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경(仲敬)@조서강 - 조서강(趙瑞康)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들. 《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44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중경(仲敬)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경(仲敬)@이상 - 이상(李祥)@이문환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문환(李文煥)의 아들.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극성(金克成)의 《우정집(憂亭集)》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중경(仲畊) - 전귀생(田貴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ㆍ문인.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삼사좌윤(三司左尹)ㆍ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으나, 고려 말엽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두문동에 들어가 조선의 태조(太祖)가 여러 차례 불러도 나오지 않고 여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중경(仲經) - 조전(趙典)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행실이 돈독하고 학식이 뛰어났으며 황제에게 직언(直言)을 잘 하기로 유명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경(仲耕) - 윤자임(尹自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금손(尹金孫)의 아들로, 문무를 겸비하고 삼사(三司)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좌승지로 있을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북청(北靑) 배소에서 죽음.
1488~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경(重卿)@성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경(重卿)@구일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중경(重卿)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중경(重慶) - 이중경(李重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지냄.
1517~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경부(仲慶父) - 경보(慶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이복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제후의 자리를 노리고 장공의 아들인 민공(閔公)을 시해하였으나, 민공의 외삼촌인 제(齊) 환공(桓公)에 의해 궁지에 몰리다가 자살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계(重啓) - 심건(沈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심봉원(沈逢源)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519~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고(中考)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고(仲固) - 유온(劉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갑(柳韐)의 동생으로,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내고,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花木)을 즐기며 시를 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고(仲高) - 이영(李嶸)@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 등을 지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학문적 교유를 나눌 정도로 경전에 밝았음.
1560~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곤(仲坤) - 신중곤(辛仲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월(寧越). 신내옥(辛乃沃)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ㆍ어모장군(禦侮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무신
-
중공(仲公) - 뇌의(雷義)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무재과(茂才科)에 급제하여 그 자격을 진중(陳重)에게 양보하였으나 자사(刺使)가 들어주지 않자, 거짓으로 미친 체하고 벼슬을 받지 않으므로 삼부(三府)에서 두 사람 모두 벼슬을 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공(仲恭)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중관(仲寬) - 강위(姜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禮曹參判) 강징(姜澂)의 아들로,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중관(重寬) - 안중관(安重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킨 안방준(安邦俊)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중광(重光)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광(重光)@유중광 - 유중광(柳重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유찬(柳燦)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중구(仲久)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궁(中宮)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중궁(仲弓) - 염옹(冉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덕행(德行)에 뛰어났으며 공자가 왕 노릇 할만 하다고 칭찬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궁(仲弓)@진식 - 진식(陳寔)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구 현령(太丘縣令)을 지냄. 아들 진기(陳紀)ㆍ진심(陳諶)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 양상군자(梁上君子)란 고사로도 유명함.
104~18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궁윤씨(中宮尹氏)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중권(仲權)@김중권 - 김중권(金仲權)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양(金壤). 이규보(李奎報)의 외조부. 울진 현위(蔚珍縣尉)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통천 , 인명>관인>문신
-
중권(仲權)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귀(重貴) - 왕중귀(王重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왕후(王煦)의 아들로, 벼슬이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에 이르렀다가 신돈(辛旽)에 의하여 파직됨. 원(元) 나라와 내통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효수당함.
1335~136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규(仲奎)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규(仲規) - 권중규(權仲規)
조선 세조(世祖) 때의 은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한 뒤 고령(高靈) 유천(鍮泉)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중균(仲鈞)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극(中極) - 북극성(北極星)
천구상의 북극 가까이에서 빛나는, 작은곰자리의 가장 밝은 별.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됨. 예로부터 사계(四季)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겨졌으며, 때로는 천자(天子)를 가리키기도 함.
자연물>천체
-
중기(仲紀) - 장응선(張應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으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중길(仲吉)@문몽원 - 문몽원(文夢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1578년(선조 11)에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덕산 현감(德山縣監)을 지냄. 성혼(成渾)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중길(仲吉)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중길(重吉)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노(仲魯) - 구사증(具思曾)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능성(綾城). 통진 현감(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이며, 구사맹(具思孟)의 형.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니(仲尼)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중달(仲達)@문중달 - 문중달(文仲達)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평서개국군(平西開國君) 문정(文挺)의 아들로, 이부 상서(吏部尙書)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중달(仲達)@공영달 - 공영달(孔穎達)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ㆍ천문ㆍ수학에 능통하였으며, 태종의 명에 따라 《수서(隋書)》ㆍ《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함.
574~64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달(仲達)@권중달 - 권중달(權仲達)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냈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중달(仲達)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중담(仲聃) - 안중담(安仲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광흥창 사(廣興倉使)ㆍ단양 군수(丹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중덕(中德) - 정해(定海)
고려 후기의 승려. 좌가 부승록(左街副僧錄)을 지냈으며, 계명사 주지(啓明寺住持)로 있으면서 자비령(慈悲嶺)에 있는 자비사(慈悲寺)를 중건하고 이색(李穡)에게 기문(記文)을 청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중덕(仲德) - 윤택(尹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1317년(충숙왕 4)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 정직ㆍ검소하였으며,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 저서로 《율정집(栗亭集)》이 있음.
1289~130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중도(中塗) - 유개(柳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경학에 능통하고 시문을 잘 지었으며, 저서로 《하동집(河東集)》이 있음. 《소학(小學)》에 형제간의 우애를 단속하는 유개의 말이 실려 있음.
947~10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도(中都)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중돈(仲暾)@손중돈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중돈(仲暾)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돈(重敦) - 안중돈(安重敦)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킨 안방준(安邦俊)의 아버지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중동(重瞳)@항우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동(重瞳)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중동문군(中東門君) - 장담(張湛)@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사람됨이 예를 좋아하여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고, 광무제(光武帝) 때 조정에 들어가 황제가 나태한 모습을 보이면 곧바로 간하였으며, 항상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량(仲樑)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중량(仲良)@후중량 - 후중량(侯仲良)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에게 배워 학문이 크게 진전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량(仲良) - 변중량(卞仲良)
고려 말~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사위이며 사예(司藝) 변구상(卞九祥)의 아버지.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시에 능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참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중려(仲慮)@권우 - 권우(權遇)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 말에 출사하고, 조선 건국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등을 지내면서 정인지(鄭麟趾) 등 여러 문인을 양성함.
136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중려(仲慮) - 성우(成遇)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조식(曺植)과 교유하고, 제릉 참봉(齊陵參奉)을 지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죽임을 당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중련(仲漣)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련(仲連)@유중련 - 유중련(柳仲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권호문(權好文)과 함께 안동(安東)의 학가산사(鶴駕山寺)에서《서경(書經)》ㆍ《주역(周易)》을 강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중련(仲連)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중령(中靈) - 계숭(契嵩)
중국 송(宋) 나라의 고승ㆍ학자. 운문종(雲門宗)을 발전시켰으며, 도교와 유교 등 다른 종파(宗派)와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고, 특히 선교일치적(禪敎一致的)인 경향을 지님. 〈원교편(原敎篇)〉 등을 저술함.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중령(仲靈) - 계숭(契嵩)
중국 송(宋) 나라의 고승ㆍ학자. 운문종(雲門宗)을 발전시켰으며, 도교와 유교 등 다른 종파(宗派)와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고, 특히 선교일치적(禪敎一致的)인 경향을 지님. 〈원교편(原敎篇)〉 등을 저술함.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중례(仲禮) - 한중례(韓仲禮)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중로(仲老) - 오희년(吳禧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중로(仲老)@이수강 - 이수강(李壽剛)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아들이며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아버지로, 이성군(伊城君)에 봉해짐.
1503~154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중로(仲老)@김중로 - 김중로(金仲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지낸 김맹권(金孟權)의 아버지로, 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관인>문신
-
중로(仲魯) - 김중로(金仲魯)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의 생원 김계정(金繼貞)의 아버지로, 효력부위(效力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중룡(仲龍)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중륜(仲倫)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중률(仲栗) - 이적(李績)
조선 전기의 유학.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김굉필의 행장(行狀)을 찬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림(仲林) - 박중림(朴仲林)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팽년(朴彭年)ㆍ박인년(朴引年)ㆍ박기년(朴耆年)ㆍ박대년(朴大年)ㆍ박영년(朴永年)의 아버지로, 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자식들과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중림(仲臨)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립(中立)@민시중 - 민시중(閔時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낸 민총(閔叢)의 아들. 여주 목사(驪州牧使)ㆍ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백담집(柏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중립(中立)@이중립 - 이중립(李中立)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ㆍ서해(徐嶰) 등과 교유하고, 서당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중립(中立)@정대민 - 정대민(鄭大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언남(鄭彦男)의 아들이자, 정홍서(鄭弘緖)의 아버지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정유재란 때 부모가 모두 살해되자 시묘(侍墓)하다가 왜적에게 죽음.
1551~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립(中立) - 배도(裴度)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재상. 절도사(節度使)를 억제하고 환관(宦官)에 대해 강경책을 취하였으며, 백거이(白居易)와 교유함.
765~8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립(中立)@양시 - 양시(楊時)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이정(二程)의 학설을 화중(華中)ㆍ화남(華南)으로 퍼뜨려서, 남송(南宋)의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계승하게 됨.
105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립(中立)@송정순 - 송정순(宋庭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유희춘(柳希春)과 경사(經史)를 강론(講論)하고 송징(宋徵)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으며, 동복(同福)에 물염정(勿染亭)을 짓고 그곳에서 여생을 마침.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중립(仲立) - 범관(范寬)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산수화가. 어려서 이성(李成)에게 화법을 배웠는데, 특히 설경산수(雪景山水)에 뛰어남. 저서로 《설보(雪譜)》가 있음.
?~102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중망(仲望) - 이림(李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중종 때 진위사(進慰使)로 중국에 다녀오고 병조 참의를 역임하였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모함을 받아 의주(義州)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사사(賜死)됨.
?~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중면(仲勉) - 이증(李增)@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명(仲明)@양자징 - 양자징(梁子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보(梁山甫)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사위이자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필암서원(筆巖書院)에 제향됨.
152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중명(仲明)@권반 - 권반(權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윤국형(尹國馨)의 문인(門人).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명(仲明)@민성 - 민성(閔誠)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서우량(徐友諒)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명(仲明) - 박기(朴基)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명(仲鳴) - 민구(閔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연안 부사(延安府使)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모(中牟)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중모(仲牟)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중모(仲謀)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모(衆牟)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중모군(中牟君) - 방신우(方臣祐)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환관. 원(元) 나라에 들어가 망고태(忙古台)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수원황태후(壽元皇太后)의 시중을 들었으며, 고려로 돌아와 중모군(中牟君)에 봉해짐.
?~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환관
-
중목(仲穆) - 조옹(趙雍)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 조맹부(趙孟頫)의 둘째 아들로 서화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산수(山水)에 능했음.
1289~136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중묘(中廟)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묘개옥(中廟改玉) - 중종반정(中宗反正)
조선 연산군(燕山君) 12년(1506)에 박원종(朴元宗) 등이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晉城大君)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중묘실록(中廟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재위 39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이기(李芑) 등이 주관하여 1550년(명종 5)에 간행함.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중무(仲武)@유극량 - 유극량(劉克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연안 유씨(延安劉氏)의 시조.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洪暹)의 배려로 면천(免賤)하고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방어사(防禦使) 신할(申硈)의 부장(副將)이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방어하다가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중무(仲武)@고적 - 고적(高適)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시인ㆍ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를 거쳐 몇 차례나 절도사(節度使)로 나가 난을 평정하다가 나이 50이 되어서야 시를 짓기 시작하였는데, 변새(邊塞)의 이정(離情)을 잘 읊어 잠삼(岑參)과 함께 고잠(高岑)으로 병칭됨.
704~76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