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초간(草澗)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간선생문집(草澗先生文集) - 초간집(草澗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권문해(權文海)의 시문집. 4권 3책. 목판본. 가장 초고(家藏 草稿)를 후손 권도상(權道相)과 외후손 황용한(黃龍漢)이 교정하여 1812년(순조 12)에 간행함. 정종로(鄭宗魯)의 서문(序文)과 황용한의 발문(跋文)이 있음.
18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초강혼(楚江魂)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객(楚客)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경(楚經)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초경(草經) - 본초강목(本草綱目)
중국 명(明)나라의 학자인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약학서(藥學書). 52권. 전편을 부(部)ㆍ강(綱)ㆍ목(目)의 체제로 나누어 총 1,892종의 약재를 망라해 놓음.
159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초계군(草溪君) - 정온(鄭溫)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34~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무신
-
초계원융(草溪元戎) - 이윤검(李允儉)@이순생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재임시에 선정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았고, 호조 참판(戶曹參判)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낙향함.
1451~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초곡(草谷) - 황계옥(黃啓沃)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황진손(黃震孫)의 아들로, 정시(庭試)의 참시관(參試官)을 지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로 회령(會寧)의 화재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현지로 가던 중 병사함.
?~149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초공(焦贛) - 초연수(焦延壽)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 소황령(小黃令)을 지냄. 맹희(孟喜)에게 《역(易)》을 배워 경방(京房)을 가르치고, 《역림(易林)》ㆍ《역림변점(易林變占)》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공역림(焦貢易林) - 역림(易林)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인 초연수(焦延壽)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한 괘(卦)에 64개의 변괘(變卦)를 갖추어, 육십사괘(六十四卦) 총 4,096개의 변괘에 대한 점사(占辭)를 갖춤. 16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광(楚狂) - 육통(陸通)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광인(狂人). 소왕(昭王) 때 나라에 법도가 없음을 보고 미친 척하며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논어(論語)》 〈미자편(微子篇)〉에 공자(孔子)의 집을 지나며 부른 봉가(鳳歌)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초국대부(楚國大夫)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군(楚頵) - 성왕(成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71~B.C.626. 송(宋) 나라를 대파하고 기(夔)를 멸망시킨 다음 태산(泰山) 이남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아들 상신(商臣)의 반란으로 자살함.
?~B.C.6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굴(楚屈)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기(初起) - 황초기(黃初起)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유학. 금화산(金華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는 황초평(黃初平)의 형.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초당(草堂)@유현 - 유현(劉顯)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 나라 제독(提督) 유정(劉綎)의 아버지. 세종 때 묘족(苗族)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功)을 세우고, 도독(都督) 등을 지냄.
?~158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초당(草堂)@이석간 - 이석간(李碩幹)
조선 전기의 유학ㆍ의원. 본관은 공주(公州). 권호문(權好文)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하였으며, 의술(醫術)에 정통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유학
-
초당(草堂)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堂)@구만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堂)@허엽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堂)@강경서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塘)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초당거사(草堂居士) - 위야(魏野)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인ㆍ은자.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섬주(陝州) 동교(東郊)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김.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초당노인(草堂老人)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당병옹(草堂病翁)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초당선생(草堂先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당선생문집(草堂先生文集) - 초당집(草堂集)@허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허엽(許曄)의 시문집. 1책. 필사본. 서문(序文)이나 발문(跋文)이 없어 정확한 편찬 경위나 발간 연대를 알 수 없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초당시수(草堂詩瘦)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당시집(草堂詩集) - 초당집(草堂集)@강경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강경서(姜景敍)의 시집. 한 질(帙).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초당시집(草塘詩集) - 초당집(草塘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구성(具宬)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가장(家藏) 원고를 편집한 것으로, 제자인 이식(李植)의 서문(序文)이 전함.
164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초당유(草堂儒)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대부(楚大夫)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려(草廬)@이유태 - 이유태(李惟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예학(禮學)에 뛰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윤선거(尹宣擧)ㆍ유계(兪棨)와 더불어 호서산림(湖西山林)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저서로는 《초려집(草廬集)》 등이 있음.
1607~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려(草廬)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초려(草廬)@오징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초려오씨(草廬吳氏)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초려자(草廬子) - 김중청(金中淸)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몽호(金夢虎)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조목(趙穆)ㆍ정구(鄭逑)의 문인. 정언(正言)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李元翼)을 탄핵하라는 대북파(大北派) 정인홍(鄭仁弘)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
1567~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초루(楚纍)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미금(焦尾琴) - 현금(玄琴)
거문고. 우리나라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고구려 때 왕산악(王山岳)이 중국의 칠현금(七絃琴)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하며, 오동나무 공명판(共鳴板) 위에 여섯 줄을 걸어 술대로 튀겨서 연주함.
한국>고구려 , 물품>기타용품>악기
-
초부자(譙夫子)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초사(楚些) - 초사(楚辭)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유향(劉向)이 편찬한 시가 총집(詩歌總集), 또는 그 문체의 명칭. 굴원(屈原)ㆍ송옥(宋玉) 등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들의 사부(辭賦)와 한(漢) 나라 사람들의 모방 작품을 모아 엮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사(楚詞) - 초사(楚辭)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유향(劉向)이 편찬한 시가 총집(詩歌總集), 또는 그 문체의 명칭. 굴원(屈原)ㆍ송옥(宋玉) 등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들의 사부(辭賦)와 한(漢) 나라 사람들의 모방 작품을 모아 엮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산(椒山) - 양계성(楊繼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지냄. 엄숭(嚴嵩)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
1516~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초상(楚湘)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석(楚石) - 법진(法珍)
고려 후기의 승려. 중국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서 태어났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초성(楚成) - 성왕(成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71~B.C.626. 송(宋) 나라를 대파하고 기(夔)를 멸망시킨 다음 태산(泰山) 이남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아들 상신(商臣)의 반란으로 자살함.
?~B.C.6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성(楚醒)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성(草聖) - 장욱(張旭)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 술을 몹시 좋아하고 취흥이 오르면 필묵을 잡아 초서를 잘 썼으며, 필법을 안진경(顔眞卿)과 이백(李白)에게 전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초성(草聖)@장지 - 장지(張芝)
중국 후한(後漢)의 서예가. 장초(章草)에 뛰어나 초성(草聖)이라고 일컬어짐. 연못가에서 글씨를 쓰고서는 물로 씻기를 수없이 되풀이하여 마침내 연못의 물이 먹물로 까맣게 변하였다는 일화가 전함.
?~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초소(楚昭) - 소왕(昭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15~B.C.489. 평왕(平王)의 아들. 공자(孔子)에게 서사(書社)의 땅을 봉하려 하다가 영윤(令尹) 자서(子西)의 간을 듣고 그만둠.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소(楚騷)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초수(樵叟)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초승장군(超乘將軍) - 김덕령(金德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김붕섭(金鵬燮)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권율(權慄)ㆍ곽재우(郭再祐) 장군과 협력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연루되어 옥사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초신(楚臣)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암(樵庵)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양(楚襄) - 경양왕(頃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298~B.C.263. 간신들을 중용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음.
?~B.C.26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양현(草揚玄)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초역(焦易) - 역림(易林)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인 초연수(焦延壽)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한 괘(卦)에 64개의 변괘(變卦)를 갖추어, 육십사괘(六十四卦) 총 4,096개의 변괘에 대한 점사(占辭)를 갖춤. 16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연(超然) - 탁낙정(卓犖正)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국학(國學)의 구인재생(求仁齋生)이었던 탁원진(卓元眞)의 아들로, 성균 이택재생(成均麗澤齋生)이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초영(楚穎) - 모수(毛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식객(食客). 조(趙)가 진(秦)에 포위당하자, 평원군을 따라 초(楚)에 가서 조와 초(楚)의 연합정책을 성사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초영(楚英) - 유영(劉英)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명제(明帝)의 동생으로, 황로(黃老)와 불교(佛敎)를 숭상했음. 명제(明帝) 때 모반죄로 처형당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초영(楚靈) - 영왕(靈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B.C.540~B.C.529. 토목과 사치를 좋아하여 장화대(章華臺)를 만들고, 음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뒤에 공자비(公子比)에게 패하여 자결함.
?~B.C.5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옥(楚玉) - 이초옥(李楚玉)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豊). 흡곡 현령(歙谷縣令) 이지렴(李之濂)의 아버지로,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름.
1606~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초옥(草屋)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초옥자(草屋子)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초옹(樵翁)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초왕(楚王)@문소왕 - 문소왕(文昭王)
중국 오대십국 초(楚) 나라의 왕. 재위 932~947.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초왕(楚王) - 유영(劉英)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명제(明帝)의 동생으로, 황로(黃老)와 불교(佛敎)를 숭상했음. 명제(明帝) 때 모반죄로 처형당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초왕(楚王)@한신 - 한신(韓信)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초왕(楚王)에 봉해졌으나, 후에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진희(陳豨)의 난(亂)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斬殺)당함.
?~B.C.19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초유(楚儒)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은(樵隱)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초인(楚人)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자(楚子)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장(楚莊) - 장왕(莊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13~B.C.591. 춘추오패(春秋五覇) 중 한 사람으로, 아버지 목왕(穆王)에게 왕위를 물려받아 나라를 강성하게 만드는 데 힘씀.
?~B.C.5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재(楚材) - 왕초재(汪楚材)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오경(吳儆) 등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으며, 석유(碩儒)로 명성을 떨침. 호남 안무사(湖南按撫司)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정(楚亭)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초정(草亭)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초제(醮祭) - 재초(齋醮)
도사(道士)가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빌기 위해 여러 신에게 기도하는 도교의 제례의식. 우리나라는 고구려 때부터 시작되어 국가 차원에서 널리 행해지다가 조선시대에 신진사류들의 반대로 폐지됨. 중국은 명(明) 나라 목종(穆宗)에 의해 혁파됨.
중국 , 법제>의례>국가의례
-
초제사(招提寺) - 백마사(白馬寺)
중국 낙양성(洛陽城) 서쪽 옹문(雍門) 밖에 있었던 사찰. 여러 곳에서 오는 승려들이 쉬어가도록 마련한 사찰로, 섭마등(攝摩騰)이 머물렀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초조(初祖) - 달마(達磨)
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창시자. 달마(達磨)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祖師)로 여겨지고,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初祖)로 간주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초추(楚騅) - 오추마(烏騅馬)
중국 진(秦) 나라 말기의 무장(武將)인 항우(項羽)가 타던 애마(愛馬) 이름. 적토마(赤兎馬)와 함께 준마(駿馬)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詩)의 소재로도 자주 쓰임.
중국>진 , 중국 , 자연물>동물
-
초택(楚澤)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팔(草八) - 초계(草溪)
경상남도 합천(陜川)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초계 , 지명>행정지명
-
초패(楚覇)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초현(草玄)@태현경 - 태현경(太玄經)
중국 한(漢) 나라의 사상가 양웅(揚雄)이 《주역(周易)》을 본떠 지은 책. 10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현(草玄)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초현경(草玄經)@태현경 - 태현경(太玄經)
중국 한(漢) 나라의 사상가 양웅(揚雄)이 《주역(周易)》을 본떠 지은 책. 10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현경(草玄經)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초현생(草玄生)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초현인(草玄人)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초혼(楚魂)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혼부(招魂賦) - 초혼(招魂)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 송옥(宋玉)이 지은 부(賦). 스승인 굴원(屈原)이 죄 없이 쫓겨나 정신이 혼미한 것을 슬퍼하여 상제(上帝)의 명과 무당의 말을 가탁(假託)하여 그 정신을 부른 것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초화우(椒花雨)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초회(楚懷) - 회왕(懷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直諫)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屈原)이 《이소경(離騷經)》을 지어 깨우치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후(楚猴)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촉^낙(蜀^洛) - 낙^촉(洛^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원우삼당(元祐三黨)에 속하는 낙당(洛黨)과 촉당(蜀黨)을 함께 부르는 말. 정이(程頤)의 낙당은 도덕(道德)을 숭상하고, 소식(蘇軾)의 촉당은 문예(文藝)를 숭상하여 격렬한 정쟁(政爭)을 벌임.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촉강(矗江) - 남강(南江)
경상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의 지류. 하류 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하여 의령ㆍ가야 등지에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음.
경상도>함안ㅣ경상도>진주ㅣ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촉군(蜀郡) - 범진(范鎭)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적극 반대하고, 《신당서(新唐書)》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00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