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무(仲武)@양수 - 양수(楊綏)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담(楊潭)의 아들로, 반악(潘岳)의 집안과 3대에 걸쳐 혼인을 맺음.
271~2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무(仲武) - 서자적(徐自適)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무(仲武)@서자통 - 서자통(徐自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묵(仲默) - 나사선(羅士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묵(仲默)@채침 - 채침(蔡沈)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로, 구봉(九峯)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서경집전(書經集傳)》을 완성함.
1167~123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묵(仲默)@하경명 - 하경명(何景明)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고문사(古文辭)라고 하는 문학운동을 제창함. 전칠자(前七子) 중 한 사람.
1483~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묵(重默) - 안중묵(安重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박광전(朴光前)ㆍ정개청(鄭介淸)에게 수학하고, 정구(鄭逑)의 효렴(孝廉) 천거로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ㆍ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1556~16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김익희 - 김익희(金益熙)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김반(金槃)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610~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박의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황응규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이종학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중문(仲文)@김중문 - 김중문(金仲文)
조선 전기의 유학. 소수서원(紹修書院)의 유사(有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중문(仲文)@차중문 - 차중문(車仲文)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시고(牧隱詩稿)》에 실린 〈신미(新米)〉라는 시(詩)에 이색(李穡)에게 햅쌀을 보냈다는 기록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명(子明)@탁철수 - 탁철수(卓哲守)
조선 전기의 문신. 탁진옥(卓振玉)의 둘째 아들로, 첨지(僉知) 등을 역임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인 탁의상(卓義尙)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폐제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명(慈明) - 순상(荀爽)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12세에 《춘추(春秋)》와 《논어(論語)》에 정통한 영재로, 순가팔룡(荀家八龍) 중에서도 가장 명성이 높았음.
128~19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명(自明) - 맹사성(孟思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세종 때 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내고, 황희(黃喜)와 함께 조선 전기 문화창달에 크게 기여함. 《태종실록(太宗實錄)》ㆍ《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를 편찬하고, 향악(鄕樂)을 정리함.
1360~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자모(子牟) - 공자모(公子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장자(莊子)》 양왕(讓王)에, “몸은 강과 바다 위에 있어도 마음은 항상 대궐 아래에 있다(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라는 공자모(公子牟)고 이야기가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목(子木) - 굴건(屈建)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大夫). 아버지 굴도(屈到)가 평소에 기(芰 : 마름)를 좋아하여 자신의 제사상에 올려주기를 부탁했으나, 예에 맞지 않는다 하여 원래대로 검(芡 : 연밥)을 쓰도록 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목(自牧) - 장자목(張自牧)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1195년(명종 25) 예부 시랑(禮部郞)으로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주관하고, 태복경 보문각직학사(太僕卿寶文閣直學士)로 치사(致仕)함. 최당(崔讜)ㆍ최선(崔詵) 등과 기로회(耆老會)를 만들어 즐김.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자무(子武)@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무(子武)@이호변 - 이호변(李虎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무(子武) - 강효문(康孝文)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무신.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가 되어 진관(鎭管)을 순시하던 중,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켜 그 당여에게 살해당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무(子茂)@이여송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무(子茂) - 이수오(李秀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엽(李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자문(子文)@강경서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문(子文)@정종주 - 정종주(鄭宗周)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옹(鄭雍)의 아들로, 1450년(문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문(子文)@이윤검 - 이윤검(李允儉)@이순생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재임시에 선정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았고, 호조 참판(戶曹參判)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낙향함.
1451~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자문(子文)@이예장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문(子文)@소백온 - 소백온(邵伯溫)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옹(邵雍)의 아들로, 정이(程頤)에게 수학하고 《역변혹(易辨惑)》ㆍ《견문록(見聞錄)》 등을 저술함. 태평관 제거(太平觀提舉) 등을 지냄.
1057~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문(子文)@지종주 - 지종주(池從周)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서(序)에 이름이 나옴.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문(子文)@왕야 - 왕야(王埜)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정집(朱子大全正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문(子文) - 김필(金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자문(子聞) - 남학명(南鶴鳴)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아들. 음보(蔭補)로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수락산(水洛山)에 살면서 학문에만 전념함.
1654~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자미(子微)@식부궁 - 식부궁(息夫躬)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제후 유운(劉雲)을 무고(誣告)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王嘉)에 의해 저지 당함.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미(子微)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자미(子美)@안자미 - 안자미(安子美)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무신. 순흥안씨(順興安氏)의 시조로, 흥위위(興威衛) 보승별장(保勝別將)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자미(子美)@육구소 - 육구소(陸九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형으로, 사산(梭山)에 거처를 마련하여 강학(講學)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미(子美)@월산대군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자미(子美)@김세언 - 김세언(金世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장흥 부사(長興府使)의 아들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한 기록이 《추강집(秋江集)》에 〈조대기(釣臺記)〉로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자미(子美)@소순흠 - 소순흠(蘇舜欽)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호주장사(湖州長史) 등을 지냄. 고문시가(古文詩歌)를 숭상하고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매요신(梅堯臣)과 이름을 나란히 함.
1008~104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미(子美)@김이반 - 김이반(金爾盼)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첨(金爾瞻)ㆍ김이우(金爾盱)의 동생.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미(子美)@김선 - 김선(金璿)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자미(子美)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미(子美)@정교 - 정교(鄭僑)@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낸 정이청(鄭以淸)의 아버지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연산군의 혼정(昏政)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470~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자미(子美)@유침 - 유침(庾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외척ㆍ무신. 명제(明帝)의 비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아버지로, 건위장군(建威將軍) 등을 역임하고 황후의 아버지로서 좌장군(左將軍)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자미(子美)@김계문 - 김계문(金季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아버지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미(子美)@정이교 - 정이교(鄭以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종소(鄭從韶)의 아들로, 1470년(성종 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도 군수(淸道郡守)ㆍ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자미(子美)@이휘 - 이휘(李徽)@이충작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충작(李忠綽)의 아버지로, 당은군(唐恩君)에 추봉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미(子美)@홍언필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미(子迷) - 권계창(權繼昌)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보낸 호원(灝元) 권문해(權文海)의 시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미(紫微) - 여본중(呂本中)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의 시풍을 계승했으며, 그가 작성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詩社宗派圖)〉는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
1084~11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미(紫薇) - 두목(杜牧)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 했음.
803~85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미(自湄) - 유자미(柳自湄)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종 때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세조의 즉위 후 은거하여 평생 절의를 지킴. 글씨와 그림에 능하여 유작〈지곡송학도(芝谷松鶴圖)〉한 점이 전함. 양산(梁山)의 구산사(龜山祠)에 제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자미당(紫微堂)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자미당(紫薇堂)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자민(子敏)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박(子博) - 장안(張晏)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사기(史記)》를 주해(註解)하였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박(子璞) - 최광윤(崔光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맏아들로, 용인 현령(龍仁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자반(子胖)@노사신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자반(子胖) - 권중신(權仲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발(子發) - 노조(盧肇)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흡주 자사(歙州刺史) 등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문표집(文標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발(子發)@이문건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房)@최한후 - 최한후(崔漢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최선문(崔善門)의 아들로, 이지번(李之蕃) 등과 교유하였으며, 용담 현령(龍潭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房) - 이경의(李景義)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御駕)를 호종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이안눌(李安訥)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1590~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房)@장량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房)@장언량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자방(子房)@장한보 - 장한보(張漢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진(蔚珍). 1522년(중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벼슬에 대한 욕심보다 자연과 풍류를 즐겨 일찍이 관직을 사퇴하고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쓰며 여생을 보냄.
1503~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方)@신응구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方)@이경의 - 이경의(李景義)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御駕)를 호종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이안눌(李安訥)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1590~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方) - 당개(唐介)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명신(名臣).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재상 문언박(文彦博)을 탄핵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芳)@민자방 - 민자방(閔子芳)
조선 제6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여흥(驪興). 현령(縣令)을 지낸 민종원(閔宗元)의 아들로, 성종의 다섯째 딸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
-
자방(子芳) - 박훤(朴萱)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의(文義). 박언상(朴彥祥)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자방(子芳)@이난 - 이난(李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극영(李克榮)의 아들로, 천안 군수(天安郡守)ㆍ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방(子芳)@이손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배(子培)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백(子伯) - 이윤(李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교유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재등용되어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자번(子繁) - 권경희(權景禧)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판(禮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자번(子蕃)@이배근 - 이배근(李培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종식(李宗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자번(子蕃) - 윤상손(尹祥孫)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백연(尹伯涓)의 아들로,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8~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자번(子藩)@홍자번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범(子汎)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범(子犯) - 호언(狐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대부. 문공(文公)의 외숙으로, 문공이 공자(公子) 시절 여희(驪姬)의 견제를 받아 19년 동안 망명 생활을 할 때 충심으로 그를 보필하여 마침내 임금에 오르게 하였으며. 문공이 패자(覇者)가 되는 데 크게 공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보(子寶)@김양경 - 김양경(金良璥)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효민(金孝敏)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보(子寶)@손린 - 손린(孫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사직(司直) 손효근(孫孝謹)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자보(子寶) - 김화(金鏵)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1460년(세조 6)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판관(尙衣院判官)ㆍ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냈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자보(子輔) - 강우덕(姜友德)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강회백(姜淮伯)의 아들.
1385~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보(玆父) - 양공(襄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51~B.C.637. 패자(覇者)가 되기 위해 초(楚) 나라의 군대와 홍수(泓水)에서 싸울 때 인정을 베풀다가 패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보(自寶) - 이자보(李自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조선 초기에 호분위 호군(虎賁衛護軍)을 지낸 이극명(李克明)의 아버지로, 신무위 대장군(神武衛大將軍)을 지내고 사후 호조 참의(戶曹參義)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자복(子復) - 민안인(閔安仁)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고려 말에는 제고(制誥)에 기여하였으며, 조선 개국 초에는 유학 진흥과 의례의 정비, 보급에 기여함. 권근(權近)과 교유함.
1343~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봉(子封) - 김만채(金萬埰)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참찬(左參贊) 김진상(金鎭商)의 아버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살(杖殺)된 아버지 김익훈(金益勳)의 억울함을 진정하다 절도로 유배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풀려나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44~17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부(子傅)@고득종 - 고득종(高得宗)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상장군 고봉지(高鳳智)의 아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짐.《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몇 편의 시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강음ㅣ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자부(子傅)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부(子溥) - 정훈(鄭薰)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자기 집에 소나무 일곱 그루를 심고서 칠송처사(七松處士)라 자호(自號)하였고, 벼슬은 태자소사(太子少師)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비왕(慈悲王) -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신라 제20대 왕. 재위 458~47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의 맏아들. 459년 왜병이 공격해 와 월성(月城)을 에워싸자 군사를 정비하여 이를 격퇴함.
?~47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자빈(子賓) - 정수민(鄭秀民)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여창(鄭汝昌)의 증손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간행하고, 저서에 《춘수당집(春睡堂集》등이 있음.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
-
자빈(自濱) - 유자빈(柳自濱)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양식(柳陽植)의 아들로, 1462년(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합격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사(子思)@평당 - 평당(平當)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승상(丞相). 경학(經學)에 밝아 박사(博士)가 되었으며, 애제 때 공신에 책록되고 승상에 오름. 아들 평안(平晏)도 대사도(大司徒)에 올라 부자(父子)가 모두 재상을 지낸 영예를 누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사(子思) - 원헌(原憲)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 가난하면서도 도(道)를 즐겼음. 공자가 노(魯) 나라에서 재상이 되었을 때 원헌은 읍재(邑宰)가 되었으며, 공자가 돌아가시자 위(衛) 나라로 물러나 숨어 지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