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사(子思)@공급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사자(子思子)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산(子山) - 유신(庾信)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서능(徐陵)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음. 북조(北朝) 서위(西魏)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詩風)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詩文)을 집대성함.
513~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산(子産)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산(慈山) - 송세협(宋世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양근 군수(楊根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이고 안악 군수(安岳郡守) 송세훈(宋世勛)의 동생. 쌍청당(雙淸堂) 옆에 건물을 지었는데, 조카 송남수(宋柟壽)가 증축(增築)하여 절우당(節友堂)이라고 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자산(慈山)@허추 - 허추(許樞)
조선 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양천(陽川). 매헌(梅軒) 허기(許愭)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관직에 나아가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내고, 세조(世祖) 잠저(潛邸)시의 요속(僚屬)이라 하여 원종삼등공신(原從三等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산군(者山君)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자삼(子三) - 강태수(姜台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희맹(希孟)이고, 아버지는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학손(鶴孫)이며, 큰아버지 귀손(龜孫)에게 입양되었음.
147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삼(子三)@이여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상(子上) - 문제(文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추존 황제. 사마의(司馬懿)의 둘째 아들로 위(魏) 나라에서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내면서 촉한(蜀漢)을 멸망시켜 진왕(晉王)이 됨. 아들 사마염(司馬炎)이 원제(元帝)의 선양을 받아 진 나라를 세우고 황제로 추존함.
215~26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상(子常) - 박성범(朴成範)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에게 청운(靑雲)이란 소자(小字)를 받았으며, 수직(壽職)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1568~165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자상(子常)@이항복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자상(子常)@서미성 - 서미성(徐彌性)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근(權近)의 사위.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역임하였으며, 아들 서거정(徐居正)의 공훈으로 달천부원군(達川府院君)에 추증됨.
1383~14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자상(子常)@조방 - 조방(趙汸)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학자.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春秋集傳)》을 저술하고, 역학(易學)과 천문학(天文學)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
1319~1369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상(子相) - 종신(宗臣)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참의(福建參議)ㆍ제학 부사(提學副使)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5~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상(子祥) - 유몽웅(柳夢熊)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탱(柳樘)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형 유몽표(柳夢彪)와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피란 도중 왜적이 어머니를 향해 칼을 내려치자 몸으로 막아 보호하고 죽음.
155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효자
-
자서(子胥)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서(子舒) - 강진휘(姜晉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강종경(姜宗慶)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ㆍ선전관(宣傳官)을 지냈지만 30세의 나이로 요절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서(子西)@최백 - 최백(崔白)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꽃과 새를 그리는 데 능숙하고, 불화(佛畵)나 산수ㆍ동물 그림이 정교함. 그와 제자 오원유(吳元瑜)에 이르러 북송 화조화(花鳥畵)의 격식이 바뀜.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자서(子西)@당경 - 당경(唐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문(時文)에 능하여 당시 ‘소동파(小東坡)’로 불렸으며, 저서로 《당자서문록(唐子西文錄)》 등이 있음.
1071~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석(子晳)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선(子先)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선(子善)@문려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선(子善)@조술 - 조술(曺述)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초기 사림파(士林派)의 대표적 인물인 조위(曺偉)의 5대손. 조위의 문집인 《매계집(梅溪集)》의 간행을 추진하고 그 발문(跋文)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유학
-
자선(子善) - 반시거(潘時擧)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가례도(家禮圖)를 작성한 인물로 추정되며, 무위군 교수(無爲軍敎授)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선(子鮮) - 공자전(公子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헌공(獻公)의 동생으로, 헌공이 자신을 복위시킨 영희(甯喜)를 죽이자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선(紫仙)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성(子性) - 이계명(李繼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진위장군(振威將軍) 행 오위도총부 도사(行五衛都摠府都事)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자성(子盛)@유기창 - 유기창(兪起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나, 좌의정 성준(成俊)이 연산군의 난정을 극간(極諫)하다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석방되어 비인현(庇仁縣)에 은거함.
1437~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자성(子盛) - 권경희(權景禧)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판(禮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자성(子聖) - 이응복(李應福)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들로, 신흠(申欽)의 누이와 혼인함.
156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성(子誠)@신계성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자성(子誠)@안자성 - 안자성(安子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안초(安迢)의 아들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냈음.
1447~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자성(子誠) - 김극핍(金克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산(高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남. 이항(李沆)ㆍ심정(沈貞)과 함께 세간에 삼간(三奸)으로 지칭되었음.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성(慈聖)@원성왕후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자성(慈聖)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성(慈聖)@정희대비 - 정희왕후(貞熹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비(妃). 본관은 파평(坡平).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번(尹璠)의 딸로,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됨. 1469년(성종 즉위) 손자인 성종(成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7년 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함.
1418~14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성(自成) - 이자성(李自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아버지로, 정읍 감무(井邑監務)를 지내고, 뒤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자성대비(慈聖大妃) - 정희왕후(貞熹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비(妃). 본관은 파평(坡平).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번(尹璠)의 딸로,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됨. 1469년(성종 즉위) 손자인 성종(成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7년 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함.
1418~14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성왕후(資成王后) - 의성왕후(義成王后)
신라 제53대 신덕왕(神德王)의 비. 성은 김(金). 헌강왕(憲康王)의 딸이며, 경명왕(景明王)ㆍ경애왕(景哀王)의 어머니.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비
-
자소(子昭) - 법경(法冏)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고승(高僧).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자소(子韶)@김구성 - 김구성(金九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으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자소(子韶) - 장구성(張九成)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지냈으나 진회(秦檜)에게 거슬려 파직당함. 종고(宗杲)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 종지(宗旨)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송(子松) - 이자송(李子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수원이씨(水原李氏)의 시조. 덕흥군(德興君)의 변란 때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단성보조공신(端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으나, 우왕의 방탕함을 간하다 파직되고, 요동정벌에 반대하다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자송(子松)@임자송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修) - 김필(金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修)@이희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修)@이시민 - 이시민(李時敏)@조선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유학. 이승직(李繩直)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아버지. 형인 이명민(李命敏)이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화를 당한 일로 인하여 안동(安東)의 금계촌(琴溪村)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자수(子修)@이준민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受)@홍천석 - 홍천석(洪天錫)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홍경우(洪儆禹)의 아버지로, 1616년(광해군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75~?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자수(子受) - 유문석(柳文錫)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유조인(柳祖訒)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壽)@도희령 - 도희령(都希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도득린(都得麟)의 아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을 지냄.
1539~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壽)@장구령 - 장구령(張九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재상ㆍ문인. 장열(張說)의 추천을 받아 중서시랑(中書侍郞)을 거쳐 재상이 되어 민생안정을 꾀하고,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태평천하를 이룩했으나 이임보(李林甫)의 모략으로 파직됨.
673~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壽) - 육구령(陸九齡)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아우 육구연(陸九淵)과 더불어 서로 사우(師友)가 되어 아호(鵝湖)에서 강학하면서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졌으며, 전주 교수(全州敎授) 등을 역임함.
113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壽)@팽귀년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守) - 도희령(都希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도득린(都得麟)의 아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을 지냄.
1539~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守)@권성오 - 권성오(權省吾)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권호신(權虎臣)의 아들로, 1612년(광해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저서로 《동암집(東巖集)》이 있음.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수(子秀)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粹)@박동선 - 박동선(朴東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사재감 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의 아들.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왕손을 호종하여 좌참찬(左參贊)에 오름.
1562~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粹)@최덕수 - 최덕수(崔德秀)
조선 전기의 문신. 이해(李瀣)의 사위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별좌(別座)ㆍ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粹) - 김옥려(金玉礪)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선무랑(宣務郞) 김보중(金寶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자수(子綏)@권경우 - 권경우(權景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대사헌 권경희(權景禧)와 이조 정랑 권경유(權景裕)의 형.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파직, 가산이 적몰(籍沒)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綏)@김기 - 김기(金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냄.
150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수(子綏)@이경기 - 이경기(李慶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요절함.
?~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자수(子綏) - 김계복(金繼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경연(金慶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자수(子綏)@송복견 - 송복견(宋福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진천(鎭川). 문과에 급제한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ㆍ만포 첨사(滿浦僉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수(子脩)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자수(子脩)@이자수 - 이자수(李子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5대조. 공민왕 때 홍건적(紅巾賊)을 평정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수(自修)@손자수 - 손자수(孫自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종제(從弟)인 손자신(孫自新)ㆍ손자임(孫自任)과 함께 주희(朱熹)에게 수학하였으며, 주희의 전훈(傳訓)을 기록한 책 1권이 《주자어록(朱子語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수(自修)@문자수 - 문자수(文自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유궁(儒宮)ㆍ민고(民庫)ㆍ향약(鄕約) 등 고을의 규범을 만들어 현(縣)의 본보기가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자수(自修) - 성석린(成石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초서(草書)를 잘 씀.
1338~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수(自守) - 신자수(申自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아들이고,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장인이 됨.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내고, 후에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수(自粹) - 김자수(金自粹)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대사성(大司成)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 문하에 박흥생(朴興生)ㆍ박흥거(朴興居) 등이 있음.
1350~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수황후(慈壽皇后) - 효강장황후(孝康張皇后)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孝宗)의 비(妃).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자숙(子淑) - 박중선(朴仲善)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5~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숙(自淑) - 정자숙(鄭自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정연(鄭淵)의 아들로,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淳) - 양자순(楊子淳)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양후(楊厚)의 아들이며, 교리(校理)를 지낸 양면(楊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純)@권호금 - 권호금(權好金)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와 40년 넘게 교유했고, 산수를 벗 삼아 벼슬하지 않으며 한적하게 일생을 보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자순(子純) - 한숙(韓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으로, 세마(洗馬) 한근(韓瑾)의 아들. 공조 판서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인 윤임(尹任)과 교분이 두텁다 하여 파직되어 이산(理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94~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舜)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醇)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서경주 - 서경주(徐景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로,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여 달성위(達城尉)에 책봉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총관(摠管)과 상의원 제조(尙衣院提調) 등을 지냄.
1579~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강자순 - 강자순(姜子順)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진주(晉州)로, 상호군(上護軍) 강휘(姜徽)의 아들. 문종의 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했으며, 성종(成宗) 때 황주 선위사(黃州宣慰使) 등을 지냄.
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순(子順)@한계희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 - 남제(南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역임함. 강희맹(姜希孟) 누이의 아들로, 《사숙재집(私淑齋集)》에 강희맹의 기시(寄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양이정 - 양이정(楊履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복건성(福建省) 천주(泉州)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순(子順)@원효연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기진 - 기진(奇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기묘명현(己卯名賢) 기준(奇遵)의 형이고, 기대승(奇大升)의 아버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아우 기준이 죽자 광주(光州)에 은거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487~15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순(子順)@박효남 - 박효남(朴孝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장단 부사(長湍府使) 박옹(朴顒)의 아들로, 지방관으로 재직시 선정을 베풀어 공덕비가 세워짐.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자순대비(慈順大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순대비윤씨(慈順大妃尹氏)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순왕대비(慈順王大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술(子述)@임계중 - 임계중(任繼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천(漣川)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81~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자술(子述)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자승(子乘)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승(自繩) - 신자승(申自繩)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좌의정을 지낸 신개(申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시(子始) - 강종수(姜終壽)
조선 전기의 문신. 주부(主簿)를 지내고 신광한(申光漢)ㆍ심언광(沈彦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伸) - 김한걸(金漢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문할 - 문할(文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1563~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