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추포(推浦) - 밀진(密津)
경상남도 밀양(密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본래 신라의 추포현(推浦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 때 밀진현(密津縣)으로 고쳐 밀성군(密城郡)에 예속시킴.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추포(秋浦)@황신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추포(秋浦) - 최서(崔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낸 최여우(崔汝雨)의 아들. 양포(楊浦) 최전(崔澱)의 형으로,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나 요절(夭折)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추포선생집(秋浦先生集) - 추포집(秋浦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황신(黃愼)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손자인 황윤(黃玧) 등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편찬하고, 외증손인 이사명(李師命)이 1684년(숙종 10)에 초간(初刊)함.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추허록(推許錄) - 사우추허록(師友推許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실려 있는 부록(附錄). 여러 책 가운데에서 송기수와 관계된 기사를 뽑아 모음.
1753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추현(鄒賢)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화(推火)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축(蓄) - 이축(李蓄)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숙야(李叔野)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고양(高陽)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
1402~14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축(軸)@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축(軸)@안축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축(軸) - 금축(琴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손자. 1531년(중종 26)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540년(중종 35) 권벌(權橃)에 의해 일사(逸士)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齊陵參奉)에 임명됨.
1496~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축(軸)@기축 - 기축(奇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판중추부사(判中樞府使) 기건(奇虔)의 아들로, 풍저창 부사(豐儲倉副使)를 지냈으며,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축건태자(竺乾太子)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충효(忠孝)@조현명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효(忠孝) - 위척(韋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문사(文辭)에 능해 순공(郇公)에 봉해짐. 오채전(五采牋)에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한 데서 오운체(五雲體)가 유래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충효(忠孝)@윤환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효(忠孝)@전충효 - 전충효(全忠孝)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제자로, 스승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畵風)을 따른〈수작도(水鵲圖)〉등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충훈부(忠勳府) - 공신도감(功臣都監)
조선시대 공신 책록을 위하여 그 업적 등을 조사하던 임시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대한 위차(位次)를 정하여 포상하고, 1434년(세종 16)부터 충훈사(忠勳司)라 개칭하였다가, 다시 1454년(단종 2) 충훈부(忠勳府)로 승격시켜 공신에 관한 모든 업무를 관할하게 함.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관청
-
충훈사(忠勳司) - 공신도감(功臣都監)
조선시대 공신 책록을 위하여 그 업적 등을 조사하던 임시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대한 위차(位次)를 정하여 포상하고, 1434년(세종 16)부터 충훈사(忠勳司)라 개칭하였다가, 다시 1454년(단종 2) 충훈부(忠勳府)로 승격시켜 공신에 관한 모든 업무를 관할하게 함.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관청
-
충희(忠僖)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희(忠僖)@영산군 - 영산군(寧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세 번째 아들. 어머니는 숙용심씨(淑容沈氏). 정막개(鄭莫介)가 반역을 고발한 박영문(朴永文)ㆍ신윤무(辛允武) 등의 옥사에 관련되어 귀양 갔다가 이홍간(李弘榦)의 아룀으로 인하여 석방됨.
1490~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췌세(贅世)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췌세옹(贅世翁)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췌헌(萃軒) - 설정총(薛廷寵)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39년(중종 34) 조선에 사신으로 왔으며, 이때 모화관(慕華館) 앞의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하게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취(就) - 윤취(尹就)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낼 때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취경재(醉經齋) - 동백우(童伯羽)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 《효경연의(孝經衍義)》ㆍ《오경훈해(五經訓解)》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취금(醉琴)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취금(醉琴)@영풍군 - 영풍군(永豊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 번째 서자.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 부사 이보흠(李甫欽) 등의 단종복위 기도에 연루되어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살해됨.
1434~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취금헌(醉琴軒)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취려(就呂) - 김취려(金就礪)@고려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으로, 김부(金富)의 아들. 거란군(契丹軍)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
?~123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취려(就礪) - 김취려(金就礪)@고려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으로, 김부(金富)의 아들. 거란군(契丹軍)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
?~123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취려(就礪) - 김취려(金就礪)@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후손으로,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자로 천거되어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수원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취로공(醉老公)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취륜(醉倫) - 유령(劉伶)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 〈주덕송(酒德頌)〉을 지어 술을 예찬함.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愛酒家)의 전형으로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취림일민(翠林逸民)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취면(醉眠)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취몽헌(醉夢軒) - 오태주(吳泰周)
조선 제18대 현종(顯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주(海州). 오두인(吳斗寅)의 아들로,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고, 귀후서 제조(歸厚署提調)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왕실의 옥책(玉册)ㆍ신판(神板)ㆍ유지(幽誌) 등을 많이 씀.
1668~17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취몽헌(醉夢軒)@이수언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취문(就文) - 김취문(金就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로,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됨.
1509~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취미(翠薇) - 두목(杜牧)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 했음.
803~85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미당(翠微堂)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취병(翠屛)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취병(醉病)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취봉(鷲峯) - 오생(悟生)
고려 후기의 승려. 과거(科擧)에 급제하여 시명(詩名)이 있었으나, 정중부(鄭仲夫)의 무신난(武臣亂) 때에 합천의 가야산(伽倻山)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켰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취부(醉夫)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취빈(就彬) - 김취빈(金就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취사(炊沙)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취산(鷲山)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
-
취산군(鷲山君) - 신극례(辛克禮)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제1차 왕자의 난 때 상장군으로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고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짐.
?~14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취산부원군(鷲山府院君) - 신극례(辛克禮)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제1차 왕자의 난 때 상장군으로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고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짐.
?~14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취서시(醉西施)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취석(醉石) - 연명취석(淵明醉石)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에 있는 바위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인 도연명(陶淵明)이 술에 취하면 눕곤 하여 그 흔적이 남았다고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취선(醉仙)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취성(就成) - 김취성(金就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취성(鷲城)@영산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
-
취성(鷲城)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취성군(鷲城君)@이경 - 이경(李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서산군(瑞山君) 이혜(李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취성군(鷲城君) - 최유(崔濡)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 기황후(奇皇后)를 설득하여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취성부원군(鷲城府院君)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취수(醉睡)@박녹 - 박녹(朴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대사간 박승임(朴承任)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향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뒤에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등을 지냄.
1542~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취수(醉睡)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취수옹(醉睡翁) - 박녹(朴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대사간 박승임(朴承任)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향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뒤에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등을 지냄.
1542~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취승(鷲僧)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취암(醉菴) - 이흡(李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의 아버지로,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死) 때 최영경(崔永慶)을 국문하다 옥사하게 한 일로 파직ㆍ유배됨.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아흥군(鵝興君)에 봉해짐.
1549~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취암(鷲巖)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취영(就盈) - 김지(金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치화(金致和)의 아들로,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을 지냄. 시를 잘 짓고 음율(音律)에도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이욱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조속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취옹(醉翁) - 김윤덕(金潤德)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성 소윤(開城少尹)과 창녕 감무(昌寧監務)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민여임 - 민여임(閔汝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 나라 장수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냄.
1559~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권절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취옹(鷲翁)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취우정(聚友亭)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취유(醉劉) - 유령(劉伶)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 〈주덕송(酒德頌)〉을 지어 술을 예찬함.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愛酒家)의 전형으로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취은(醉隱)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취음선생(醉吟先生)@피일휴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음선생(醉吟先生)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정(就精) - 김취정(金就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필(金匡弼)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취정(翠亭)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취죽(醉竹) - 강극성(姜克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현손(玄孫).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취죽헌(翠竹軒) - 박백응(朴伯凝)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사길(朴士吉)의 아버지로,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냄. 해촌사(海村祠)에 배향됨.
1525~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취추(醉醜)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취헌(翠軒)@유백증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취헌(翠軒)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취헌(翠軒)@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취화암(醉花菴)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취흘(醉吃) - 유숙(柳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계부(季父) 유몽인(柳夢寅)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됨.
1564~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측천황후(則天皇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측천후(則天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치(䎩) - 박치(朴䎩)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금천군(錦川君) 박강(朴薑)의 아들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박기(朴基)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40~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치(寘)@이치 - 이치(李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넷째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치(寘) - 심치(沈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심귀령(沈龜齡)의 아들이자 와서 별좌(瓦署別坐) 심견(沈肩)의 아버지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사후 풍산군(豊山君)에 봉(封)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治)@홍치 - 홍치(洪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左議政) 홍달손(洪達孫)의 아버지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치(治) - 양치(梁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종(世宗) 때의 종친인 이리(李利)의 사위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치(穉) - 이치(李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ㆍ이지함(李之菡)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풀려나 판관(判官) 등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치(緇) - 박치(朴緇)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춘천(春川).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인 이식(李埴)의 장인으로, 별시위 사정(別侍衛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무신
-
치(緻)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菑) - 이치(李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로, 판교(判校)를 지냄. 동생 이여(李畬)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치(袳) - 익녕군(益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여덟째 서자. 절제사(節制使) 박종지(朴從智)의 딸인 운봉 박씨(雲峯朴氏)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