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영(子永)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영(子濚) - 윤자영(尹子濚)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세종실록(世宗實錄)》ㆍ《문종실록(文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영(子英)@권준신 - 권준신(權俊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형 권호신(權虎臣)과 함께 입격함.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자영(子英)@이계준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자영(子英) - 김한웅(金漢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제(金濟)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영(自英)@이자영 - 이자영(李自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건공장군(建功將軍) 이주(李湊)의 아들이며,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아버지로, 의영고 주부(義盈庫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영(自英) - 박자영(朴自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진(朴稹)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식년시(式年試)와 1538년(중종 33) 탁영시(擢英試)에 급제하고,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자영(自瑩)@오세우의아버지 - 오자영(吳自瑩)@오세우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정언(正言)을 지낸 오세우(吳世祐)의 아버지로,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咸鏡道兵馬水軍虞侯)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무신
-
자영(自瑩)@조선전기 - 오자영(吳自瑩)@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구성 부사(龜城府使) 등을 지냄. 조위(曺偉)가 중국으로 사신 갈 때 의주(義州)에서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예(子藝)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예(子藝)@도응 - 도응(都膺)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죽마지우(竹馬之友)로, 고려 말에 찬성사(贊成事)를 지내다가 조선 건국 후 상장군(上將軍)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은거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오(子午) - 공자오(公子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신. 영윤(令尹)이 된 후 선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정(鄭) 나라를 정벌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루지 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오(子敖) - 기자오(奇子敖)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철(奇轍)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총부산랑(摠部散郞)을 지내고,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가 된 막내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원 나라로부터 영안왕(榮安王)에 추봉(追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자오(子烏)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오당(自娛堂)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옥(子玉)@유자옥 - 유자옥(兪子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대해 쓴 글이 실려 있으며,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도 그와 함께 용유담(龍遊潭)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옥(子玉)@최원 - 최원(崔瑗)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서예가. 문사(文辭)에 능하고, 장제(章帝) 때 두도(杜度)의 글씨체를 이어 장초(章草)를 잘 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자옥(子玉) - 관종(觀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관기(觀起)의 아들로, 성왕(成王) 때 성복(城濮)의 전역에 나갔다가 진(晉) 나라에 패해 돌아오는 길에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옥(自玉) - 성석용(成石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자 성석린(成石璘)의 아우로,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옥산인(紫玉山人)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온(子溫)@김덕장 - 김덕장(金德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구사맹(具思孟)ㆍ이이(李珥)ㆍ이우(李瑀) 등과 교유하여, 《팔곡집(八谷集)》ㆍ《율곡전서(栗谷全書)》ㆍ《옥산시고(玉山詩稿)》에 시(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자온(子溫)@황린 - 황린(黃璘)@황귀수의아들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문장가로 이름을 떨치고, 정붕(鄭鵬), 김일손(金馹孫) 등과 도의로 사귐.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자온(子溫)@윤옥 - 윤옥(尹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사익(尹思翼)의 아들이며 순회세자(順懷世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1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자온(子溫) - 심사공(沈思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1513년(중종 8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온(子溫)@조선 - 유자온(柳子溫)@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中宗) 때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낸 유공작(柳公綽)과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자온(子韞) - 강백진(康伯珍)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귀양 가서 1504년(연산군 10)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온(自溫) - 안자온(安自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학(幼學) 안경인(安景仁)의 아버지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자옹(子雍)@안세희 - 안세희(安世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참봉(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부 주부(東部主簿) 등을 지냄.
1481~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자옹(子雍) - 왕숙(王肅)
중국 삼국시대 위(魏)~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문신. 진(晉) 무제(武帝)의 외조부.
195~256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옹(鮓甕) - 인자옹(人鮓甕)
중국 호북성(湖北省) 자귀현(秭歸縣) 서쪽 구당협(瞿塘峽)의 하류 이름. 장강(長江)의 상류로, 물살이 험해 파선이 잘 되어 ‘사람 젓 담그는 독[人鮓甕]’이라 함. 황정견(黃庭堅)이 이곳을 두고 읊은 〈희답유문학(戱答劉文學)〉이라는 시가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자용(子容)@남궁괄 - 남궁괄(南宮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조카사위.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許與)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용(子容) - 소송(蘇頌)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우복야 겸 중서시랑(右僕射兼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사(經史)와 제자백가(諸子百家)는 물론 여러 분야에 능통하였고, 특히 의약학(醫藥學)과 천문학(天文學) 분야에 크게 공헌함.
1020~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용(子容)@이언괄 - 이언괄(李彦适)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로, 이언적(李彦迪)의 아우. 학행으로 천거되어 송라도 찰방(松蘿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형 이언적이 윤원형(尹元衡)의 일파에게 몰려 유배되자 상소문을 지어 윤원형의 전횡을 규탄함.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자용(子容)@정홍명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자용(子容)@심달원 - 심달원(沈達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참수된 심순문(沈順門)의 아들로, 심형(沈泂)에게 출계(出系)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외방으로 귀양갔다 돌아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내고, 외교문서 작성에 공을 세움.
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자용(子容)@우선언 - 우선언(禹善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노자(老子)ㆍ장자(莊子)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淸談派)의 한 사람으로, 자신을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비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자용(子容)@심연원 - 심연원(沈連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녹훈되고,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1~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용(子容)@기괄 - 기괄(奇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기찬(奇襸)의 셋째 아들이자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기준(奇遵)의 형으로,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자용(子容)@홍유손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자용(子用)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용(子鎔) - 김취정(金就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필(金匡弼)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자용(自鎔) - 김자용(金自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김희년(金禧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자우(子于) - 영현(伶玄)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문인. 회남상(淮南相) 등을 지냈으며, 첩인 번통덕(樊通德)에게 성제(成帝)의 황후인 비연(飛燕)의 자매(姉妹)에 대한 고사를 듣고 《비연외전(飛燕外傳)》을 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우(子友) - 정자우(鄭子友)
고려 전기의 향리. 진주정씨(晉州鄭氏) 자우계(子友系)와 은열공파(殷烈公派)의 시조로, 호장(戶長)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아전
-
자우(子牛) - 사마리(司馬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송(宋)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문인으로, 말이 많고 조급한 성격이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우(子羽) - 담대멸명(澹臺滅明)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 무성(武城) 사람으로, 공자(孔子) 만년의 제자.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우(子羽)@유자우 - 유자우(劉子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아들로, 진강지부(鎭江知府)ㆍ참의사(參議事) 등을 지냈음. 주희(朱熹)의 스승.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우(子羽)@왕한 - 왕한(王瀚)
중국 당(唐)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시인. 14편의 시가 전해지고 있으며, 그중 〈양주사(凉州詞)〉가 당대(唐代) 칠언절구(七言絶句) 중 걸작으로 인정받음.
687~72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우(子雨) - 이유(李濡)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민진후(閔鎭厚) 등과 교유함.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645~17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욱(自勗)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구엄 - 구엄(具渰)
조선 전기의 유학.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과 망년(忘年)의 지기(知己)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운(子雲)@박홍린 - 박홍린(朴洪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눌(朴訥)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82~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정한룡 - 정한룡(鄭漢龍)
조선 전기의 문신. 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낸 정광보(鄭光輔)의 아들이고 정사룡(鄭士龍)의 형. 수원 판관(水原判官)ㆍ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역임함.
1487~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종군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윤자운 - 윤자운(尹子雲)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경연(尹景淵)의 아들이자 신숙주(申叔舟)의 처남으로, 영의정 등을 지냄.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고려사(高麗史)》편찬에 참여하고, 좌익공신(佐翼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유응룡 - 유응룡(柳應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의정을 지낸 유순(柳洵)의 장남.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유종룡 - 유종룡(柳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예조 참의(禮曹參議) 유인호(柳仁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운(子雲)@홍간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이봉 - 이봉(李逢)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趙憲)ㆍ정경세(鄭經世)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운(子雲)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자운(慈雲)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자운(紫雲) - 자운서원(紫雲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기도 파주(坡州)에 세운 서원. 1650년(효종 1)에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김장생(金長生)ㆍ박세채(朴世采) 등을 배향함.
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자운(紫雲)@강학년 - 강학년(姜鶴年)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掌令)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 효종(孝宗) 때 홍명하(洪命夏)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회덕의 용호사(龍湖祠)에 제향됨.
1585~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元)@권박 - 권박(權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권령(權齡)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도화서 별제(圖畫署別提)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147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元) - 경제(景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대장군. 조카인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이 왕위를 찬탈하여 진(晉)을 세운 뒤 경제(景帝)로 추존함.
208~25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원(子元)@서거정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원(子元)@주박 - 주박(朱博)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무신. 절친한 벗인 소육(蕭育)과 서로 추천하여 높은 벼슬에 올랐으며, 기주 자사(冀州刺史) 등을 지내면서 뛰어난 일 처리 능력을 인정받음. 《한서(漢書)》에 전(傳)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원(子圓) - 홍여방(洪汝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길민(洪吉旼)의 아들.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源) - 홍연(洪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척(洪陟)의 아들.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의(執義)를 지냈으나 불교를 배척하다 파출되고, 이듬해 복직되었으나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종신토록 자취를 감춤.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遠)@손준 - 손준(孫峻)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ㆍ종친. 손공(孫恭)의 아들로, 태상경(太常卿) 등윤(滕胤)과 함께 오왕(吳王) 손량(孫亮)을 꾀어 대장군(大將軍) 제갈각(諸葛恪)을 제거한 후 권력을 장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원(子遠) - 정전(鄭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윤운(鄭允耘)의 아들로, 정형운(鄭亨耘)에게 출계함.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등을 지냄.
1475~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遠)@황기준 - 황기준(黃起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호분위 부호군(虎賁衛副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위(子▼(由/巴)) - 정분(鄭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감독함.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 낙안(樂安)에 안치되어 관노(官奴)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儒) - 장안세(張安世)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상서령(尙書令)ㆍ우장군(右將軍) 등을 지내고, 곽광(霍光)과 함께 선제를 옹립한 공로로 대사마(大司馬)가 됨. 선제가 기린각(麒麟閣)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ㆍ한증(韓增)과 함께 그려짐.
?~B.C.6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유(子幼) - 양운(楊惲)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사마천(司馬遷)의 외손으로, 곽씨(霍氏)의 모반(謀反)을 고변하여 열경(列卿)에 오르고 평통후(平通侯)에 봉해짐.
?~B.C.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유색 - 유색(柳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영립(柳永立)의 아들. 근친인 소북(小北)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전랑(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韓繼男)을 탄핵함.
1561~16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김흥경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有)@유약 - 유약(有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曾參)의 반박으로 무산됨.
B.C.5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有)@남이신 - 남이신(南以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호(南琥)의 아들이자, 이조 판서 남이공(南以恭)의 형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시절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2~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최유지 - 최유지(崔攸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최온(崔薀)의 아들로, 사간(司諫) 등을 지냄.
1603~167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柔)@한확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유(子柔) - 이위(李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태천 현감(泰川縣監) 이윤검(李允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유(子游)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游)@언언 - 언언(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노 나라 무성(武城)에서 예악(禮樂)으로 고을을 잘 다스림.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고 예(禮)의 사상이 투철함.
B.C.506~B.C.4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猶) - 양구거(梁丘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 경공의 총애를 받았으며, 경공이 노(魯) 나라 정공(定公)과 회동할 때 경공을 따라 그 자리에 참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유(子猷)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자유(子猷)@정숭 - 정숭(鄭崇)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상서 복야(尙書僕射)로 발탁된 뒤 가죽신발을 신고 소리를 내면서 왕 앞에 나와 직간(直諫)을 자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瑜) - 제갈근(諸葛瑾)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제갈각(諸葛恪)의 아버지이자 제갈량(諸葛亮)의 형. 손권(孫權)에게 신임을 얻고, 촉(蜀) 나라에 사신으로도 많이 활동했으며 예주목(豫州牧) 등을 지냄.
174~24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유(子由)@김자유 - 김자유(金子由)
고려 후기의 유학.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고,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를 위해 지은 시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유(子由) - 소철(蘇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식(蘇軾)의 동생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門下侍郞) 등을 지냄.
1039~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유(子由)@권규 - 권규(權逵)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사직공(司直公) 권시득(權時得)의 아들이며, 권문현(權文顯)ㆍ권문임(權文任)ㆍ권문언(權文彦)ㆍ권문저(權文著)의 아버지. 청향당(淸香堂) 이원(李源)과 교유함.
1496~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由)@김부의 - 김부의(金富儀)@고려
고려 문종(文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아들. 1134년(인종 12) 형인 김부식(金富軾)과 함께 묘청(妙淸)의 반란을 평정함.
1079~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由)@김광철 - 김광철(金光轍)@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심언광(沈彥光)ㆍ기준(奇遵) 등과 교유함.
1493~155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裕) - 김연(金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司諫)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遊) - 정숭(鄭崇)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상서 복야(尙書僕射)로 발탁된 뒤 가죽신발을 신고 소리를 내면서 왕 앞에 나와 직간(直諫)을 자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酉) - 김언경(金彦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자유(自由)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유(自裕) - 안자유(安自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임(安恁)의 아들로, 안명세(安名世)와 절친함.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51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允) - 김수손(金首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했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撰進)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