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치(觶) - 황치(黃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황준량(黃俊良)ㆍ황수량(黃秀良) 형제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치(錙) - 김치(金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흡곡 현령(歙谷縣令)을 지낸 김숙춘(金叔春)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치(齒)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치강(致剛) - 김건수(金健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종제(從弟)로,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에 그와 시를 읊은 기록이 보임.
148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치경(稚卿) - 주택(周澤)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태상(太常)의 관원이 되어서 종묘(宗廟)를 지켰는데 병이 들어서 재궁(齋宮)에 누워 있을 때 그의 처가 몰래 가서 엿보자 금법을 범하였다는 이유로 아내를 조옥(詔獄)에 내려 보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경(致敬) - 황치경(黃致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병조 정랑(兵曹正郞) 황수(黃瀡)의 아버지로, 전라 감사(全羅監司) 등을 지냄.
1554~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치관(致寬)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치구(致九) - 김치구(金致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일손(金馹孫)의 증손자이며,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치국평천하장(治國平天下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치규(稚圭)@광형 - 광형(匡衡)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 몹시 가난했으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시경(詩經)》의 해설에 뛰어났음. 평원문학(平原文學)을 지내다가 뒤에 정승으로 낙안후(樂安侯)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규(稚圭)@한기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규(稚圭) - 조근(趙瑾)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중추원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조말생(趙末生)의 아들로, 《문종실록(文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해서(楷書)에 능하여 외교문서ㆍ전적(典籍) 등의 작성에 공헌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치규(稚圭)@한근 - 한근(韓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당진(唐津)으로, 한숙(韓淑)ㆍ한주(韓澍)ㆍ한호(韓灝)의 아버지. 만년(晩年)에 효행(孝行)으로 추천을 받아 세자익위사 좌세마(世子翊衛司左洗馬)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관인>무신
-
치규(稚圭)@송치규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규(稚圭)@한경기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치규(稚珪) - 공치규(孔稚珪)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작품 중에 〈북산이문(北山移文)〉이 유명함.
447~5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치근(致勤) - 남치근(南致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구(南俅)의 아들로, 여러 차례 호남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토벌하였고, 경기ㆍ황해ㆍ평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 시절에 황해도 재령(載寧)에서 암약하던 임꺽정을 잡아 효수(梟首)함.
?~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치담(致湛) - 금치담(琴致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성(鳳城). 성주 판관(星州判官)을 지낸 금간(琴衎)의 아들로,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치당(稚堂) - 성긍주(成肯柱)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덕구(成德求)의 아들로, 풍기 군수(豐基郡守) 등을 지냄.
17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치당(致堂)@호인 - 호인(胡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양자로, 양시(楊時)에게 수학한 뒤 형록학파(衡麓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내고, 금(金)과의 강화(講和)를 반대함.
1098~115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당(致堂) - 김회조(金懷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민공(文敏公) 김광철(金光轍)의 아들로, 통헌대부(通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치당선생(致堂先生) - 호인(胡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양자로, 양시(楊時)에게 수학한 뒤 형록학파(衡麓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내고, 금(金)과의 강화(講和)를 반대함.
1098~115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당호씨(致堂胡氏) - 호인(胡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양자로, 양시(楊時)에게 수학한 뒤 형록학파(衡麓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내고, 금(金)과의 강화(講和)를 반대함.
1098~115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도(稚道) - 탁이위(卓理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시랑(侍郞)을 지낸 탁난(卓蘭)의 맏아들로, 지해양현사(知海陽縣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치도(致道)@권상하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치도(致道) - 조사하(趙師夏)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로, 주희의 예서(禮書) 편찬을 도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례(致禮)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치리(致利)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치만(致萬) - 김치만(金致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李縕)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 시직(侍稷)을 역임함.
1697~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명(致明)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치보(治甫)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치부(恥夫) - 유사렴(兪思廉)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수원부차유선생운(水原府次兪先生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치사헌(致思軒)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치산(廌山)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산선생(廌山先生)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상(致祥) - 목치상(睦致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생원(生員) 목승평(睦昇平)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치생마(治生馬) - 마원(馬援)
중국 후한(後漢) 때의 장군. 광무제(光武帝)의 신하가 되어 교지(交趾)와 흉노(匈奴)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B.C.14~A.D.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치숙(治叔)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치숙(癡叔) - 왕담(王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덕(德)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아 사람들에게 치숙(癡叔)이라고 불림. 역리(易理)에 정통하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치신(致身) - 황치신(黃致身)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황희(黃喜)의 아들.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름. 형조 정랑(刑曹正郞)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
1397~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치신(致身)@이치신 - 이치신(李致身)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후사가 없어 형 이성신(李省身)의 아들인 이환(李桓)을 양자로 들임.
1594~166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치암(恥庵)@구사민 - 구사민(具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1578년(선조 11)에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현감(縣監)을 지내고,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치암(恥庵)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치암(恥菴)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암(癡菴)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앙(穉仰) - 이상두(李相斗)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사례계의(四禮稽疑)》ㆍ《거가십요(居家十要)》ㆍ《교아십요(敎兒十要)》등이 있음.
1769~18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양(致陽) - 김치양(金致陽)
고려 성종(成宗)~목종(穆宗) 때의 외척ㆍ권신. 경종(景宗)의 비 헌애왕후(獻哀王后)와 사통하여 목종 즉위후 권력을 휘두르고 역모를 꾀하다가, 강조(康兆)에게 살해됨.
?~1009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왕실>인척
-
치언(巵言) - 예원치언(藝苑巵言)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세정(王世貞)이 찬술한 시문평론서(詩文評論書). 고대부터 명대(明代)까지의 시문(詩文)ㆍ시문평(詩文評) 등을 수록하고 자신의 의견을 붙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치오(穉五)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치옹(恥翁)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치요(致堯) - 곽치요(郭致堯)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 곽기수(郭期壽)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해미 , 인명>관인>문신
-
치우(癡牛) - 견우(牽牛)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남자 주인공. 견우성(牽牛星)을 의인화한 것으로, 매년 칠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치우(致虞) - 조치우(曺致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조말손(曺末孫)의 아들로,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청렴하고 효행이 뛰어나 왕으로부터 《소학(小學)》과 옥비(玉碑)를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치욱(致勖) - 남치욱(南致勖)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5대조로, 1528년(중종 23)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냄.
1494~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치운(致運) - 김치운(金致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김인령(金引齡)의 아버지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치운(致雲)@최치운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치운(致雲) - 김치운(金致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선(金鏇)의 아들로,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元)@변치원 - 변치원(卞致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 유학 변옥성(卞玉成)의 아버지로 부사용(副司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치원(致元)@한치원 - 한치원(韓致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내섬시 첨정(內贍寺僉正)을 지낸 한운(韓運)의 아버지로,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元) - 남치원(南致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成宗)의 넷째 딸 경순옹주(慶順翁主)를 맞아들여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치원(致遠)@신일 - 신일(辛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권제 - 권제(權濟)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부터 사부(詞賦)를 잘 짓는다고 이름이 났지만 계속 과거에 실패한 뒤 쌍계사(雙磎寺)에서 학문을 닦고, 하수일(河受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치원(致遠)@박대임 - 박대임(朴大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을 지낸 박영석(朴永錫)의 아들.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찰방(察訪)을 지냄. 《송암집(松巖集)》에 권호문(權好文)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권덕여 - 권덕여(權德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이며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부제학(副提學)과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이이(李珥)의 처벌에 동조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51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남응운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 - 윤의중(尹毅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역모 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李潑)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임대충 - 임대충(任大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정략장군(定略將軍) 임맹달(任孟達)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치원(致遠)@전치원 - 전치원(全致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완산(完山).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淸溪書院)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에서 의병으로 활동함.
152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치원(致遠)@최치원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허임 - 허임(許任)
조선 전기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의 병풍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치의(致義) - 한치의(韓致義)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의 외숙.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40~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치이(鴟夷)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치이자(鴟夷子)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치이자피(鴟夷子皮)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치인(致仁)@김치인 -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1716~17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인(致仁)@오치인 - 오치인(吳致仁)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목 판관(晉州牧判官)으로 있을 때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었으며, 1491년(성종 22) 촉석루를 중수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치인(致仁) - 한치인(韓致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 한확(韓確)의 아들이며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오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21~14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치장(稚張) - 탁본(卓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내시윤(內侍尹)을 지낸 탁산립(卓山立)의 아들로, 직장(直長)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치재(恥齋)@홍인우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치재(恥齋) - 이창수(李昌壽)@조선정종의현손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玄孫)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학문이 뛰어나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치재(恥齋)@탁원광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치재선생유고(耻齋先生遺稿) - 치재유고(耻齋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아들인 홍진(洪進)이 유고(遺稿)를 수집, 편차하여 1607년(선조 40)경에 초간(初刊)함.
16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정(治正) - 탁평(卓平)
조선 전기의 진사.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탁희립(卓希立)의 둘째 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를 지냈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인 탁련(卓璉)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치정(致精)@김치정 - 김치정(金致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종혁(金從革)의 아들이고, 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버지이며,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의 조부.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치정(致精) - 오치정(吳致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오윤지(吳允祉)의 아버지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치정재추소(致政宰樞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치중(致中) - 유면지(劉勉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헌(胡憲)ㆍ유자휘(劉子翬)와 깊이 교유함. 주희(朱熹)의 아버지 주송(朱松)의 친우로, 주희가 사부(師父)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치천(淄川) - 양하(楊何)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학자. 왕동(王同)으로부터 《주역(周易)》을 배워 통달하였으며, 중대부(中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치천(癡川)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천(稚川)@윤방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천(稚川)@김수홍 - 김수홍(金粹洪)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치천(稚川) - 김홍(金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세진(金世震)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치천(稚川)@갈홍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치천상공(稚川相公)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천선생유고(稚川先生遺稿) - 치천유고(稚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치천(稚川) 윤방(尹昉)의 시문집. 목판본. 1737년(영조 13) 간행됨.
173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천집(稚川集) - 치천유고(稚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치천(稚川) 윤방(尹昉)의 시문집. 목판본. 1737년(영조 13) 간행됨.
173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청(稚淸) - 김진하(金鎭河)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김기중(金基中)의 아들로, 삼사(三司)의 청직(淸職)을 두루 거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86~18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치평장(治平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치헌(恥軒) - 유세훈(柳世勛)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신천서원(新川書院)ㆍ이양서원(伊陽書院)에 배향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