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주(子胄) - 노종(盧宗)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지인(志仁)이 그를 통해 김인후(金麟厚)에게 시(詩)를 지어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주(子舟) - 김윤제(金允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강응정(姜應貞) 등과 향약(鄕約)을 맺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는데, 세상 사람들이 소학계(小學契)ㆍ효자계(孝子契)라고 칭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주(慈州)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자주(慈舟)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
-
자주자(子朱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준(子俊)@여자준 - 여자준(余子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을 쌓고 보루를 만드는 데 큰 공을 세움.
1429~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준(子俊) - 이계동(李季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계남(李季男)의 아우. 이극균(李克均)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藩記)》ㆍ《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하였으며, 관직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름.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
-
자준(子峻) - 김령(金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柳成龍)의 막하로 자진하여 종군하였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장령(掌令)ㆍ집의(執義)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음.
1577~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준(子濬)@한명회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준(子濬)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준(子駿)@선우신 - 선우신(鮮于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절동 전운사(浙東轉運使)로 떠날 때, 사마광(司馬光)이 동쪽 지역의 폐해를 구제하는 것은 선우신이 아니면 불가능하니 그야말로 일로(一路)의 복성(福星)이라고 말한 고사가 있음.
1019~10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준(子駿) - 유흠(劉歆)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유향(劉向)의 아들로, 황실의 도서를 교감하고 관리하였으며, 중국 최초의 도서목록인 《칠략(七略)》를 편찬함. 뒤에 왕망(王莽)이 국사(國師)로 삼았으나 그를 모살하려다 실패하여 자살함.
B.C.53?~A.D.2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중(子中)@왕동 - 왕동(王同)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동학 정관(丁寬) 등과 함께 전하(田何)로부터 《주역(周易)》을 전수받아 양하(楊何) 등의 제자에게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처후(處厚)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척(倜)@허척 - 허척(許倜)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허귀룡(許貴龍)의 셋째 아들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척(倜) - 조척(曺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였고, 함창(咸昌)의 원으로 있을 때 함녕루(咸寧樓)를 중수함. 기문(記文)이 종형(從兄)인 조위(曺偉)의 《매계집(梅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척(惕) - 정척(鄭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호조 참판 정언각(鄭彦慤)의 아들. 1549년(명종 4)의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ㆍ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냄.
1517~159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척(脊) - 노척(盧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사흔(盧士訢)의 아들이며, 대군사부(大君師傅) 노형필(盧亨弼)의 아버지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척(陟)@홍척 - 홍척(洪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집의(執義) 홍연(洪演)의 아버지로, 중군사(中軍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척(陟) - 윤척(尹陟)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안숙(尹安淑)의 아들로, 우부대언(右副代言)을 지냈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척(陟)@정책 - 정척(鄭陟)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성근(鄭誠謹)의 아버지로,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士)를 지냄. 해자(楷字)와 전자(篆字)에 뛰어나 새보(璽寶)와 관인(官印)을 다수 제작하고,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어 많은 의제(儀制)를 찬(撰)함.
1390~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척금(滌襟)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척기(拓基)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척발원각(拓跋元恪) - 선무제(宣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7대 황제. 재위 499~515. 제6대 효문제(孝文帝)의 아들로 재위 기간 동안 정치가 부패하고 조정의 기강이 문란해짐.
483~51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척산군(陟山君) - 박원경(朴元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과 왕비 사후 명복을 빌기 위해 짓는 광통 보제선사(廣通普濟禪寺) 공사를 감독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척성군(陟城君) - 박원경(朴原鏡)
고려 우왕(禑王) 때의 재신(宰臣). 현감(縣監)을 지낸 양신지(梁信之)의 처조부(妻祖父)임.
?~13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척암(惕庵) - 김근공(金謹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모(金瑁)의 서자로, 박응남(朴應男) 등과 함께 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함.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척암(惕菴) - 김근공(金謹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모(金瑁)의 서자로, 박응남(朴應男) 등과 함께 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함.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척암(拓庵) - 김도화(金道和)
조선 고종(高宗)~순종(純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의성(義城). 김약수(金若洙)의 아들이며,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문인(門人).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
1825~1912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척약(惕若)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척약재(惕若齋)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척약재(惕若齋) - 김약항(金若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명 나라에 보낸 표전(表箋)으로 인해 명 나라에 불려가 억류되었으며, 후에 다른 일로 양자강(揚子江)으로 귀양가 사망함.
?~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척약재선생학음집(惕若齋先生學吟集)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金九容)의 시문집(詩文集). 저자의 유고(遺稿)를 모은 본집(本集)과, 교유한 제인(諸人)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外集)으로 구성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척약재집(惕若齋集)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金九容)의 시문집(詩文集). 저자의 유고(遺稿)를 모은 본집(本集)과, 교유한 제인(諸人)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外集)으로 구성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척언(摭言) - 사재척언(思齋摭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정국(金正國)이 시화(詩話) 또는 명유(名儒)들의 일화(逸話)를 중심으로 평소 보고들은 바를 기록한 잡록집(雜錄集).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척주(陟州)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척화론(斥和論) - 주전론(主戰論)
화전(和戰) 양론(兩論)에서 싸우기를 주장하는 논의. 대표적으로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 삼학사(三學士) 등이 최명길(崔鳴吉)을 중심으로 한 주화론(主和論)에 대응하여 주장함.
사상>기법>방법
-
척화삼학사(斥和三學士) - 삼학사(三學士)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결사 항전을 주장한 세 학사.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를 일컫는 말로, 이들은 끝까지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1637년(인조 15) 중국 심양(瀋陽)에 잡혀가 처형당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척후(戚侯)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척희(戚姬) - 척부인(戚夫人)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총비(寵妃). 고조(高祖)가 죽은 뒤 여후(呂后)에 의해 팔다리가 잘리고 눈이 뽑히며 벙어리ㆍ귀머거리가 된 채 측간에 갇혀 ‘사람돼지(人彘)’라고 불림.
?~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천(仟) - 이천(李仟)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보승 별장(保勝別將) 이순(李順)의 아들로,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ㆍ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천(蒨)@고려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蒨)@조선 - 이천(李蒨)@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천(蕆) - 김천(金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김영후(金永煦)의 아들로,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蕆)@신천 - 신천(辛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스승을 문묘(文廟)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지공거(知貢擧)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3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천(蕆)@한천 - 한천(韓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낸 한대순(韓大淳)의 아들로, 고려에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고(遷^固) - 반^마(班^馬)
중국 전한(前漢) 때 《사기(史記)》를 저술한 사마천(司馬遷)과 후한(後漢) 때 《한서(漢書)》를 저술한 반고(班固)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천^낙^삭(川^洛^朔) - 삭^촉^낙(朔^蜀^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수구파(守舊派)인 삭당(朔黨)ㆍ촉당(蜀黨)ㆍ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 촉당은 소식(蘇軾), 삭당은 유지(劉摯)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원우삼당(元祐三黨)으로 불림.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천각(天覺) - 이달존(李達尊)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아들로, 충혜왕이 원(元) 나라에 잡혀갈 때 아버지와 함께 배종하였다가, 충혜왕이 복위하자 전리 총랑(典理摠郞)이 되어 이듬해 귀국하던 도중 병사함. 문장이 뛰어남.
1313~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강(天江)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천강(天降) - 문천강(文天降)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영평개국남(永平開國男) 문탁(文倬)의 아들로, 문하시중 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ㆍ태사(太師)ㆍ태부(太傅)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천개소문(泉蓋蘇文)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천거과(薦擧科) - 현량과(賢良科)
조선 중종(中宗) 때 조광조(趙光祖)의 건의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과거제도 대신 대책(對策)을 시험보아 선발한 관리등용제도. 1519년(중종 15) 처음 시행되어 28명을 선발하였으나 조광조가 실각하면서 폐지됨.
1519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천건(天健)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경(千璟) - 홍천경(洪千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 정유재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등을 지냄.
155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경(天卿) - 박천경(朴天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형인 송은(松隱) 박익(朴翊)과 함께 낙향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천경(天慶) - 이천경(李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 저서로 《일신당집(日新堂集)》이 있음.
1537~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문인
-
천경(天擎) - 송정황(宋庭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동복 현감(同福縣監) 송구(宋駒)의 아들이고 구례 현감(求禮縣監) 송정순(宋庭筍)의 동생으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천계(天啓)@우천계 - 우천계(禹天啓)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찬성사(贊成事) 우제(禹磾)의 아버지이며, 우천규(禹天珪)의 동생으로, 판서(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천계(天啓)@이천계 - 이천계(李天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좌의정 홍언필(洪彦弼)을 논핵(論覈)하였다가 이기(李芑)의 배척을 받고 삭탈관직되었으며,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다시 이기의 무고를 받아 영해부(寧海府에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천계(天桂) - 영성대군(永城大君)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형.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懿惠王后) 사이의 장남.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길재(吉再)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며 경리(經理)를 강론(講論)함.
1333~1392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종친
-
천계제(天啓帝) - 희종(熹宗)
중국 명(明)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1620~1627. 이 시기에 악명 높은 환관 위충현(魏忠賢)이 조정을 장악하여 나라가 쇠락해짐.
1605~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곡(泉谷)@문려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곡(泉谷)@탁문위 - 탁문위(卓文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맏아들로, 충렬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천곡(泉谷)@최원도 - 최원도(崔元道)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 최유진(崔有珍)의 아들. 대사간(大司諫)을 지냈으나, 고려가 기울어가는 것을 보고, 고향 영천(永川)으로 돌아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천곡(泉谷)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천곡(泉谷)@송상현 - 송상현(宋象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화 현감(松禾縣監) 송복흥(宋復興)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래 부사(東萊府使)로서 항전하다가 순직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무신
-
천구(天衢) - 이통(李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선공감 감역관(繕工監監役官) 이인상(李麟祥)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증(李景曾)의 아버지로, 순천 군수(順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천국(天菊)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천귀(天貴) - 박천귀(朴天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거(朴興居)ㆍ박흥생(朴興生) 형제의 아버지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냄.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천규(天珪) - 우천규(禹天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성균좨주(成均祭酒) 우탁(禹倬)의 아버지로, 남성전서 문하시중(南省典書門下侍中)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천극(天極) - 북극성(北極星)
천구상의 북극 가까이에서 빛나는, 작은곰자리의 가장 밝은 별.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됨. 예로부터 사계(四季)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겨졌으며, 때로는 천자(天子)를 가리키기도 함.
자연물>천체
-
천근(天根) - 저성(氐星)
28수(宿)의 하나로, 동방칠수(東方七宿)의 세 번째 별 이름.
자연물>천체
-
천기(天機) - 권몽태(權夢台)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어릴 때 같은 마을에서 자랐으며, 권호문이 지은 만사(輓詞)가 《송암집(松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천기(天祺) - 장전(張戩)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호(程顥)의 문인으로, 사죽감(司竹監)이 되었을 때에는 온 집안이 죽순(竹筍)을 입에도 대지 않았다는 일화가 《송사(宋史)》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천녀(天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천년(天年) - 유경(柳璥)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김준(金俊) 등과 함께 최의(崔竩)를 죽여 최씨의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종식시킴.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내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안향(安珦)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함.
1211~128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능(千能) - 제갈천능(諸葛千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순희(淳熙) 연간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관직은 가흥 주부(嘉興主簿)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천덕(天德)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천독(天督)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천독(天篤)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천두(天豆)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천령(千齡) - 김천령(金千齡)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만균(金萬鈞)의 아버지.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69~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령(千齡)@임천령 - 임천령(林千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순위(忠順衛) 임우형(林遇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천령(千齡)@정천령 - 정천령(鄭千齡)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권은(權殷)ㆍ박수춘(朴壽椿)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천령(天嶺) - 함양(咸陽)
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천령박씨(天嶺朴氏) - 함양박씨(咸陽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신라 경명왕(景明王)의 셋째 아들인 속함대군(速咸大君) 박언신(朴彦信)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함양 , 인명>집단>성씨
-
천령병부(天嶺病夫)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로(天老)@구수담 - 구수담(具壽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1550년(명종 5)에 윤원형(尹元衡)의 계략에 의해 사사됨. 언관으로서 기묘명현들의 신원의 길을 열어놓음.
150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천로(天老) - 윤담수(尹聃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형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승사랑(承仕郞)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로(天老)@남천로 - 남천로(南天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풍저창 부사(豐儲倉副使) 남익지(南益胝)의 아들로,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를 지냈으며,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인 두 손자 남재(南在)ㆍ남은(南誾)의 공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천로(天輅)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천록(天祿) - 김천록(金天祿)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삼별초의 난 때 진도(珍島)에서 김방경(金方慶)을 위기에서 구하였고, 1274년(충렬왕 1) 일본정벌에서도 전공을 세움. 도첨의시랑찬성사(都僉議侍郞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무신
-
천뢰(天賚) - 성몽열(成夢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1539년(중종 3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함경도 도사(咸鏡道都事)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천룡(天龍) - 양천룡(梁天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양우(梁祐)의 아들. 공양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으나,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남원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천루(川樓) - 오국륜(吳國倫)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귀주 제학(貴州提學)ㆍ하남 참정(河南參政) 등을 지냈으며,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後七子)로 불림.
1524~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천리(千里) - 고변(高騈)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무신. 황소(黃巢)의 난을 평정하여 천하에 위명(威名)을 떨쳤으나, 여용지(呂用之)의 말을 믿다가 황제의 신임을 잃은 뒤 신선술을 닦으며 무료하게 보내던 중 필사탁(畢師鐸)에게 죽임을 당함.
?~88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천린(天麟) - 기천린(奇天麟)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자오(奇子敖)의 손자로,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천마(天磨) - 삭주(朔州)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해 있으며, 1018년(현종 9)에 영새(寧塞)에서 삭주(朔州)로 명칭이 변경됨.
평안도>삭주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