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타뢰(拖雷) - 예종(睿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칭기즈칸의 넷째 아들. 칭기즈칸을 따라 동정서벌(東征西伐)에 참가하였고, 경양황제(景襄皇帝)로 추존됨.
?~123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타아(陁阿)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타촌(沱村) - 사포선(史褒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使)ㆍ대리시경(大理寺卿)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가 창궐할 때 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함.
1499~15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타촌(駝村) - 사포선(史褒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使)ㆍ대리시경(大理寺卿)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가 창궐할 때 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함.
1499~15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타환첩목아(妥驩帖木兒)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倬)@문탁 - 문탁(文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시랑 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ㆍ태사(太師)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탁(倬)@윤탁 - 윤탁(尹倬)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중(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사은(尹師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였고, 학문이 높아 조광조(趙光祖) 등에게 도학(道學)을 가르침.
1472~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倬)@최탁 - 최탁(崔倬)
조선 전기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생원(生員)을 거쳐 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낸 것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탁(倬)@우탁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倬) - 이탁(李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탁(擢) - 이탁(李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칠성수(漆城守) 이화(李譁)의 아버지로, 시안군(始安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탁(擢)@정탁 - 정탁(鄭擢)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李成桂)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右議政)을 지냈음.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됨.
1363~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탁(濯) - 이탁(李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세 번째 서자이고, 이함(李涵)ㆍ이린(李潾)의 아우이며, 이옥(李沃)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탁(濯)@유탁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탁(琢)@성탁 - 성탁(成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창성군(昌城君) 성희옹(成希雍)의 아들이자, 성순(成恂)의 할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탁(琢)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탁(鐸)@윤탁 - 윤탁(尹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박사겸(朴思謙)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 진주(晉州)에서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전사함.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탁(鐸)@정탁 - 정탁(鄭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평(持平) 정충기(鄭忠基)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ㆍ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냄.
1452~149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탁(鐸) - 홍탁(洪鐸)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외척. 인성군(麟城君) 홍선(洪詵)의 아들로, 충혜왕의 비인 화비(和妃)의 아버지. 경상도 진변사(慶尙道鎭邊使) 등을 지냈으나, 공민왕 때 사위 조일신(趙日新)이 반란을 일으켜 회원 현령(檜原縣令)으로 좌천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탁(鐸)@김탁 - 김탁(金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고령(高靈).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에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탁(鐸)@이탁 - 이탁(李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과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덕이 많고 청렴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으며, 권신 이기(李芑)를 탄핵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경(倬卿) - 최형한(崔亨漢)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巖). 김일손(金馹孫)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하고,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궁궐 앞에서 대죄(待罪)하다가 아사(餓死)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경(卓卿) - 정세현(鄭世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석성 현감(石城縣監)을 지낸 정수덕(鄭守德)의 아들.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탁계(濯溪) - 전치원(全致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완산(完山).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淸溪書院)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에서 의병으로 활동함.
152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탁관(卓琯) - 탁진옥(卓振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맏아들로, 1468년(세조 14)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였으며, 사인(舍人)ㆍ검상(檢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라양씨(乇羅梁氏) - 제주양씨(濟州梁氏)
탐라(耽羅) 개국설화에 나오는 삼신인(三神人) 중의 한 사람인 양을나(良乙那)를 시조로 하는 성씨. 후손 양탕(良宕)이 신라에 입조(入朝)하여 양성(梁姓)으로 사성됨.
고대 , 전라도>제주 , 인명>집단>성씨
-
탁령(涿令) - 등무(滕撫)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고 정치를 잘하여 백성에게 사랑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탁문정(卓文貞)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탁문후(卓文后)@탁문군 - 탁문군(卓文君)
중국 전한(前漢) 임공(臨邛)의 부호인 탁왕손(卓王孫)의 딸이며,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처. 사마상여가 타는 거문고 소리에 반하여 밤중에 집을 빠져 나와 그의 아내가 되었으며, 후에 사마상여가 무릉(茂陵)의 여자를 첩으로 삼으려 하자 〈백두음(白頭吟)〉이라는 가사(歌詞)를 지어 결별의 뜻을 밝힘.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탁발굉(拓跋宏) - 효문제(孝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6대 황제. 재위 471~499. 5살에 즉위해 490년까지 조모(祖母)인 풍태후(馮太后)의 섭정 하에 있었으며, 집권 후에는 중국의 다민족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혁정책을 추진함.
467~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규(拓拔珪) - 도무제(道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 재위 386~409.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漢人)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北魏)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 아들 탁발소(拓跋紹)에게 살해됨.
371~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규(拓跋珪) - 도무제(道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 재위 386~409.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漢人)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北魏)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 아들 탁발소(拓跋紹)에게 살해됨.
371~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도(拓跋燾)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도(拓跋燾)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사(拓跋嗣) - 명원제(明元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황제. 재위 409~423.
392~4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사막한(拓跋沙漠汗) - 문제(文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 황제. 신원제(神元帝)의 아들로, 태자로 있을 때 중원의 문물을 배우고 귀국하였으나 누명으로 죽고, 그의 아들인 탁발의이(拓拔猗㐌)가 부족을 통일하여 환제(桓帝)가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십익건(拓跋什翼犍)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왕. 전진(前秦)의 부견(苻堅)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쳐 떠돌다가 아들인 탁발식군(拓拔寔君)에게 피살됨.
320~3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위(拓跋魏) - 북위(北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조(北朝) 최초의 왕조. 선비족(鮮卑族)인 탁발규(拓跋珪)가 화북(華北) 지역에 세운 나라로, 14대 49년간 존속.
386~53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탁발의이(拓跋猗㐌) - 환제(桓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 황제. 문제(文帝)의 아들.
?~3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준(拓跋濬) - 문성제(文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4대 황제. 재위 452~465. 탁발황(拓跋晃)의 아들이며, 헌문제(獻文帝)의 아버지로, 숙부인 안남왕(安南王)을 이어 즉위한 후 민력(民力)을 기르고 안정시키는 데 힘써 북위 융성의 기초를 닦음.
440~4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태무제(拓跋太武帝)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발홍(拓跋弘) - 헌문제(獻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5대 황제. 재위 465~471. 문성제(文成帝)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어머니인 풍태후(馮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는데, 풍태후의 총신인 이혁(李弈)을 죽이자, 풍태후에게 살해당함.
454~4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탁보(卓甫)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부(卓夫)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암(卓庵) - 풍기(馮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明神宗) 때의 문신.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음.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로 《북해집(北海集)》ㆍ《경제유편(經濟類編)》 등이 있음.
1558~160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탁암(卓菴) - 풍기(馮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明神宗) 때의 문신.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음.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로 《북해집(北海集)》ㆍ《경제유편(經濟類編)》 등이 있음.
1558~160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탁암(琢菴) - 풍기(馮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明神宗) 때의 문신.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음.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로 《북해집(北海集)》ㆍ《경제유편(經濟類編)》 등이 있음.
1558~160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탁연(卓然)@윤탁연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탁연(卓然)@탁련 - 탁련(卓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평(卓平)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정주(定州)로 유배되었다가 서용되어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탁영(濯纓)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영선생문집(濯纓先生文集) - 탁영집(濯纓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일손(金馹孫)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조카 김대유(金大有)가 수집ㆍ편찬하고, 1519년(중종 14)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이 자계사(紫溪祠)에서 간행함.
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문헌>서명
-
탁영선생연보(濯纓先生年譜) - 탁영연보(濯纓年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인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에 대한 연보. 2권 1책. 목판본. 1548년(명종 3) 조카 김대유(金大有)가 편집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1874년(고종 11) 홍순목(洪淳穆)의 서(序)를 받아 서울에서 간행함.
18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탁영자(濯纓子)@노경린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탁영자(濯纓子)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옹(籜翁)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탁이(卓爾) - 김태암(金泰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조양(金調陽)의 아들. 김정(金淨)ㆍ성운(成運)과 교우가 두터웠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에서 죽음.
1477~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탁이(濯以) - 김강한(金江漢)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의 문인으로, 이상정(李象靖)ㆍ최흥원(崔興遠)ㆍ유도원(柳道源)ㆍ유장원(柳長源) 등과 교유함. 저서에 《계집고증(溪集考證)》과 《난곡집(蘭谷集)》이 있음.
1719~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탁주(侂冑) - 한탁주(韓侂冑)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여주 방어사(汝州防御使)ㆍ태사(太師) 등을 지냈으나, 재상 조여우(趙汝愚)를 배척하고 주희(朱熹)의 이학(理學)을 위학(僞學)으로 모는 등 국정을 천단함. 북벌(北伐)을 주장하여 출병하였다가 실패하자 사미원(史彌遠)에게 죽임을 당함.
1152~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탁준인(卓俊仁) - 탁순인(卓純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를 지낸 탁연(卓淵)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탁지(濯之)@이윤탁 - 이윤탁(李允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문건(李文楗)ㆍ이충건(李忠楗)의 아버지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탁지(濯之) - 오한(吳漢)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1479년(성종 10) 나주 객관(羅州客館)을 중수할 때 나주 통판(羅州通判)으로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탁청(濯淸) - 김수(金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무예에도 뛰어났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탁청헌(濯淸軒)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탄(坦)@김탄 - 김탄(金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낸 김부인(金富仁)의 아들.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만사(輓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탄(坦)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탄(坦)@윤탄 - 윤탄(尹坦)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숙부로,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탄복랑(坦腹郞)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여이간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전탄부 - 전탄부(全坦夫)
고려 후기의 문신. 벼슬이 중군 녹사(中軍錄事)에 이름. 원수(元帥) 막부(幕府)의 보좌관이 되어 국경을 침범한 거란족을 토벌하던 중 전사함. 사(詞)에 뛰어났으며 이규보(李奎報)가 애사(哀詞)를 지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박연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탄수(灘叟)@원두표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탄수(灘叟)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탄수(灘叟)@김규 - 김규(金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위사(宣慰使)로 동래(東萊)에 있을 때 윤원형(尹元衡) 등의 무고로 체포되어 경원(慶源)에 8년간 유배된 뒤 풀려나 경상도 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를 지냄.
1522~15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탄연(坦然) - 권탄연(權坦然)
조선 전기의 유학.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탄옹(灘翁)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탄옹(炭翁)@권시 - 권시(權諰)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권득기(權得己)의 아들.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같은 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았음.
1604~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탄옹(炭翁) - 권시(權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낸 권열(權挒)의 아버지. 1411년(태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386~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탄옹선생집(炭翁先生集) - 탄옹집(炭翁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시(權諰)의 시문집. 13권 7책. 목판본. 1738년(영조 14) 권시의 증손 권정징(權瀞徵)이 공주(公州)의 도산서원(道山書院)에서 간행함.
17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탄은(灘隱)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탄지(坦之)@왕탄지 - 왕탄지(王坦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초(郗超)와 더불어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었다가 효무제(孝武帝) 때 사안(謝安)과 함께 황제를 도와 정무(政務)를 주도하였으며, 중서령(中書令) 등을 역임함. 불교를 신봉하고 형명학(刑名學)을 숭상하였음.
330~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탄지(坦之) - 왕순(王珣)@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재학(才學)과 문장(文章)으로 효무제(孝武帝)의 총애를 받아 상서성(尙書省)의 고위직에 오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탄지(坦之)@윤항 - 윤항(尹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해남(海南).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억령(林億齡)ㆍ노수신(盧守愼)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문인
-
탄천(炭川) - 이지직(李之直)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이집(李集)의 장남.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등을 지냄.
1354~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탄행(坦行) - 김탄행(金坦行)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金濟謙)의 아들. 신임옥사(申壬獄事)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錦山)에 유배되고, 영조(英祖)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714~177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지 , 인명>관인>문신
-
탄협객(彈鋏客) - 풍환(馮驩)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인물. 재상인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으로 있으면서 맹상군의 안위를 위한 충언(忠言)을 아끼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탈고(脫袴) - 산구(山鳩)
멧비둘기. 울음소리를 음차(音借)하여 ‘탈고(脫袴)’로 일컬어지는데, 해진 바지를 벗어버리고 새 옷으로 갈아입으라는 의미라 함.
자연물>동물
-
탈폐고(脫敝袴) - 산구(山鳩)
멧비둘기. 울음소리를 음차(音借)하여 ‘탈고(脫袴)’로 일컬어지는데, 해진 바지를 벗어버리고 새 옷으로 갈아입으라는 의미라 함.
자연물>동물
-
탈해왕(脫解王)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탈환(脫歡)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탐라양씨(耽羅梁氏) - 제주양씨(濟州梁氏)
탐라(耽羅) 개국설화에 나오는 삼신인(三神人) 중의 한 사람인 양을나(良乙那)를 시조로 하는 성씨. 후손 양탕(良宕)이 신라에 입조(入朝)하여 양성(梁姓)으로 사성됨.
고대 , 전라도>제주 , 인명>집단>성씨
-
탐라양씨(耽羅良氏) - 제주양씨(濟州梁氏)
탐라(耽羅) 개국설화에 나오는 삼신인(三神人) 중의 한 사람인 양을나(良乙那)를 시조로 하는 성씨. 후손 양탕(良宕)이 신라에 입조(入朝)하여 양성(梁姓)으로 사성됨.
고대 , 전라도>제주 , 인명>집단>성씨
-
탐진(耽津)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탐진유씨(耽津兪氏) - 강진유씨(康津兪氏)
고려 말에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낸 유적(兪迪)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집단>성씨
-
탑사첩목아(塔思帖木兒) - 왕혜(王譓)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셋째 아들. 원(元) 나라 순제(順帝)에게 고려의 왕으로 책봉받고 기황후(奇皇后)ㆍ최유(崔濡) 등과 공모하여 본국을 침입했으나 실패한 뒤 원으로 쫓겨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탑사첩목아(搭思帖木兒) - 왕혜(王譓)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셋째 아들. 원(元) 나라 순제(順帝)에게 고려의 왕으로 책봉받고 기황후(奇皇后)ㆍ최유(崔濡) 등과 공모하여 본국을 침입했으나 실패한 뒤 원으로 쫓겨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탑산(塔山) - 옥룡산(玉龍山)
전라남도 장흥(長興)의 천관산(天冠山) 남쪽에 위치한 산. 옥룡사(玉龍寺) 등이 있음.
전라도>장흥 , 지명>자연지명
-
탑첩목(塔帖木) - 왕혜(王譓)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셋째 아들. 원(元) 나라 순제(順帝)에게 고려의 왕으로 책봉받고 기황후(奇皇后)ㆍ최유(崔濡) 등과 공모하여 본국을 침입했으나 실패한 뒤 원으로 쫓겨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탕(宕)@이탕 - 이탕(李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병조 참판(兵曹參判) 이정암(李廷馣)의 아버지. 1534년 (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사직서 영(社稷署令)을 지냄.
150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탕(宕) - 윤탕(尹宕)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사하(尹師夏)의 아들.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