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촉막(蜀幕)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촉막군(蜀莫郡)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촉상(蜀像)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촉상(蜀相)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촉수(矗水) - 남강(南江)
경상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의 지류. 하류 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하여 의령ㆍ가야 등지에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음.
경상도>함안ㅣ경상도>진주ㅣ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촉유(燭幽)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촉전(蜀牋) - 설도전(薛濤牋)
중국 당(唐) 나라의 종이. 기생 설도(薛濤)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蜀)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贈答)함.
중국>당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촉제(蜀帝) - 두우(杜宇)
중국 촉(蜀)의 국왕. 왕위를 빼앗기고 나라를 그리워하며 울다가 죽어서 두견(杜鵑)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음.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촉주(蜀主)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촉한(蜀漢) - 촉(蜀)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후손인 유비(劉備)가 한(漢)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 세운 왕조. 2대 43년간 존속.
22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촉호거사(燭湖居士) - 손응시(孫應時)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육구연(陸九淵)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에 《촉호집(燭湖集)》이 있음.
1154~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촌은(村隱) - 유희경(劉希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시인. 본관은 강화(江華). 천인 신분이지만 남언경(南彦經)에게 《가례(家禮)》를 배우고 특히 상례(喪禮)에 통달하였으며, 백대붕(白大鵬)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함.
1545~16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문인
-
총(叢) - 민총(閔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계(閔季)의 아들이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민시중(閔時中)의 아버지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총(寵) - 유총(柳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버지로, 소부 소감(小府少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총(摠)@정총 - 정총(鄭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추(鄭樞)의 아들.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했고,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表箋文) 등을 많이 지음.
1358~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총(摠)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총(摠)@강총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총(灇)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총(聰)@설총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총(聰) - 박총(朴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총(𤄓)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총공(聰公) - 무문(無聞)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정총(鄭摠) 등과 교유하여 《목은고(牧隱藁)》ㆍ《도은집(陶隱集)》ㆍ《복재집(復齋集)》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총례(聰禮) - 나총례(羅聰禮)
고려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삼한벽상일등공신(三韓壁上一等功臣)의 호를 받고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봉해짐. 금성나씨(錦城羅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총릉(聰陵) - 충정왕(忠定王)
고려 제30대 왕. 재위 1349~1351년. 충혜왕(忠惠王)의 서자(庶子)로, 어머니는 희비윤씨(禧妃尹氏).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어려서 국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부인 왕기(王祺)가 왕위에 오른 후 강화(江華)로 추방당하여 독살됨.
1337~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총선사(聰禪師) - 무문(無聞)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정총(鄭摠) 등과 교유하여 《목은고(牧隱藁)》ㆍ《도은집(陶隱集)》ㆍ《복재집(復齋集)》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총선자(聰禪者) - 명암(明菴)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말 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이 쓴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총어(叢語)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총지(總持)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총지(聰智)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총화(叢話)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총후(寵厚) - 진총후(陳寵厚)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무신.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시조로, 매호(梅湖) 진화(陳澕)의 증조부.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촬요서(撮要書) - 촬요신서(撮要新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흥생(朴興生)의 저서. 2권 2책. 목활자본. 도덕성정(道德性情)과 예악형정(禮樂刑政)에 관해 서술함.
1894 한국>근대 , 서울 , 문헌>서명
-
최가운(崔嘉運)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간이(崔簡易)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감파(崔紺坡)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견숙(崔見叔)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최경상(崔慶翔) - 최시형(崔時亨)
조선 철종(哲宗)~근대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제2대 교조(敎祖)로 《동경대전(東經大全)》등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함. 교조 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을 주도하고, 1894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을 이끌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함.
1827~1898 한국>근대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고운(崔孤雲)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고죽(崔孤竹)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금남(崔錦南) - 최부(崔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진사(進士) 최택(崔澤)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죽임을 당함. 저서에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이 있음.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최기(㝡基)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당(崔璫)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동고(崔東皐)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동원(崔東原)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락당(最樂堂)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최락당(最樂堂)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최란(崔鸞) - 최충헌(崔忠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최원호(崔元浩)의 아들.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한 후 강력한 독점 권력을 행사했으며,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마련함.
1149~121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만전(崔萬全) - 최항(崔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우(崔瑀)의 서자로, 집권 초기에는 과중한 세금을 경감하고 탐관오리를 소환하는 등의 정책을 펼쳐서 인망을 얻었으나, 점차 호사와 향락을 일삼고 몽고(蒙古)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함.
?~125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무자(崔武子) - 최저(崔杼)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 때 정(鄭)ㆍ진(秦) 나라 등의 정벌에 공을 세움. 자신의 처와 사통한 장공(莊公)을 시해하고 경공(景公)을 세워 전권을 휘둘렀으나 집안의 불화를 틈탄 경봉(慶封)에 의해 멸문을 당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최문창(崔文昌)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복술(崔福述)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복초(崔復初)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부(崔阜)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사축(崔司畜)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삼봉(崔三峯) - 길삼봉(吉三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도적. 정여립(鄭汝立)과 역모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최영경(崔永慶)이 길삼봉으로 오인 받아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도적
-
최석(崔錫) - 최석(崔奭)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평장사를 지낸 최유청(崔惟淸)의 아버지.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정주(貞州) 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였으며, 당대의 문인으로 명성을 떨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석만(崔錫萬)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선(崔仙)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선문(崔善問) - 최선문(崔善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창신교위(彰信校尉) 최자강(崔自江)의 아들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성천(崔成川)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수(崔琇)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수우(崔守愚)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수우당(崔守愚堂)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식(崔寔)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최실(崔實)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안(崔安)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앵앵(崔鸎鸎)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최언명(崔彦明)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언침(崔彦沈) - 최전(崔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주(海州). 최여우(崔汝雨)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 신동(神童)으로 불리며 시문(詩文)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568~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최여신(崔汝信)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최여이(崔汝以)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영(最英) - 이최영(李最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이며, 이진영(李震英)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최영비(崔寧妃) - 영비(寧妃)
고려 제32대 우왕(禑王)의 계비(繼妃). 본관은 동주(東州). 최영(崔瑩)의 서녀(庶女)로, 우왕이 강화(江華)로 유배될 때 따라감. 우왕이 신돈(辛旽)의 후손이라 하여 위조(僞朝)로 폄하됨에 따라 《고려사(高麗史)》〈후비전(后妃傳)〉에 들지 못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최원정(崔猿亭)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최유손(崔有孫) - 최자해(崔自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최원지(崔元之)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나와 지평(持平) 등을 거쳐 원평(原平)ㆍ밀양(密陽)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냄.
1363~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이(崔怡)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인재(崔訒齋)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일휴당(崔日休堂)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최입지(崔立之)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자(崔子) - 최저(崔杼)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 때 정(鄭)ㆍ진(秦) 나라 등의 정벌에 공을 세움. 자신의 처와 사통한 장공(莊公)을 시해하고 경공(景公)을 세워 전권을 휘둘렀으나 집안의 불화를 틈탄 경봉(慶封)에 의해 멸문을 당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최자수(崔子粹) - 최덕수(崔德秀)
조선 전기의 문신. 이해(李瀣)의 사위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별좌(別座)ㆍ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자옥(崔子玉) - 최원(崔瑗)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서예가. 문사(文辭)에 능하고, 장제(章帝) 때 두도(杜度)의 글씨체를 이어 장초(章草)를 잘 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최자화(崔子華) - 최인기(崔仁起)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최정분(崔正份)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정분(崔正芬)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제선(崔濟宣)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졸옹(崔拙翁)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종유(崔宗裕)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지(崔潪) - 최강(崔江)
고려 후기의 유학. 초명은 지(潪)이고 강(江)으로 개명함. 이곡(李穀)이 새 이름에 대한 자(字)를 심보(深父)로 지어 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최천우(崔天祐) - 최윤의(崔允儀)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편찬함.
1102~1162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청원(崔淸源) - 최기(崔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낼 때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李爾瞻)의 미움을 받아 옥사(獄死)함.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신원됨.
1553~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총(崔聰) - 최지몽(崔知夢)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전라도 영암(靈巖) 출신. 복서(卜筮)에 정통하여 태조에게 삼한(三韓)을 통일할 것이라는 해몽을 해주어 지몽(知夢)이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太師)를 지냄.
907~98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최총진(崔聰進) - 최지몽(崔知夢)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전라도 영암(靈巖) 출신. 복서(卜筮)에 정통하여 태조에게 삼한(三韓)을 통일할 것이라는 해몽을 해주어 지몽(知夢)이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太師)를 지냄.
907~98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최태원(崔大源) - 최심(崔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감사(監司)를 지낸 최현(崔晛)의 아버지.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
1512~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최태허(崔太虛) - 최능(崔凌)
조선 전기의 생원. 김안국(金安國)ㆍ박배원(朴培源)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최한기(崔漢奇) - 최한기(崔閑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영흥(永興). 조선 태조(太祖)의 외조부로,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補祚協贊佐理功臣)과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최해성(崔海城)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해운(崔海雲)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확(崔廓) - 최광(崔廣)
중국 진(秦) 말~한(漢) 초 때의 은자. 진 나라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으로, 한 나라 고조(高祖) 때 장량(張良)의 계책을 쓴 여후(呂后)의 초빙을 받아 태자빈객(太子賓客)이 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최효원(崔孝元)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