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천명(天命) - 김천명(金天命)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이 지은 〈차한익부익지김여순증별운(次韓益夫益之金汝順贈別韻)〉이라는 시가 《물암집(勿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천목(天牧)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천목산인(天目山人) - 서중행(徐中行)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부사(福建副使)ㆍ강서 포정사(江西布政使)를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17~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천문(千文) - 천자문(千字文)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글을 짓고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 중에서 해당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는, 천(千) 자로 이루어진 사언고시(四言古詩).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천민(天民)@홍천민 - 홍천민(洪天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로, 성혼(成渾)의 문인. 교지(敎旨) 작성에 뛰어나 여러 번 도승지(都承旨)를 지냄.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민(天民)@설장수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민(天民)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민(天民)@윤취 - 윤취(尹就)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낼 때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천민진(遷民鎭)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천민현(遷民縣)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천방(天放)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천백(千百)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천보(天保) - 안천보(安天保)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천선(安天善)의 아들이며,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외조부. 고려 말에 벼슬하다 면직되어 오랫동안 은거하였으며, 조선 때 등용되어 좌의정 등을 지냄.
1339~14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천봉(千峯)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천봉(天鳳) - 유천봉(劉天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유창(劉敞)의 아버지로, 안악 군사(安岳郡事)를 지내고 충근익대수의협찬보조공신(忠勤翊戴守義協贊褓祚功臣)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천부(天富) - 김천부(金天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벽(金碧)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진사시에 입격하여,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천부(天符) - 민천부(閔天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汶)의 아버지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냄.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천사(天師) - 장도릉(張道陵)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도사(道士).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최초의 도교(道敎) 교단 천사도(天師道)의 창시자. 천인(天人)이 내리는 도(道)를 받고 사람들의 병을 잘 고쳤으므로, 많은 신자를 얻어 천사(天師)라 불림.
?~15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천사(天賜)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천사(川沙) - 김종덕(金宗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성학입문(聖學入門)》 등 많은 저술을 남김.
1724~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사(遷史)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천산재(天山齋)@허천수 - 허천수(許千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참봉(參奉)을 지내고, 저서로 《천산재유집(天山齋遺集)》을 남김.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09~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천산재(天山齋) - 이함형(李咸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황이 《심경(心經)》을 강의할 때 내린 자구 해석을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필사하여 《심경석의(心經釋疑)》를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천상(天常)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천상(天相)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천상(天祥)@고흥운 - 고흥운(高興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고윤종(高胤宗)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 문과(式年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상(天祥)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천상(天祥)@봉천상 - 봉천상(奉天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희릉 참봉(禧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기묘사화에 조광조의 일당으로 연좌되어 삭탈관직되고 안당(安瑭)과 함께 변란을 모의했다는 죄로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천상(天祥)@문천상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천상(天祥)@은천상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천상(天祥)@박천상 - 박천상(朴天祥)
고려 공민왕(恭愍王)~창왕(昌王) 때의 무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숭인(李崇仁)ㆍ하륜(河崙) 등과 함께 영흥군(永興君) 환(環)의 진위(眞僞) 문제를 변론하다가 무고 혐의로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천상(川上) - 윤휘(尹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特命全權大使)로 청(淸)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천상김씨(川上金氏) - 의성김씨(義城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들이자 고려 태조(太祖)의 외손으로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진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집단>성씨
-
천서(天瑞)@안천서 - 안천서(安天瑞)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성혼(成渾)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천서(天瑞)@권몽참 - 권몽참(權夢參)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했고 매화를 좋아하였는데, 권호문이 그가 매화를 얻은 것에 대해 축하하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천서(天瑞)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천서(天瑞)@유범휴 - 유범휴(柳範休)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노애(蘆厓) 유도원(柳道源)의 아들.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안변 부사(安邊府使)를 역임했음.
1744~18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천서(天瑞)@나천서 - 나천서(羅天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餓死之境)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짐. 안정나씨(安定羅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천서(天瑞)@김천서 - 김천서(金天瑞)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제2대 왕 정종(定宗)의 비(妃)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아버지로,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천석(天錫)@배천석 - 배천석(裵天錫)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임연재(臨淵齋) 배삼익(裵三益)의 아버지. 중종 때 천거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임용되었고,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천석(天錫)@홍천석 - 홍천석(洪天錫)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홍경우(洪儆禹)의 아버지로, 1616년(광해군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75~?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천석(天錫)@원천석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천석(天錫)@심귀령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천석(天錫)@허천석 - 허천석(許天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유학 허흠(許欽)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천선(千善) - 이천선(李千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참지중서정사(參知中書政事)를 지냈으며,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이 주살된 사실을 원(元) 나라에 보고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 주국(柱國)이 되어 낙안백(樂安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천성(天成) - 김득지(金得地)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성균관 직강(行成均館直講) 김세량(金世良)의 아들. 윤두수(尹斗壽)ㆍ임운(林芸)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여, 《오음유고(梧陰遺稿)》ㆍ《첨모당집(瞻慕堂集》ㆍ《유헌집(游軒集)》에 차운시(次韻詩)ㆍ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성(天成)@탁천성 - 탁천성(卓天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둘째 아들로, 한성 윤(漢城尹)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천성(川城)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천성(淺城)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천손(千孫) - 김천손(金千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도(珍島). 중종(中宗) 때의 진사 김초(金軺)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천손(天孫)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천수(千壽) - 이천수(李千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셋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천수(千壽)@허천주 - 허천수(許千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참봉(參奉)을 지내고, 저서로 《천산재유집(天山齋遺集)》을 남김.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09~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천수(天授)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천수자(天隨子)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수현개국후(天水縣開國侯)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순(天淳) - 담화(曇華)
조선 전기의 승려. 《월정집(月汀集)》에 〈증천순비구(贈天淳比丘)〉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순(天順)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식(天植) - 유천식(柳天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혜적(柳惠迪)의 아들로, 순조(純祖) 때 원주(原州) 송곡서원(松谷書院)에서 유방선(柳方善)의 문집인《태재집(泰齋集)》을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천심(天心) - 여궐(余闕)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북정(北庭)의 진사(進士)로서 고문(古文)으로 당세에 현달함.
1303~135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천악(天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천양(穿楊) - 백보천양(百步穿楊)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인 양유기(養由基)가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에 활을 쏘면 백발백중(百發百中)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활 쏘는 솜씨가 매우 뛰어남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천여(天如) - 노부(盧溥)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선교랑(宣敎郞) 노형필(盧亨弼)의 아들로, 1660년(현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이문헌(李文獻)의 딸과 혼인함.
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천여(天與) - 김부일(金富佾)
고려 예종(叡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둘째 아들로, 수태위 개부의동삼사 비서성사 주국(守太尉開府儀同三司祕書省事柱國)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여 송(宋) 나라에까지 이름이 알려짐.
1071~113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영(千英) - 김천영(金千英)
조선 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직장(直長) 김태명(金泰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우인 김백영(金百英)과 함께 김천일(金千鎰)의 의병(義兵)에 참가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천왕랑(天王郞) - 해모수(解慕漱)
북부여(北夫餘)의 시조. 천제(天帝)의 아들로,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와 관계하여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을 낳았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천용(天用) - 설미수(偰眉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檢校右參贊) 등을 지냄.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明)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
1359~141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천우(千遇)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천우(天佑)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천우(天宇) - 김천우(金天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벽(金碧)의 아들. 예문관 응교(藝文官應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천우(天祐)@손천우 - 손천우(孫天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각재(覺齋) 하항(河沆) 등과 함께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건립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천우(天祐)@설경수 - 설경수(偰慶壽)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귀화인. 본관은 경주(慶州).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아버지인 설손(偰孫)을 따라 귀화함. 송설체(松雪體)에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천우(天祐)@이천우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천우(天祐)@대유 - 대유(大有)
고려 우왕(禑王) 때 일본에서 온 승려(僧侶). 일본에 사신으로 갔던 정몽주(鄭夢周)를 따라 들어옴.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천우(天祐)@박천우 - 박천우(朴天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천우(天祐)@고종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천우(天祐)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천우(天祐)@봉천우 - 봉천우(奉天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하음(河陰).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머무를 때 호종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우(天祐)@고천우 - 고천우(高天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고려 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개를 지킨 구정충(九貞忠)의 한 사람으로 도총제(都摠制) 등을 지냄. 이행(李行)의 《기우집(騎牛集)》 〈구정충록(九貞忠錄)〉에 그 행적이 보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천운대(天雲臺) -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
경상북도 안동(安東) 도산서원(陶山書院) 근처를 지나는 낙동강(洛東江)의 서쪽 암벽 이름. 이황(李滉)이 주자(朱子)의 〈독서유감(讀書有感)〉 시를 인용하여 명명함.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천원(天元)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원(川源) - 해림(海琳)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천원해림사권(書川源海琳師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원제(天元帝)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원황제(天元皇帝)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유(千裕) - 조천유(趙千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보조공신(輔祚功臣) 조인규(趙仁規)의 손자이며 조서(趙瑞)의 아들로, 원윤(元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천유(天游)@홍붕 - 홍붕(洪鵬)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주부(主簿)를 지낸 홍거방(洪巨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천유(天游) - 심붕서(沈鵬瑞)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천유(天維) - 양산형(梁山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
15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천윤(天胤)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천은(天隱)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천은당(天隱堂)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천을(天乙)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응(千應) - 유하지(柳河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기언(淇彦) 유오(柳澳)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천의(天義) - 정종(定宗)@고려
고려의 제3대 왕. 재위 946~949.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호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시도했으나 개경(開京)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함.
923~94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천인사(天人師)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천일(千鎰)@1537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천일(千鎰)@1622 - 김천일(金千鎰)@1622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중기(金重器)의 아들이고 정온(鄭蘊)의 문인으로, 춘추관(春秋官)ㆍ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냄. 저서에 《송천집(松川集)》이 있음.
1622~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천작(天爵) - 소천작(蘇天爵)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나, 홍건적(紅巾賊)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
1294~135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천장(天章)@남진 - 남진(南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남세걸(南世傑)의 아들로, 세 살 때 부모를 여의고 외가(外家)에서 성장한 뒤 벼슬길을 접은 채 평생 독서를 일삼음.
1520~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