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치헌(癡軒)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형(致亨)@남치형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치형(致亨) - 한치형(韓致亨)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고모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면서 대중국 외교에서 활동하였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당함.
1434~150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치홍(致洪) - 구치홍(具致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동생.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치화(致和) - 정치화(鄭致和)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아버지.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함.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
1609~16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치화(致和)@김치화 - 김치화(金致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역임한 문신 김지(金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치회(稚晦)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칙(則) - 이칙(李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성종 때 임사홍(任士洪)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8~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칙사(勅使)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칙암(則庵)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칙우(則優) - 성호선(成好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창산군(昌山君) 성수익(成壽益)의 아들.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냄.
15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칙평(則平) - 조보(趙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태조(太祖)의 총애를 받았고 내외의 치정(治政)에 수완을 발휘함으로써 번진(藩鎭) 해체와 금군(禁軍)의 강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등 송조(宋朝)의 지배체제를 확립함.
922~99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친(𡩁) - 이친(李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차남으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희(李暿)의 딸과 혼인함.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친친재(親親齋)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강옹(漆江翁)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칠계(漆溪)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칠계군(漆溪君)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칠권서(七卷書)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칠도인(漆道人)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칠리(漆吏)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리뢰(七里瀨) - 엄릉뢰(嚴陵瀨)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여울. 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이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낚시질하던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칠림선생(漆林先生) - 윤수(尹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효조(尹孝祖)의 아들이며, 윤희성(尹希聖)의 생부(生父).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당대에 명성이 높았으나 시대가 불운하여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 - 칠백의총(七百義塚)
조선의 임진왜란 때 전라도 금산(錦山) 전투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칠백 의사의 무덤. 1592년(선조 25) 조헌(趙憲)의 문인인 박정량(朴廷亮) 등이 의병과 승병의 시신을 수습하여 조성하였으며,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있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시설>능묘
-
칠백총(七百塚) - 칠백의총(七百義塚)
조선의 임진왜란 때 전라도 금산(錦山) 전투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칠백 의사의 무덤. 1592년(선조 25) 조헌(趙憲)의 문인인 박정량(朴廷亮) 등이 의병과 승병의 시신을 수습하여 조성하였으며,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있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시설>능묘
-
칠보재(七步才)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칠봉(七峯)@성수익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칠봉(七峯)@함헌 - 함헌(咸軒)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호군(副護軍) 함좌무(咸佐武)의 아들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강릉에 오봉서원(五峯書院)을 지어 후진을 양성하고, 이황(李滉)ㆍ정광필(鄭光弼) 등과 교유함.
150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칠봉(七峯)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칠봉사(七峯祠) - 오봉서원(五峯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강원도 강릉(江陵)에 건립한 서원. 삼척 부사(三陟府使) 함헌(咸軒)과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공자(孔子)의 화상(畫像)과 주자(朱子)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5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봉원(七峯院) - 칠봉서원(七峯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강원도 원주(原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원천석(元天錫)ㆍ원호(元昊)ㆍ정종영(鄭宗榮)ㆍ한백겸(韓百謙)을 배향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불선원(七佛禪院) - 칠불사(七佛寺)
금관가야(金官伽倻) 수로왕(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河東) 방면 지리산(智異山)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한국>가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칠불암(七佛庵) - 칠불사(七佛寺)
금관가야(金官伽倻) 수로왕(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河東) 방면 지리산(智異山)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한국>가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칠산군(漆山君) - 이선손(李璿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고림정(高林正) 이훈(李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칠산정(漆山正) - 이선손(李璿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고림정(高林正) 이훈(李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칠서(七書) - 무경칠서(武經七書)
중국의 병법(兵法)에 관한 일곱 가지 책. 군사를 훈련시키고 전략을 세우는 등 용병하는 방법을 총망라한 책으로, 《손자(孫子)》ㆍ《오자(吳子)》ㆍ《사마법(司馬法)》ㆍ《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ㆍ《위료자(尉繚子)》ㆍ《삼략(三略)》ㆍ《육도(六韜)》를 가리킴.
1083 중국>송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칠서석의(七書釋義)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칠서지옥(七庶之獄) - 계축화옥(癸丑禍獄)
조선 1613년(광해군 5)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는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옥사(獄事). 서인(西人)ㆍ남인(南人)들은 유배되거나 관직을 삭탈당하고, 인목대비(仁穆大妃)도 폐위됨.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건>역모
-
칠석일(七夕日) - 칠석(七夕)
음력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銀河)의 서쪽에 있는 직녀(織女)와 동쪽에 있는 견우(牽牛)가 오작교(烏鵲橋)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를 기념하여 마을 축제 등을 벌임.
사건>풍속
-
칠성(七城) - 용안(龍安)
전라도 북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이곳 금두포(金頭浦)에 득성창(得成倉)이 설치되어 조운(漕運)의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에 속함.
전라도>용안 , 지명>행정지명
-
칠성군(漆城君)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칠성수(漆城守) - 이화(李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으로, 시안군(始安君) 이탁(李擢)의 아들.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수언(李粹彦)의 사위로, 칠성수(漆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칠송(七松)@경섬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칠송(七松)@이령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칠송(七松)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칠송거사(七松居士)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칠송당(七松堂)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정(七松亭)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처사(七松處士)@권동보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처사(七松處士) - 정훈(鄭薰)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자기 집에 소나무 일곱 그루를 심고서 칠송처사(七松處士)라 자호(自號)하였고, 벼슬은 태자소사(太子少師)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칠수(漆叟)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수(漆水)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칠신(七臣) - 유교칠신(遺敎七臣)
조선 선조(宣祖)의 유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보호를 부탁받은 7명의 신하. 유영경(柳永慶)ㆍ한응인(韓應寅)ㆍ박동량(朴東亮)ㆍ서성(徐渻)ㆍ신흠(申欽)ㆍ허성(許筬)ㆍ한준겸(韓浚謙)을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칠옹(漆翁)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漆園)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군(漆原君)@윤환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군(漆原君)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리(漆園吏)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백(漆原伯)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윤환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부원군(漆園府院君)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선(漆園仙)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선생(漆園先生) - 윤수상(尹守常)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의 《급암시집(及菴詩集)》에 그를 축하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칠원후(漆原侯)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월칠석(七月七夕) - 칠석(七夕)
음력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銀河)의 서쪽에 있는 직녀(織女)와 동쪽에 있는 견우(牽牛)가 오작교(烏鵲橋)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를 기념하여 마을 축제 등을 벌임.
사건>풍속
-
칠자옹(七者翁) - 유평(劉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유자휘(劉子翬)의 아들로, 소무군사호참군(邵武軍司戶參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 등과 교유함.
1138~11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칠저(漆邸) - 칠원(漆原)
경상남도 함안(咸安)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칠원 , 지명>행정지명
-
칠정(七井) - 이세화(李世華)@조선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이재(李以載)의 아들로, 이희재(李熙載)에게 출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됨.
1630~170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칠중(七重) - 적성(積城)
경기도 파주(坡州) 적성면(積城面)과 양주(楊州) 남면(南面) 일대에 해당하던 고을 이름.
경기도>적성 , 지명>행정지명
-
칠중하(七重河) - 임진강(臨津江)
강원도 법동(法洞) 두류산에서 발원, 남류(南流)하여 한강(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자연지명
-
칠촌(漆村) - 김충남(金忠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광산(光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좇아 문학에 명성이 있었으며 향교를 중수하여 유학를 부흥시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칠충신사(七忠臣祠) - 충렬사(忠烈祠)@남원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건립된 사당. 1612년(광해군 4)에 창건되고 1653년(효종 4)에 사액되었으며, 정기원(鄭期遠)ㆍ이복남(李福男)ㆍ신호(申浩) 등 50여 인을 배향함.
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사당
-
칠칠(七七)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칠칠선(七七仙)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칠칠선옹(七七仙翁)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칠편(七篇)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칠현(七賢)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칠현서원(七賢書院) - 근암서원(近嵒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상주에 건립한 서원. 1544년(중종 39)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이 근암서당(近嵒書堂)을 설립한 뒤 1665년(현종 6) 홍언충(洪彦忠)을 배향하여 향현사(鄕賢祠)가 되었으며, 1669년(현종 10) 이덕형(李德馨)을 추배하여 서원으로 선액(宣額)됨. 홍여하(洪汝河)ㆍ김홍민(金弘敏)ㆍ권상일(權相一) 등을 추배함. 현재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에 속함.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현유적지(七賢遺蹟址) - 모암서원(慕岩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건립한 서원. 효와 충, 청백리로 알려진 칠현(七賢)인 서릉(徐稜)ㆍ정운룡(鄭雲龍)ㆍ김우급(金友伋)ㆍ조정로(趙廷老)ㆍ조영규(趙英圭)ㆍ최학령(崔鶴齡)ㆍ박수량(朴守良) 등을 배향함.
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휴(七休)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칠휴거사(七休居士)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침(忱)@이침 - 경명군(景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 번째 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 중종(中宗) 때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휩싸여 고초를 겪음.
1489~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침(忱) - 채침(蔡忱)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정평 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를 지낸 채석경(蔡碩卿)의 아들로, 곤양 군수(昆陽郡守)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중종의 원비(元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반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침(沉) - 경침(慶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경세청(慶世淸)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85~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침(琛)@허침 - 허침(許琛)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 성종(成宗) 때 윤비(尹妃)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에 화를 면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44~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침(琛) - 유침(庾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외척ㆍ무신. 명제(明帝)의 비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아버지로, 건위장군(建威將軍) 등을 역임하고 황후의 아버지로서 좌장군(左將軍)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침(琛)@곽침 - 곽침(郭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개성부사(判開城府使)를 지낸 곽영준(郭迎俊)의 아들이며 곽추(郭樞)의 아버지로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침(琛)@조침 - 조침(趙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의 부마인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침(琛)@이침 - 밀성군(密城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록됨.
1430~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침(琛)@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침(沈) - 한침(韓沈)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둘째 아들로, 찰방(察訪) 한부(韓溥)의 동생이며 공조 정랑(工曹正郞) 한연(韓淵)의 형. 찰방(察訪)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침구갑을경(針灸甲乙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침류당(枕流堂)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칩암거사(蟄菴居士)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칭(稱)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칭도(稱道) - 민칭도(閔稱道)
고려 전기의 문신. 중국 농서현에서 계출된 성씨로 공자(孔子) 제자인 민손(閔損)의 후손이며,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함. 여흥에 정착하여 민씨의 시조(始祖)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쾌헌(快軒) - 김태현(金台鉉)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수(金須)의 아들. 《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함.
1261~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쾌혜주인(快兮主人) - 윤우형(尹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안국(金安國)이 그의 쾌혜정(快兮亭)을 소재로 쓴 시가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타괴(打乖) - 윤인서(尹仁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권간(權奸)에 아부하고 공명(功名)을 탐하여 누차 탄핵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타락산(駝駱山) - 낙산(駱山)
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 주산(主山)의 좌청룡에 해당하며,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駱駝山) 또는 타락산(駝駱山)이라고도 부름.
서울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