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천장(天章)@우탁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장(天章)@유성춘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천장(天章)@정두형 - 정두형(鄭斗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참봉(參奉) 정충원(鄭忠元)의 아들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내고, 죽은 뒤 효행으로 정려(旌閭)가 하사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천장(天章)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천장(天章)@하위지 - 하위지(河緯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문장이 뛰어나 《역대병요(歷代兵要)》등의 편찬에 참여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141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장(天章)@이명한 - 이명한(李明漢)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척화파(斥和派)로 심양(瀋陽)에 억류되기도 함. 저서로 《백주집(白洲集)》 등이 있음.
1595~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장(天章)@권두경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재(川齋) - 성순(成錞)
조선 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넷째 아들로, 학문을 연마하고 하홍도(河弘度)와 교류함.
1590~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천전(天全)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정(天定)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천정(泉井)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천정(泉亭) - 이정보(李廷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경기좌도 관찰사(京畿左道觀察使)를 지냈음. 이색(李穡)이 지어준 자설(字說)이 《목은고(牧隱藁)》와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조(天造) - 유흑달(劉黑闥)
중국 수(隋) 나라 말기 하북(河北)에서 일어난 농민반란군(農民叛亂群)의 우두머리. 두건덕(竇建德)의 잔당을 모아 622년(당 고조 5) 한동왕(漢東王)이라 자칭하였다가, 623년 이건성(李建成)에게 진압됨.
?~62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천좌(天佐) - 정천좌(鄭天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한국공(韓國公) 정인(鄭仁)의 넷째 아들이자, 휘정공(徽政公) 정독만달(鄭禿滿達)의 아우로,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천주(天柱) - 성천주(成天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조귀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712~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천준(天埈) - 고천준(顧天埈)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2년(조선 선조 35)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으로서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 최정건(崔廷健)과 함께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천중(天中)@성덕왕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천중(天中) - 정췌(正揣)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천중정췌사권(書天中正揣師卷〉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중절(天中節) - 단오(端午)
음력 오월 오일.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가장 센 길일(吉日)로 여겼으며, 단오떡을 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그네뛰기와 씨름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즐김.
사건>풍속
-
천지(千枝) - 유천지(柳千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흡(柳洽)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천지(天之) - 여희림(呂希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였고, 정광필(鄭光弼)의 추천으로 복성군(福城君)의 사부가 되었으며,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
148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천지(天支)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천지(天至) - 송대원(宋大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국 당(唐) 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예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짐.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천지(川至) - 송대원(宋大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국 당(唐) 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예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짐.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천진수(天津叟)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천책진인(天策眞人)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추(天樞)@권몽두 - 권몽두(權夢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미수(權眉壽)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종질(宗姪). 효우(孝友)가 지극하고 선조(先祖)를 잘 받들었으며, 수직(壽職)으로 호군(護軍)에 오름.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천추(天樞)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천추태후(千秋太后) - 헌애왕후(獻哀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비(妃). 어린 아들 목종(穆宗)을 대신해 섭정(攝政)하면서, 정부(情夫)인 김치양(金致陽)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사로 삼으려다 강조(康兆)에 의해 유배됨.
964~102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천태(天台)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천태도사(天台道士) - 박세호(朴世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성암(省菴) 김효원(金孝元)과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천태백운자(天台白雲子)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천태사공(天台謝公) - 사탁(謝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이 뛰어나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ㆍ《적성신지(赤城新志)》 등을 저술함.
1435~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태상인(天台上人) - 계현(契玄)
고려 후기의 승려. 임춘(林椿)이 지은 《서하집(西河集)》 〈묘광사십육성중회상기(妙光寺十六聖衆繪象記)〉에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택(天澤) - 남천택(南天澤)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양(英陽). 남잡(南磼)의 아들로, 1648년(인조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지냄.
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파(泉坡) - 양우(楊寓)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화개전 대학사(華盖殿大學士) 등을 지내며 양부(楊溥)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65~144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천하(千河) - 견수(汧水)
중국 감숙성(甘肅省)에서 발원해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로 흘러들어가는 강 이름.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주영토가 견수(汧水)와 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서쪽으로 삼각지대를 이루는 지역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천하(天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천하(天河)@홍천하 - 홍천하(洪天河)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고구려에 귀화한 인물. 남양홍씨(南陽洪氏) 당홍계(唐洪系)의 시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유학을 가르치고,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학자
-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천하제일웅관(天下第一雄關)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천항(天杭)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천행(天行) - 유건(柳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했음. 송순(宋純)ㆍ상진(尙震) 등과 함께 계축갑계(癸丑甲契)를 조직하여 교유함.
149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천화전(天和殿)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천황(天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천황(天皇) - 옥황상제(玉皇上帝)
도가(道家)의 최고신. 중국 도교의 신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지고 공경받음.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천후(武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천휴(天休)@이유경 - 이유경(李有慶)@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천휴(天休)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천휴당(天休堂)@신유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휴당(天休堂)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천희(千喜) - 송천희(宋千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고, 중종 때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철(哲) - 신철(申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신변(申抃)의 아우로, 1521년(중종 16)에 일어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철(徹)@괴철 - 괴철(蒯徹)
중국 전한(前漢)의 유세가(遊說家). 권변술(權變術)에 능하여 한신(韓信)도 그의 계략을 써서 제(齊) 나라를 점령하였음. 한신을 달래어 한(漢) 나라로부터 독립할 것을 권하였으나 그 말을 듣지 않은 한신이 죽자 고조(高祖)의 신하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徹)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철(澈) - 구양철(歐陽澈)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국지사(憂國之士)로 진동(陳東)과 더불어 대신(大臣)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직언(直言)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함.
1091~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澈)@정철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철(轍)@권철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철(轍)@기철 - 기철(奇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권신(權臣). 본관은 행주(幸州). 누이동생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덕성부원군(德城府院君)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꾀하다가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철(轍)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철(轍)@윤철 - 윤철(尹轍)
조선 전기의 문신. 송화 현감(松禾縣監)으로 있을 때 지은 건물에 김주(金澍)가 조경헌(照鏡軒)이라 이름하고 시를 지은 것이 《우암유집(寓庵遺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철견(鐵堅)@이철견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철견(鐵堅) - 양철견(梁鐵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수의부위(修義副尉) 양옥정(梁玉精)의 아들로, 1515년(중종 10)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철경(哲經) - 권철경(權哲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예(權輗)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의 추천을 받았으나 벼슬하지 않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철공(澈公) - 원철(圓澈)
조선 중기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로, 장흥(長興)의 천관산(天冠山)에서 수행하였으며,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철국(鐵國)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철권(鐵拳) - 이철권(李鐵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평(新平). 이문충(李文忠)의 아들이며, 이천계(李天啓)의 아버지로, 부장(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철균(鐵均) - 이철균(李鐵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경학(經學)에 밝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1450~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철남(哲男) - 박철남(朴哲男)
조선 선조(宣祖) 때 무신ㆍ의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청도(淸道)에서 아버지 박경신(朴慶新)과 형 박지남(朴智男)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65~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철동(哲同) - 이철동(李哲同)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고,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손자이며, 운림도정(雲林都正) 이핍(李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철령군(鐵嶺君) - 이황(李璜)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문신.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낸 이반(李槃)의 24세손으로, 밀직 부사(密直副使)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고성이씨(固城李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철마산인(鐵馬山人)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철면(鐵面) - 조변(趙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촉(蜀)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청렴하여 모범을 보이고, 후에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청헌집(淸獻集)》이 있음.
1008~108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목(鐵木)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철목이(鐵穆耳) - 성종(成宗)@원
중국 원(元)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1295~1307. 세조(世祖)의 손자로, 세조 치세(治世)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哈刺合遜)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
1265~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철목진(鐵木眞)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철묘(哲廟)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철산(哲山) - 조철산(趙哲山)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옥천(玉川). 조숭문(趙崇文)의 아들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을 하다가 고신(告身)을 환수당하고 원지에 유배되어 아버지와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철산(鐵山)@김철산 - 김철산(金鐵山)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문(金問)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철산부수(鐵山副守) - 이효순(李孝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손자이며 부안정(富安正) 이증(李增)의 막내아들로, 유직경(柳直卿) 등과 교유함.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철석(鐵石)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석장(鐵石腸)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성(鐵城)@철원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철성(鐵城)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철성(鐵城)@고성 - 고성(固城)
경상남도의 중앙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가야(小伽倻)의 도읍지.
경상도>고성 , 지명>행정지명
-
철성(鐵城)@이원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철성개국후(鐵城開國侯) - 문승조(文承祖)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내의시랑(內議侍郞)을 지낸 문주백(文周伯)의 아들로, 대사마(大司馬)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철성군(鐵城君)@이괄 - 이괄(李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고성(固城). 인조 반정(仁祖反正)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鞍峴)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1587~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철성군(鐵城君)@이우 - 이우(李瑀)@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암(李嵒)과 어사대부(御史大夫) 이교(李嶠)의 아버지로, 여러 지역의 외관을 거쳤으며 철원군(鐵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철성군(鐵城君)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이우 - 이우(李瑀)@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암(李嵒)과 어사대부(御史大夫) 이교(李嶠)의 아버지로, 여러 지역의 외관을 거쳤으며 철원군(鐵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이원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철성이씨(鐵城李氏) - 고성이씨(固城李氏)
고려 전기 거란(契丹)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종(文宗) 때 철령군(鐵嶺君)에 봉해진 이황(李璜)을 시조로 하는 성씨. 중국 한(漢) 나라 이반(李槃)의 후손이라 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집단>성씨
-
철성정씨(鐵城鄭氏) - 고성정씨(固城鄭氏)
고려시대 호족인 정가물(鄭可勿)을 시조로 하는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정개청(鄭介淸) 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고성 , 인명>집단>성씨
-
철손(鐵孫) - 최철손(崔鐵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개성(開城).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최명창(崔命昌)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철수(哲守) - 탁철수(卓哲守)
조선 전기의 문신. 탁진옥(卓振玉)의 둘째 아들로, 첨지(僉知) 등을 역임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인 탁의상(卓義尙)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철수좌(澈首座) - 징천(澄泉)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징천(澄泉)’이란 호를 받음. 관악산(冠嶽山)의 선각암(禪覺菴)에 거처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과천 , 인명>종교인>승려
-
철악(鐵岳)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