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윤(子潤)@유종인 - 유종인(柳種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서산유씨(瑞山柳氏) 28세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유섭(柳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자윤(子潤)@이영 - 이영(李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명종 때 경연(經筵)에 참가하여 명(明) 나라가 우리나라의 사신 접대를 소홀히 함을 지적하고 북경(北京)과의 무역금지를 건의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潤) - 유자(柳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황간 현감(黃澗縣監)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냈음.
149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胤)@김직손 - 김직손(金直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낸 김회윤(金懷允)의 아들로,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등을 지냈음.
1437~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胤) - 김수손(金首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했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撰進)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융(子融)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은군(慈恩君)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자은종(慈恩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자응(子應) - 윤희인(尹希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준정(尹俊丁)의 아들로,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사림파의 신진세력을 배척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65~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자응(子膺)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의(子儀)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의(子宜)@서의 - 서의(徐誼)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냈으며, 지임안부사(知臨安府事)로 있을 때 조여우(趙汝愚)가 정승에서 파직되자 항론(抗論)하여 유임하게 함.
1144~120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의(子宜) - 민유의(閔由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민지(閔漬)의 증손으로,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의공신휘헌강인정숙온혜장렬왕후(慈懿恭愼徽獻康仁貞肅溫惠莊烈王后)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의대비(慈懿大妃)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의전(慈懿殿)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이(自邇) - 안초(安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안계인(安季仁)의 아들이며, 안자성(安子誠)의 아버지로,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20~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이당(自怡堂)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익(子益)@김창흡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자익(子益)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익(子益)@이겸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익(子翼)@사마량 - 사마량(司馬亮)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왕족.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아들로 태재(太宰) 등을 지냈으나, 혜제의 황후 가씨(賈氏)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자익(子翼) - 구순(寇恂)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공신. 광무제의 28장(將) 중 한 사람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자인(子仁)@이수남 - 이수남(李壽男)@이함장의아들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조 참판 이함장(李諴長)의 아들.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었으나 과음하여 32세로 요절함.
1439~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정세호 - 정세호(鄭世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상조(鄭尙祖)의 아들이며, 선조(宣祖)의 외할아버지. 국고물(國庫物)의 도절범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죄과를 눈감아주는 등 비루한 행동이 많아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오름.
1486~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이만년 - 이만년(李萬年)
조선 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연산수(連山守) 이사창(李嗣昌)의 넷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파산(坡山)에서 죽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인(子仁)@이영원 - 이영원(李永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문객(門客)으로, 전서(篆書)ㆍ예서(隸書)ㆍ팔분서(八分書)에 능하고 시(詩)를 좋아하였으며, 《송명파수집(松明破睡集)》을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자인(子仁) - 권사복(權思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당문학(政堂文學) 백문보(白文寶)의 문인으로, 김구용(金九容)ㆍ이숭인(李崇仁)ㆍ이무방(李茂芳) 등과 동문(同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윤증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한형원 - 한형원(韓亨元)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양군(西陽君) 한의(韓嶬)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거쳐 금화사 별제(禁火司別提) 등을 지냈음.
1461~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박희중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인(子因) - 정가종(鄭可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대사헌 정수홍(鄭守弘)의 아버지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수학하였으며, 예조 판서를 지냄. 《목은고(牧隱藁)》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寅) - 남회(南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남효의(南孝義)의 부친이며,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자일(子一)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일(子逸)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임(子任) - 윤석보(尹碩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간신 임사홍(任士洪)을 극형에 처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때 연산군에게 충언(忠言)하다가 유배되어 죽음. 후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자임(子任)@김광진 - 김광진(金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출사 후 주로 지방 관직에 재임하면서 치적을 쌓아 백성들의 칭송이 높았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임(子任)@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임(自任) - 윤자임(尹自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금손(尹金孫)의 아들로, 문무를 겸비하고 삼사(三司)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좌승지로 있을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북청(北靑) 배소에서 죽음.
1488~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자잠(子潛) - 화찰(華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ㆍ동궁 시독(東宮侍讀) 등을 지냈으며, 1539년(조선 중종 34)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
1497~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將)@양구거 - 양구거(梁丘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 경공의 총애를 받았으며, 경공이 노(魯) 나라 정공(定公)과 회동할 때 경공을 따라 그 자리에 참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장(子將) - 노관(盧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노진(盧禛)의 동생. 강익(姜翼)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152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將)@허소 - 허소(許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매월 초하루마다 인물평을 한 데서 유래한 '월단평(月旦評)' 고사의 장본인으로, 형 허건(許虔)과 함께 ‘평여이룡(平與二龍)’으로 불림. 조조(曹操)를 평하여 '청평(淸平)의 간적(姦賊), 난세(亂世)의 영웅(英雄)'이라 한 일로 유명함.
150~19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장(子張)@배대유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張)@김진강 - 김진강(金振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응복(金應福)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어록(語錄)을 기록한 것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의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5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張)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장(子張)@이극강 - 이극강(李克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운산군(雲山君) 이계(李誡)의 증손. 1564년(명종 1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張)@당인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자장(子章) - 강맹경(姜孟卿)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짐. 145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410~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장(子長)@공야장 - 공야장(公冶長)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이며 사위. 그에 대한 일화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장(子長)@윤승해 - 윤승해(尹承解)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윤유연(尹裕延)의 아들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거쳐 검교상서 호부시랑(檢校尙書戶部侍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통진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長)@이원손 - 이원손(李元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수에 참여하였으며, 대간(臺諫)으로서 윤원형(尹元衡)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밀려났다가 뒤에 참의(參議)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장(子長)@이 - 이귀(李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유학 이영우(李永祐)의 아버지. 무오(戊午)ㆍ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동생 이원(李黿)에게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재기용되어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등을 지냄.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장(自璋) - 노자장(盧自璋)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부호군(副護軍) 노정(盧禎)의 아들이며, 좌통례(左通禮) 노한문(盧漢文)의 아버지로, 사정(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자장율사(慈藏律師) - 자장(慈藏)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의 고승. 636년(선덕여왕 5)에 당(唐) 나라에서 귀국하여, 분황사(芬皇寺) 대국통(大國統)을 지내며 불교 교단의 기강 확립에 주력함. 통도사(通度寺)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월정사(月精寺)ㆍ백담사(百潭寺) 등 1백여 개의 사찰을 창건한 것으로 전함. 저서에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ㆍ《관행법(觀行法)》등이 있음.
590~658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자장자(子張子) - 장재(張載)@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에게서 배움. 송 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1020~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재(子才)@마존 - 마존(馬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초주(楚州)에 살았으며, 〈연사정(燕思亭)〉이라는 시에서 이백(李白)을 노래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재(子才)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저구(子杵臼) - 소공(昭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19~B.C.611. 성공(成公)의 아들로, 맹저(孟諸)에서 사냥하던 도중에 조모(祖母)인 양부인(襄夫人)과 결탁한 서제(庶弟) 문공(文公)에게 피살됨.
?~B.C.61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적(子迪) - 김연(金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司諫)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자적(子適) - 공자하(公子瑕)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630~B.C.628. 성공(成公)을 내쫓은 대부 원훤(元晅)의 옹립으로 왕이 되었으나, 2년 뒤에 성공(成公)이 주(周) 나라 천자의 협조를 받아 다시 복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적(自適) - 서자적(徐自適)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전(子傳) - 장안(張晏)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사기(史記)》를 주해(註解)하였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전(子全) - 나승중(羅承重)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를 지낸 나진충(羅盡忠)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전심씨(慈殿沈氏)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절(子節)@한치례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절(子節) - 탁광수(卓光守)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검상(檢詳)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맏아들로, 역학(易學)에 뛰어났으며, 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역임함.
1463~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점(子斬)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자점(子漸) - 안홍(安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으로, 1566년(명종 21)에 청주 목사(淸州牧使)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기여함.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점(自點) - 김자점(金自點)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伏誅)됨.
1588~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定) - 김지남(金止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김표(金彪)의 아들로, 경상 감사(慶尙監司) 등을 지냈음. 광해군(光海君)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죽이고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하려는 이이첨(李爾瞻) 일당의 죄상을 폭로함.
1559~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挺)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자정(子政)@허건 - 허건(許虔)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뛰어난 재능과 학문으로 동생 허소(許劭)와 함께 ‘평여이룡(平與二龍)’으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정(子政)@이정립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政) - 유향(劉向)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성제(成帝) 때의 학자. 선제 때 간대부(諫大夫)로 등용되고 석거각(石渠閣)에서 오경(五經)을 강의하였으며, 《설원(說苑)》ㆍ《열녀전(列女傳)》ㆍ《전국책(戰國策)》등 많은 저서를 남김.
B.C.79?~B.C.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자정(子正)@왕우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正)@강자정 - 강자정(姜子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상호군(上護軍) 강휘(姜徽)의 아들이고,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의 아우. 1469년(예종 1) 증광시(增廣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하였으며,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정(子正)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정(子正)@이감 - 이감(李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군수(郡守)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淨) - 이찬(李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중종 때 이임(李任) 등을 탄핵한 일로 부여(扶餘)에 유배되었다가 사면된 뒤 집의(執義)ㆍ시강관(侍講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精)@윤응규 - 윤응규(尹應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주 목사(尙州牧師) 윤탕(尹宕)의 아들이자 죽재(竹齋) 윤인함(尹仁涵)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精) - 신경인(申景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성군(東城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겸 포도대장(捕盜大將)을 거쳐 어영대장(御營大將)에 특차되어 중앙의 군사권을 장악함.
1590~16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정(子精)@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精)@이양중 - 이양중(李養中)@고려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역임하였으며,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貞) - 검루(黔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지절(志節)을 숭상하여 노(魯) 나라의 공공(恭公)이 곡식 3천 종(鐘)을 하사하였으나 받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정(子靜)@김양행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이곤 - 이곤(李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인문(李仁文)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1506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에 삭록됨.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462~152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이인 - 이인(李仁)@1465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아들인 이기(李祺)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南海)에 유배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65~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정(子靜)@육구연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염복 - 염복(閻復)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강엽(康曄)의 문인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절서도 숙정염방사(浙西道肅政廉訪使) 등을 지냄.
1236~131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이립 - 이립(李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대의 문신. 진보 현감(眞寶縣監)을 지내고, 이춘영(李春英) 등과 교유함. 이춘영을 방문했다가 헤어질 때 주고받은 시가 《체소집(體素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정(自埥) - 김자정(金自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 청백리(淸白吏)로 이름 난 김연수(金延壽)의 아버지로, 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정자(子程子)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자(子程子)@정이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조(子朝) - 고죽군(孤竹君)
중국 은(殷) 나라 고죽국(孤竹國)의 군주.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아버지.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조(子朝)@왕자조 - 왕자조(王子朝)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제24대 경왕(景王)의 서자(庶子)로, 경왕이 죽은 후 개(匄)와 왕위를 다투고 국인(國人)들이 세운 경왕의 장자인 도왕(悼王)을 죽였으나, 진(晉) 나라가 개를 옹립하여 경왕(敬王)으로 삼자 초(楚) 나라로 도망감.
?~B.C.50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종(子從) - 곽숙운(郭叔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조주(潮州) 게양인(揭陽人)으로,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종(自宗)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