자 사직하였으나, 서인(西人)에게 숙부 백인걸(白仁傑)이 탄핵될 때 장살(杖殺)됨.
1530~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겸(仲謙)@백인호 - 백인호(白仁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백익견(白益堅)의 아들.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휘말려 장형(杖刑)을 받고 죽음.
1530~15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중겸(仲謙)@백유온 - 백유온(白惟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백인호(白仁豪)의 아들이며,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백유양(白惟讓)의 형. 장단 부사(長湍府使)ㆍ부평 부사(富平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겸(仲謙)@강익 - 강익(姜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8년(중종 33)에 전강(殿講)에 합격해 회시(會試)에 직부(直赴)되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국장도감(國葬都監)에서 도첨(都僉)을 지냄. 인재(忍齋)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겸(重謙) - 한중겸(韓重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5~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경(仲卿)@위청 - 위청(衛靑)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장군. 무제의 후(后)인 위자부(衛子夫)의 동생으로, 일곱 차례의 흉노(匈奴) 정벌에 전공을 세워 대장군(大將軍)에 올랐으며, 곽거병(霍去病)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됨.
?~B.C.10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중경(仲卿)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중경(仲庚)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중경(仲慶) - 조희(曺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 조순(曺純)의 7대손이며, 조숙덕(曺淑德)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490~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