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철야개국백(鐵冶開國伯) - 문주백(文周伯)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정간공(靖簡公) 문천강(文天降)의 아들로, 내의시랑(內議侍郞)ㆍ대사마(大司馬)ㆍ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철옹(鐵甕)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철용(哲容) - 이철용(李哲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들로, 창녕 현감(昌寧縣監)을 지냈으며,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철원(鐵圓)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철원군(鐵原君)@이우 - 이우(李瑀)@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암(李嵒)과 어사대부(御史大夫) 이교(李嶠)의 아버지로, 여러 지역의 외관을 거쳤으며 철원군(鐵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철원군(鐵原君)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철원군(鐵原君)@최영 - 최영(崔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 등에 책록됨.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
1316~138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최영 - 최영(崔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 등에 책록됨.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
1316~138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철장(鐵腸)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종황후맹씨(哲宗皇后孟氏)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실록(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大王實錄) - 철종실록(哲宗實錄)
조선 제25대 철종(哲宗)의 재위 15년간(1849~1863)의 실록. 16권 9책. 정원용(鄭元容)ㆍ김흥근(金興根)ㆍ조두순(趙斗淳)ㆍ김병학(金炳學)ㆍ이돈우(李敦宇) 등이 주관하여, 1864년(고종 1)에 편찬을 시작하여 1865년(고종 2)에 완성함.
186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철주(鐵州) - 철산(鐵山)
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993년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철산 , 지명>행정지명
-
철중(鐵重) - 최철중(崔鐵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최숙생(崔淑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철지(澈之) - 신영철(申永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역임함.
1471~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철진(鐵津)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철천개국남(鐵川開國男)@문지원 - 문지원(文智遠)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양간공(讓簡公) 문인걸(文仁傑)의 아들로,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철천개국남(鐵川開國男) - 문성화(文聖和)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문승조(文承祖)의 아들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철충(哲冲) - 한철충(韓哲冲)
고려 말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한희적(韓希迪)의 아들로,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면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철황제(哲皇帝) - 희종(熹宗)
중국 명(明)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1620~1627. 이 시기에 악명 높은 환관 위충현(魏忠賢)이 조정을 장악하여 나라가 쇠락해짐.
1605~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첨(瞻) - 박첨(朴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문하시중(門下侍中)ㆍ우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ㆍ춘추관사(春秋館事)ㆍ영경연사(領經筵事) 등을 역임(歷任)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첨(瞻)@1354 - 김첨(金瞻)@1354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 조선 초기에 도교(道敎) 부흥을 위해 노력함.
1354~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첨(瞻)@1542 - 김첨(金瞻)@1542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한(典翰) 김홍도(金弘度)의 아들.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知禮縣監)으로 좌천되고, 1584년(선조 17)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죽음.
15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첨(簽) - 노첨(盧簽)
조선 전기의 문신.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유감(柳堪)과 춘성부정(春城副正) 이위(李偉)의 장인으로,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첨(籤) - 강첨(姜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선조 때 사간(司諫)으로 있으면서 최영경(崔永慶)ㆍ정철(鄭澈) 등을 탄핵함.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9~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첨(詹)@송첨 - 송첨(宋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송거신(宋居信)의 아버지로,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첨(詹) - 구양첨(歐陽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ㆍ이강(李絳) 등과 더불어 육지(陸贄)의 방(榜)에 나란히 합격하여 용호방(龍虎榜)이라는 말이 유래함.
756~80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첨(詹)@이첨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첨경(添慶) - 김첨경(金添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윤개(尹漑)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金虯) 등을 구원하고,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역학(易學)과 경학(經學)에 밝음.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첨대(瞻臺) - 첨성대(瞻星臺)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는,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天文臺). 경상북도 경주(慶州) 인왕동(仁旺洞)에 있음.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첨두노(尖頭奴) - 고필(古弼)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문신. 머리가 뾰족하여 태종(太宗)이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첨랑(甛娘)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첨모(瞻慕)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첨모당(瞻慕堂)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첨모당선생문집(瞻慕堂先生文集) - 첨모당집(瞻慕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임운(林芸)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후손 및 용문서원(龍門書院)의 원유(院儒)들이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했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序文)이 있음.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첨모당유고(瞻慕堂遺稿) - 첨모당집(瞻慕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임운(林芸)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후손 및 용문서원(龍門書院)의 원유(院儒)들이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했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序文)이 있음.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첨정자(添丁子) - 이감(李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밀양 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냈으며,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첩목(帖睦)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첩목아불화(帖木兒不花) - 한효선(韓孝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정동성 원외(征東省員外)ㆍ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을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첩목아불화(帖木兒不花)@최유 - 최유(崔濡)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 기황후(奇皇后)를 설득하여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첩목이단화(帖睦邇漙化) - 기인걸(奇仁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자오(奇子敖)의 손자로, 군부총랑(軍簿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첩목이보화행(帖穆爾普化行) - 최준(崔濬)@고려후기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遼陽行省參知政事) 등을 역임했고, 어사(御史)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覲省)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첩산(疊山)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첩산사씨(疊山謝氏)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첩여(婕妤) - 반첩여(班婕妤)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후궁ㆍ시인. 시가(詩歌)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趙飛燕)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長信宮)에 머물면서 부(賦)를 지어 상심(傷心)을 노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후궁
-
청(淸)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청(淸)@이청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청간(淸簡)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청강(晴江)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청강(淸江)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강거사(淸江居士)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강사백(淸江詞伯)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강선생집(淸江先生集) - 청강집(淸江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신(李濟臣)의 시문집(詩文集). 신흠(申欽) 등의 산정(刪定)을 거쳐 간행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의 서문(序文)이 있음.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덕산 , 문헌>서명
-
청강선생후청쇄어(淸江先生鯸鯖瑣語)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소설(淸江小說)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쇄설(淸江瑣說)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쇄어(淸江瑣語)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유고(淸江遺稿) - 청강집(淸江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신(李濟臣)의 시문집(詩文集). 신흠(申欽) 등의 산정(刪定)을 거쳐 간행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의 서문(序文)이 있음.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덕산 , 문헌>서명
-
청거령(淸渠令) - 이혜(李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로,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경(淸卿)@허항 - 허항(許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일당으로 옥사를 함부로 일으키고 무고한 사림을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렀으므로, 김안로ㆍ채무택(蔡無擇) 등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림.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이담지 - 이담지(李湛之)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중국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토적병마서기(討賊兵馬書記) 등을 지냄. 조통(趙通)ㆍ이인로(李仁老) 등과 벗하여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즉흥적으로 써내려가는 한시 창작법인 주필(走筆)의 창시자로 알려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유약 - 유약(柳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청경(淸卿)@신부 - 신부(申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들. 영산(靈山)과 고령(高靈)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이약수 - 이약수(李若水)@송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문신.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강(靖康)의 변(變) 때 금군(金軍)에 포로로 끌려간 흠종을 보호하다가 피살됨.
1093~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정휘 - 정휘(鄭徽)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이송(鄭而宋)의 아들로, 1465년(세조 11)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이방직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 - 신담(申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산 현감(靈山縣監)으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세웠음. 1490년(성종 21)에 김일손(金馹孫)이 생사당기(生祠堂記)를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심흥원 - 심흥원(沈興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심순경(沈順徑)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청경(淸卿)@윤회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청계(淸溪)@안영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청계(淸溪)@유몽정 - 유몽정(柳夢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저(柳希渚)의 손자로, 남원 현감(南原縣監)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정암수(丁巖壽)ㆍ오희길(吳希吉) 등의 무고(誣告)로 인해 옥중에서 장사(杖死)함.
1529~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청계(淸溪)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청계(靑溪)@양대박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청계(靑溪) - 김진(金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 기묘명유(己卯名儒)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됨.
150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청계거사(淸溪居士)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청계군(淸溪君)@한연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청계군(淸溪君)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청계도인(靑溪道人)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청계옹(淸溪翁)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계유고(靑溪遺稿) - 청계집(靑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대박(梁大樸)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아들인 장성 현감(長城縣監) 양경우(梁慶遇)가 가장(家藏) 원고를 편차하여 간행함. 허균(許筠)의 서(序)와 양경우의 발(跋)이 있음.
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 , 문헌>서명
-
청계자(淸溪子) - 이섭(李涉)@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동생 이발(李渤)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학 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곡(淸谷) - 계은(戒恩)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점필재집(佔畢齋集)》과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청구(淸癯) - 임담(林墰)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청 종사관(摠戎廳從事官)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함. 유탁(柳濯)의 난을 평정하여 토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함.
1596~16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청구자(淸癯子)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청궁(淸宮) - 옥청소응궁(玉淸昭應宮)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 궁중에 건립한 도교사원(道敎寺院).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청금자(聽琴子) - 강한(姜漢)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筆法)이 정묘했으며,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문하(門下)에서 정옥견(鄭玉堅)ㆍ권오복(權五福)ㆍ정사룡(鄭士龍) 등이 배출되었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기군(靑杞君) - 이표(李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기수(靑杞守) - 이표(李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녕위(淸寧尉) - 한경침(韓景琛)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손자이며, 한보(韓堡)의 아들로, 성종의 세 번째 서녀(庶女)인 공신옹주(恭愼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청녕위(淸寧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청담(淸潭) - 이희득(李希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령(河東副令) 이유(李裕)의 아들이자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동생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25~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대(淸臺)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도(淸都) - 정유성(鄭惟誠)@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청도도인(淸都道人) - 정유성(鄭惟誠)@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청라(靑蘿)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라처사(靑蘿處士)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청란(淸瀾) - 진건(陳建)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조선 주자학파(朱子學派)의 육왕학(陸王學) 배척의 이론적 기틀을 제공해 주었고, 《학부통변(學蔀通辯)》ㆍ《황명통기(皇明通紀)》 등을 찬함.
1497~156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청란진씨(淸瀾陳氏) - 진건(陳建)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조선 주자학파(朱子學派)의 육왕학(陸王學) 배척의 이론적 기틀을 제공해 주었고, 《학부통변(學蔀通辯)》ㆍ《황명통기(皇明通紀)》 등을 찬함.
1497~156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청량산인(淸凉山人)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련(靑漣)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련(靑蓮)@이후백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