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박응현(朴應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린(朴嶙)의 아들로,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응훈(朴應勳)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1601년(선조 34)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황간(黃澗)의 송계서원(松溪書院)에 배향됨.
1539~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의영(朴義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맏아들이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박증영(朴增榮)의 형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56~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의장(朴毅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세렴(朴世廉)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으로 경사(經史)에 밝음.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慶尙水使)에 이름. 정충사(貞忠祠)ㆍ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됨.
1555~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무신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이(朴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성군(密城君) 박광영(朴光榮)의 넷째 아들로, 내자부정(內資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이(朴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의병장인 박경전(朴慶傳)의 아버지로, 장사랑(將仕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이검(朴而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형 박이온(朴而溫)과 함께 공을 세워 순성군(順城君)의 작위(爵位)를 받았으며, 벼슬은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이경(朴以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 박명응(朴明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박이온(朴而溫)@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이온(朴而溫)@고려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를 역임하였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이의(朴而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박이장(朴而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승지(承旨)를 지낸 박양좌(朴良佐)의 아들로,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함.
1547~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ㅣ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이홍(朴以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추천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박익(朴翊)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때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와 여진(女眞)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밀양(密陽)의 송계(松溪)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
133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인년(朴引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냈으나,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인량(朴寅亮)@고려전기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송(宋) 나라에 가서 김근(金覲)과 함께 지은 《소화집(小華集)》을 간행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저서로 《고금록(古今錄)》ㆍ《수이전(殊異傳)》 등이 있음.
?~109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인량(朴寅亮)@박진의아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조식(曺植)과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름.
1546~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인량(朴寅亮)@박자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전옥서 주부(典獄署主簿)를 지낸 박자기(朴自基)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박인로(朴仁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守門將) 등을 지냄.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鄭澈)ㆍ윤선도(尹善道)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詩歌人)으로 불림.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박인석(朴仁碩)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주(慶州) 초적(草賊)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
1143~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인수(朴仁壽)
고려 말~조선 초의 효자. 하륜(河崙)의 《호정집(浩亭集)》에 그의 효성을 읊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
-
박인수(朴仁粹)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유학 박천우(朴天祐)의 아버지로, 부장(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인을(朴仁乙)
고려 후기의 문신. 지간성군사(知杆城郡事)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문신
-
박인적(朴麟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해수(李海壽)ㆍ이제신(李濟臣)과 교유했으며, 둔전 판관(屯田判官) 등을 지냈음. 《우계집(牛溪集)》과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박인효(朴仁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박문간(朴文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박임종(朴林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박조년(朴兆年)의 아버지로, 상주 목사(尙州牧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자기(朴自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인량(朴寅亮)의 아버지로, 전옥서 주부(典獄署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박자영(朴自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진(朴稹)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식년시(式年試)와 1538년(중종 33) 탁영시(擢英試)에 급제하고,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장(朴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충목왕(忠穆王) 때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낸 박충좌(朴忠佐) 아버지로,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재중(朴在中)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당호(堂號)의 기문(記文)으로 써 준 〈국간기(菊澗記)〉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박재집(璞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뉴(金紐)의 시문집. 5권 4책. 잡저의 〈한중필담(閑中筆談)〉은 16세기의 정치ㆍ사회사 연구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박쟁(朴崝)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ㆍ도총관(都摠管) 등을 지냄.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며 세조ㆍ한명회(韓明澮)ㆍ권람(權擥)ㆍ정인지(鄭麟趾) 등을 죽이려고 모의했으나 김질(金礩)의 밀고로 체포되어 친국을 받고 사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박적(朴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문인인 박종문(朴宗文)의 아버지로, 경주 판관(慶州判官)을 지냄.
?~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박전(朴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원기(朴元基)의 아들이자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낸 박선장(朴善長)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1514~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박전(朴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내고 함양군(咸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전지(朴全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충선왕(忠宣王)이 세자일 때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1250~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절문(朴切問)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난공신(靖難功臣) 밀산군(密山君) 박중손(朴仲孫)의 아버지로, 교서 정자(校書正字)를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13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점(朴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박세정(朴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黨爭)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정(朴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선(朴東善)의 아들로,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596~163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정(朴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찬성(贊成)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제(朴濟)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1583년(선조 16)에 상소를 올려 동인(東人) 김효원(金孝元)ㆍ김응남(金應南) 등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박제함(朴悌諴)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충주(忠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박형문(朴衡文)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0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무신
-
박조(朴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아들로, 《소고집(嘯皐集)》에 박승임의 답서(答書)들이 실려 있음.
1551~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박조(朴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냄.
147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조(朴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성군(密城君) 박광영(朴光榮)의 맏아들이며 낙촌(洛村) 박충원(朴忠元)의 아버지로,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조(朴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내고, 성리학을 연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조년(朴兆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와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종(朴琮)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익대공신(翊戴功臣) 박지번(朴之蕃)의 장남으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박종구(朴宗球)
고려 후기의 유학.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원(李原)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박종래(朴從來)
조선 전기의 유학. 회헌(晦軒) 박종원(朴宗元)의 후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문사>유학
-
박종량(朴宗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박은(朴誾)의 아들이며, 참판(參判)을 지낸 박공량(朴公亮)의 아우임.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박종린(朴從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박종문(朴宗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경주 판관(慶州判官)을 지낸 박적(朴勣)의 아들.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1512~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박종우(朴從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태종(太宗)의 딸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하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박종원(朴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율(殷栗). 우찬성(右贊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관인>문신
-
박주종(朴周鍾)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813~18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박준(朴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낸 박한(朴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박준(朴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음률(音律)에 밝아 《악장가사(樂章歌詞)》를 지었다고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박중검(朴仲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이의무(李宜茂)의 《연헌잡고(蓮軒雜稿)》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
-
박중림(朴仲林)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팽년(朴彭年)ㆍ박인년(朴引年)ㆍ박기년(朴耆年)ㆍ박대년(朴大年)ㆍ박영년(朴永年)의 아버지로, 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자식들과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중선(朴仲善)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5~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중신(朴中信)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박시형(朴始亨)의 아버지로, 영흥 판관(永興判官) 등을 지내다가 고향으로 돌아와서 강릉향교(江陵鄕校)를 중건함.
1390~145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박중원(朴仲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식(朴植)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박중윤(朴仲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양응정(梁應鼎)의 장인으로, 판관(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증영(朴增榮)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셋째 아들이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박의영(朴義榮)ㆍ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의 아우. 문장으로 유명하고,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지(朴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증조부로, 청하 현감(淸河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지계(朴知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왕자사부(王子師傅)ㆍ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나 취임하지 않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주자학에 조예가 깊고, 저서로 《잠야집(潛冶)》등이 있음.
1573~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지남(朴智男)
조선 선조(宣祖) 때 무신ㆍ의병.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아버지 박경신(朴慶新)과 동생 박철남(朴哲男)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충추부 동지(中樞府 同知)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박지몽(朴之蒙)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원기(朴元基)의 아버지로, 부사정(副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무신
-
박지번(朴之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남이(南怡)의 옥사(獄事)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지빈(朴之彬)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낸 박장(朴莊)의 아버지로, 위위시 윤(衛尉寺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박지수(朴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지빈(朴之彬)의 아우이고, 추밀 원사(樞密院事) 박양계(朴良桂)의 조부로, 밀직 부사(密直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지술(朴知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길주 목사(吉州牧使)를 지낸 박희립(朴希立)의 아들로, 백부 박대립(朴大立)에게 출계함. 자산 군수(慈山郡守)ㆍ부평 부사(富平府使) 등을 지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박지흥(朴智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눌재(訥齋) 박상(朴祥)과 육봉(六峯) 박우(朴祐)의 아버지로, 세조(世祖)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은거함.
14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박진(朴晉)
고려 후기~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으로, 직제학(直提學)인 최직지(崔直之)ㆍ최덕지(崔德之)의 외숙(外叔). 청도 군사(淸道郡事)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가 죽자 여묘(廬墓) 3년을 지내 1398년(태조 7)에 정려(旌閭)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박진(朴稹)
조선 중종(中宗) 때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박문간(朴文幹)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병과(兵科)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진(朴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원종공신(原從功臣) 박인량(朴寅亮)의 아버지로, 판결사(判決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박진(朴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박진록(朴晉祿)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제학(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민왕 때에는 신돈(辛旽)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고, 우왕 때에는 천도(遷都) 문제에 관여하였으며, 조준(趙浚)의 급진주의에 반대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박진원(朴震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6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집(朴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박조년(朴兆年)의 아들.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박찬(朴璨)@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역임함.
1470~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박찬(朴璨)@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과 함께 창의(倡義)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창도(朴昌道)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박창윤(朴昌潤)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태안(泰安). 황해도 수군절도사(黃海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658~17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박처륜(朴處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박사란(朴思襴)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세종실록(世宗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처선(朴處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세말(朴世末)의 아버지로, 순창 훈도(淳昌訓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박천(博川)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태종(太宗) 때 이름을 박천(博川)으로 고치고, 세조(世祖)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
평안도>박천 , 지명>행정지명
-
박천강(博川江)
평안도 천마산(天馬山)에서 발원하여 청천강(淸川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 사행로이자 유람지임.
평안도>태천ㅣ평안도>박천 , 지명>자연지명
-
박천경(朴天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형인 송은(松隱) 박익(朴翊)과 함께 낙향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김세언(金世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장흥 부사(長興府使)의 아들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한 기록이 《추강집(秋江集)》에 〈조대기(釣臺記)〉로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