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신(子愼)@임서 - 임서(林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으로, 임복(林復)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570~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 - 최명창(崔命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부사과(副司果) 최철손(崔鐵孫)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조종경 - 조종경(趙宗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팽(趙彭)의 아들로, 전한(典翰)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果川)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95~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유견오 - 유견오(庾肩吾)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유신(庾信)의 아버지. 궁체시(宮體詩)의 대표작가로 성률(聲律)에 치중하여 이후 율시(律詩)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
48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新) - 유종덕(柳種德)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진태(柳振泰)의 아들이며, 유학 유약(柳瀹)과 유협(柳浹)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무신
-
자신(子新)@이명 - 이명(李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를 지낸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藎) - 이원효(李元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종(成宗)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명숭(李命崇)의 아버지로, 충청도 감사(忠淸道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신(自愼) - 권자신(權自愼)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거열형(車裂刑)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신(自新)@유자신 - 유자신(柳自新)
조선 제15대 광해군(光海君)의 국구(國舅). 유잠(柳潛)의 아들이자 이담(李湛)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함.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 등을 지내고,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에 봉해짐.
1541~161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신(自新)@정자신 - 정자신(鄭自新)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인 정식(鄭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자신(自新)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자신(自新)@윤자신 - 윤자신(尹自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식(尹湜)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 때 정즙(鄭緝) 등을 체포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종묘의 신주를 잘 보존하여 죽은 뒤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추록됨.
152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신거사(自信居士) - 서긍(徐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개경(開京)에 1개월간 머무르고, 귀국 후 《고려도경(高麗圖經)》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 나라에 소개함.
1091~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실(子實) - 박영(朴英)@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 성리학(性理學)뿐만 아니라 역학(易學)ㆍ천문(天文)ㆍ의술(醫術)에도 조예가 깊었음.
1471~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자실(子實)@이수 - 이수(李秀)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일손(金馹孫)과 금란계(金蘭契)를 결성하여 교유하였으며, 금천도 찰방(金泉道察訪)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자실(子實)@위섬지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실(子實)@조세영 - 조세영(趙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지부(趙之孚)의 아들.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趙士秀) 등과 함께 사유록(師儒錄)에 올랐고, 사성(司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심(子深)@허준 - 허준(許浚)
조선 전기의 유학. 최연(崔演)의 《간재집(艮齋集)》에, 그에 대해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심(子深) - 신계원(愼繼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창녕 현감(昌寧縣監)ㆍ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자심(子深)@임원준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아(子我) - 재여(宰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어학에 뛰어나 제(齊) 나라의 임묘 대부(臨苗大夫)가 되었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자공(子貢)과 함께 변설(辯舌)로 유명함.
B.C.522~B.C.45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아(自阿) - 홍자아(洪自阿)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원숙(洪元淑)의 아들로, 1469년(예종 1) 추장시(秋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남이공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 - 오치인(吳致仁)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목 판관(晉州牧判官)으로 있을 때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었으며, 1491년(성종 22) 촉석루를 중수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이충건 - 이충건(李忠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윤탁(李允濯)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靑坡驛)에서 죽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이숭인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이극기 - 이극기(李克基)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낸 이은(李誾)의 아버지로,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였으며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왕발 - 왕발(王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시문으로 명성을 떨쳐 초당사걸(初唐四傑)로 일컬어짐.
649~67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안(子安)@민영 - 민영(閔寧)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성 부정(江城副正) 이견손(李堅孫)의 장인. 고성 현령(固城縣令)ㆍ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등을 지냄.
1447~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암(紫巖) - 이민환(李民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저서로 《자암집(紫巖集)》이 있음.
1573~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자암(自庵)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암(自菴)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암김선생문집(自菴金先生文集) - 자암집(自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김구(金絿)의 시문집(詩文集). 2권 1책. 목판본.
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암김선생집(自菴金先生集) - 자암집(自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김구(金絿)의 시문집(詩文集). 2권 1책. 목판본.
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암유고(自庵遺稿) - 자암집(自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김구(金絿)의 시문집(詩文集). 2권 1책. 목판본.
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앙(子仰)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앙(子昂)@남경창 - 남경창(南慶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유학 남초(南怊)의 아들.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문사>유학
-
자앙(子昂)@조맹부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자앙(子昂) - 김수(金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개수(改修)하여 주를 붙임.
1547~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앙(子昂)@윤두수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야(子埜) - 강호문(康好文)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1362년(공민왕 11)에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함. 부인 문씨(文氏)는 왜구에게서 순결을 지켜 열녀(烈女)로 칭송됨. 이색(李穡)․권근(權近)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야(子野)@권사빈 - 권사빈(權士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버지로,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9~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야(子野) - 김굉(金㙆)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상정(李象靖)의 문인(門人)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냄. 문학에 남달리 뛰어났고 필법이 높아 능히 한 체제를 이룰 만하였음.
1739~18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자야(子野)@환이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야(子野)@유경 - 유경(柳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광주(廣州)와 여주(驪州)의 목사(牧使)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자야(子野)@이분 - 이분(李坋)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시학(詩學)에 정통하고 사려가 깊었으며,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자야(子野)@강호문 - 강호문(康好文)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1362년(공민왕 11)에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함. 부인 문씨(文氏)는 왜구에게서 순결을 지켜 열녀(烈女)로 칭송됨. 이색(李穡)․권근(權近)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약(子約)@유의검 - 유의검(兪義儉)
조선 연산군(燕山君)~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외손자로, 승문원 저작(承文院著作)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자약(子約)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약(子若) - 유약(有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曾參)의 반박으로 무산됨.
B.C.5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양(子揚) - 강승(姜昇)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봉서사(鳳棲祠)에 배향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학자
-
자양(子襄) - 공등(孔騰)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인물. 공자(孔子)의 9대손으로, 진 나라의 분서갱유(焚書坑儒) 때 《상서(尚書)》 등의 가서(家書)를 공자의 옛집 벽 속에 감추었다고 하며, 한(漢) 고조(高祖) 때 봉사군(奉祀君)으로 임명되어 공자의 제사를 전담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양(子讓)@우예손 - 우예손(禹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부령 부사(富寧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손인 이제신(李濟臣)이 지은 지문(誌文)이 《청강집(淸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자양(子讓)@황예창 - 황예창(黃禮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고,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459~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자양(子讓) - 김백겸(金伯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혁(金革)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
1429~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자양(子陽) - 왕길(王吉)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냄. 왕길이 공우(貢禹)와 친하였는데, 왕길이 인사를 맡은 자리에 앉자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는 자신을 천거해 주기를 기다렸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양(子陽)@공손술 - 공손술(公孫述)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역적. 왕망(王莽)의 부하였다가 경시제(更始帝)가 반란을 일으키자 군사를 일으켜 촉(蜀)ㆍ파(巴) 나라를 평정한 뒤 스스로 황제라 칭하고 나라를 성가(成家)라고 하였으나, 광무제(光武帝)에게 멸망됨.
?~3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자양(紫陽)@주의산 - 주의산(周義山)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불사(不死)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丹道)를 이룩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白玉蟾)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양(紫陽)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양(自陽) - 최자양(崔自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통천(通川).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으로 송도삼절(松都三絶)의 한 사람인 최립(崔岦)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유학
-
자양문집(紫陽文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양부자(紫陽夫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양부자서(紫陽夫子書)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자양산인(紫陽山人)@방회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양산인(紫陽山人) - 당고(唐皐)
조선 중종(中宗) 때 명(明) 나라에서 온 사신(使臣). 1521년(중종 16) 명 나라의 신황제등극반조정사(新皇帝登極頒詔正使)로 다녀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양옹(紫陽翁)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양인(紫陽人)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양진인(紫陽眞人) - 주의산(周義山)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불사(不死)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丹道)를 이룩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白玉蟾)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어(子圉) - 회공(懷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제후. 진(晉) 혜공(惠公)의 아들로 진(秦) 나라에 볼모로 잡혀있다 돌아왔지만, 망명했던 문공(文公)이 진(秦) 나라의 도움으로 돌아오자 고량(高梁)에서 살해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어(子魚)@화흠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어(子魚)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어(子魚)@사추 - 사추(史鰌)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이 간언(諫言)을 듣지 않자 시체가 되어서도 간하였다는 시간(屍諫)의 고사로 유명하며, 공자(孔子)로부터 직신(直臣)이라는 칭찬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언(子彦) - 김준손(金俊孫)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후에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책록됨. 연기김씨(燕岐金氏)의 시조.
1446~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엄(子嚴)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여(子余)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여(子與)@서중행 - 서중행(徐中行)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부사(福建副使)ㆍ강서 포정사(江西布政使)를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17~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여(子與) - 서기(徐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절재(節齋) 채연(蔡淵)의 문인(門人)으로 경사(經史)에 능하였으며, 특히 《주역(周易)》에 정통하여 《진재역설(進齋易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여(子輿)@서중행 - 서중행(徐中行)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부사(福建副使)ㆍ강서 포정사(江西布政使)를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17~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여(子輿) - 김광재(金光載)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恭愍王)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함.
1294~136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여(子輿)@권주 - 권주(權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영남삼량(嶺南三良)이라 하여 이름난 수령으로 칭송됨.
1458~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여(子輿)@증삼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여(子輿)@맹자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자여(子餘) - 석홍경(石洪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성품이 강직(剛直)하고 방정(方正)하였음.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연(子涓) - 채자연(蔡子涓)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세걸(蔡世傑)의 아버지로,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무신
-
자연(子淵)@홍형 - 홍형(洪泂)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연산군의 생모인 윤비(尹妃) 폐출사건에 적극 개입하였다 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됨.
1446~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연(子淵)@왕포 - 왕포(王褒)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인. 노비가 종사해야 할 일을 ‘백역(百役)’이라는 명칭으로 매권문(買券文)에 기록하고 《동약(僮約)》에 남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연(子淵)@유홍 - 유홍(柳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북병사(北兵使) 등 변경 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8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연(子淵)@이원 - 이원(李源)@1448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며, 진례군(進禮君) 이형(李衡)의 맏아들로,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연(子淵)@이자연 - 이자연(李子淵)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이한(李翰)의 아들로, 세 딸이 모두 문종의 비(妃)가 됨으로써 세력을 장악함.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종의 묘정에 배향됨.
1003~106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연(子淵)@임연 - 임연(任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석가로 유명한데, 시(詩)의 대가(大家)들도 이해하기 힘들다는 진사도(陳師道)의 시에 주를 달아 《후산시주(後山詩註)》를 펴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연(子淵)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자연(子衍)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열(子悅)@박승간 - 박승간(朴承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자열(子悅)@나세집 - 나세집(羅世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성균 생원(成均生員) 나빈(羅彬)의 아들이며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나세찬(羅世纘)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열(子悅) - 강흔수(姜欣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의 손자. 1510년(중종 5) 선공감(繕工監)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靈光)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자열(子烈)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염랑(紫髥郞)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영(子影)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영(子榮) - 박배원(朴培源)
조선 전기의 문인.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자영(子榮)@유인귀 - 유인귀(柳仁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사간(司諫)을 지낸 유문통(柳文通)의 아들. 봉상시 정(奉常寺正)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냄.
1463~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