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세업(金世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김하(金碬)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세우(金世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암행어사(暗行御史) 김규(金虯)의 아버지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적성현(赤城縣)의 명관으로 기록됨.
1484~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세정(金世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동생 김세묵(金世默)의 아들 김수(金脩)가 계후(繼後)함. 빙고별제(氷庫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세준(金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문경(金文卿)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를 지냄. 조욱(趙昱)과 교유하여 관련 시편(詩篇)이 《용문집(龍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세진(金世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군수(郡守)를 지낸 김홍(金洪)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김세충(金世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예손(金禮孫)의 아버지로,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세한(金勢漢)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인 김알지(金閼智)의 아들.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김세헌(金世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원(金瑗)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세호(金世鎬)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익기(金益基)의 아들. 1690년(숙종 1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의 행장을 씀.
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소(金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김복일(金復一)의 아들. 호원(灝元) 권문해(權文海)의 생질(甥姪)로, 《초간집(草澗集)》에 김소(金瀟)에 대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김소윤(金昭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을 지낸 김극뉴(金克忸)의 아들.
1475~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속명(金續命)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화평(化平). 1361년(공민왕 10)에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녹훈되고,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충혜왕(忠肅王)의 비(妃)인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인척으로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함.
?~138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송수(金松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훈도(訓導)를 지낸 김공신(金公信)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수(金銖)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開城尹)을 지냈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과 교유하고, 천곡(川谷)에 녹봉서당(鹿峯書堂)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수(金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개수(改修)하여 주를 붙임.
1547~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수(金粹)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경운(金慶雲)의 아버지로,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수(金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무예에도 뛰어났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수(金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세묵(金世黙)의 아들로, 김세정(金世靜)에게 출계(出系)함. 1572년(선조 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학유(學諭) 등을 지냈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수(金隨)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낙안(樂安). 전객령(典客令)을 지낸 김남정(金南正)의 아들. 복재(復齋) 정총(鄭摠)의 장인으로, 문예가 뛰어났고, 낙천군(樂川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김수(金需)@고려전기
고려 전기의 문신.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 보윤(甫尹)을 지냈고 상산군(商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수(金需)@고려후기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김천서(金天瑞)의 아들로, 정종(定宗)의 비(妃)인 순덕대비(順德大妃)의 오빠.
1338~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수(金須)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문정공(文正公) 김태현(金台鉉)의 아버지로,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제주(濟州)에서 전사함.
?~12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수겸(金守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연(金埏)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김수동(金壽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진압함.
145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수련(金守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덕천 군수(德川郡守)를 지낸 김이상(金履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김수령(金壽寧)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ㆍ《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경사(經史)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
1436~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수문(金秀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진사 김임(金銋)의 아들.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서 왜구(倭寇)를 대파하는 공을 세웠고,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때는 여러 차례 호인(胡人)의 침략을 격퇴하고 전사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
-
김수생(金水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군자시 주부(軍資寺主簿)를 거쳐 부령 부사(富寧府使)ㆍ고령 첨사(高靈僉使) 등을 지냈으며,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김수성(金遂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 조광조(趙光祖)의 석방을 탄원했으며, 주로 삼사(三司)의 언관직(言官職)을 역임함.
?~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수손(金首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했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撰進)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수윤(金壽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김일(金軼)의 아버지로, 연안 교수(延安敎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김수인(金壽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유학 김언백(金彦伯)의 아버지로, 선무랑(宣務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김수인(金守仁)
조선 전기의 문신. 좌의정을 지낸 김명원(金命元)의 아들로, 별좌(別坐)를 지내다가 요절함.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애사(哀詞)가 《월정집(月汀集)》에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수일(金守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학문과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음.
1528~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김수준(金壽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에 급제했으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집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수증(金壽增)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동생 김수항(金壽恒)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으로 들어가 은둔함.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624~17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수항(金壽恒)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헌(金尙憲)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고 송시열(宋時烈)과 교유함.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騈儷文)은 당대 제일로 꼽힘.
162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수현(金壽賢)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김진(金鎭)의 아들.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斥和)를 주장함.
1565~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수형(金壽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김사(金嗣)의 아들로, 참봉(參奉)ㆍ주부(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김수홍(金粹洪)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김수흥(金壽興)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기(長鬐)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저서에 《퇴우당집(退憂堂集)》 5책이 있음.
162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숙(金淑)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4년(단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ㆍ부사(府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숙남(金叔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진의부위(振義副尉) 김예중(金禮仲)의 아들로, 충순위 적순부위(忠順衛迪順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
-
김숙승(金叔承)
고려 전기의 문신. 구안동김씨(舊安東金氏)의 시조.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아들로, 공부시랑(工部侍郞)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숙준(金叔準)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현(成俔)의 《허백당집(虛白堂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숙춘(金叔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로,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김순(金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백경(金伯卿)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ㆍ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순(金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판도 판서(版圖判書) 김광저(金光儲)의 아들로, 고려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충북 옥천(沃川)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김순고(金舜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후손으로, 수군의 전비(戰備)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戰船)의 수미에 포(砲)를 비치하게 함.
148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순성(金順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버지로, 평양 서윤(平壤庶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순의(金順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제(金堤).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김순정(金順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양진(金楊震)의 아들로,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숭로(金崇老)
조선 전기의 문신. 충청도 찰방(察訪)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이 써 보낸 송시(送詩)들이 《사가집(四佳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김숭조(金崇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충손(金衷孫)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연산군이 폐위된 후 연산군 아래에서 벼슬한 것을 부끄럽게 여김.
14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승경(金升卿)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신민(金新民)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좌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의 추형(追刑)을 당하였음.
1430~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승경(金承敬)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부사(府使) 김정신(金鼎臣)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김승석(金承碩)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청주 목사(淸州牧使) 김흠(金欽)의 아버지이고,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장인.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승용(金承用)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김후(金厚)의 아버지로, 내부령(內府令)을 지냄. 1328년(충숙왕 16)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죽음. 청렴하기로 유명함.
?~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시번(金始蕃)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김신국(金藎國)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인조의 며느리인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를 구제하려다 파직당함.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김시보(金時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을 지냄. 수원김씨(水原金氏)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22세손으로, 용성김씨(龍城金氏)의 시조.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김시임(金時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시좌(金時佐)
조선 전기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어려서 아버지를 여읜 후, 어머니를 지성으로 모시었고, 어머니가 죽자 여막(廬墓)에서 3년간 살면서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고 함. 또 중종(中宗)과 명종(明宗)의 국상(國喪)에 3년간 심상(心喪)을 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효자
-
김시찬(金是瓚)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성균생원 김성익(金聖翼)의 아들. 학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고 그 후 봉사(奉事)ㆍ직장(直長) 등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함.
1754~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시창(金始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유학ㆍ효자(孝子). 본관은 금산(金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피천(被薦)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47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기타인명>효자
-
김시침(金時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으로, 서빙고 별제(西氷庫別提)에 제수됨.
1600~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시환(金始煥)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김상성(金尙星)의 아버지.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661~173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시회(金時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김충갑(金忠甲)의 아들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부평 부사(富平府使)를 지냄.
1542~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식(金鉽)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자점(金自點)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郎)이 되었으나, 1651년(효종 2) 김자점의 옥사(獄事) 때 역모 혐의로 함께 처형됨.
162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식(金湜)@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인 김수(金需)의 손자. 찬성사(贊成事) 김희일(金希逸)의 아버지로, 시중(侍中) 등을 지냄.
99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신국(金藎國)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킴. 1613년(광해군 5)에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고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냄.
1572~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신동(金神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출(罷黜)됨
14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신민(金新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중성(金仲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편수관(編修官)으로 참여하였으며 벼슬이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신원(金信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정철(鄭澈)의 《송강집(松江集)》에 〈추차홍태고운 봉증일학김학사(追次洪太古韻奉贈一壑金學士)〉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심(金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호조 참의(戶曹參議) 김우신(金友臣)의 아들로, 도총부 부총관(都摠府副摠管)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안도(金安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김전(金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함종 현령(咸從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안세(金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의 중형(仲兄). 이조 좌랑(吏曹佐郞), 비안 현감(庇安縣監) 등을 역임함.
147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안정(金安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金訢)의 아들로, 도승지와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함.
1476~153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안중(金安重)
조선 전기의 유학. 박흥생(朴興生)과 교유하였고, 《국당유고(菊堂遺稿)》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알지(金閼智)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의 양자.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 탈해왕(脫解王) 때 시림(始林)의 금궤에서 수려한 아이가 나왔다 하여 김알지라 이름하고 수양아들로 삼음.
65~?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김약(金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 김계보(金季甫)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약균(金若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시 판사(繕工寺判事)를 지낸 김원석(金元石)의 아들로, 선천 군수(行宣川郡守)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약묵(金若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00~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김약수(金若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조선 말의 학자이며 의병장인 김도화(金道和)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약시(金若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진현관 직제학(進賢館直提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광주(廣州) 산골에 은거함. 두문동 칠십이현(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