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탕경(湯卿) - 목대흠(睦大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曺參判)을 지낸 목첨(睦瞻)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亂) 때 공을 세움. 저서로는 《다산집(茶山集)》이 있음.
1575~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탕경(湯卿)@황탕경 - 황탕경(黃湯卿)
조선 시대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의주 목사(義州牧使) 황진(黃璡)의 아버지로, 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탕로(湯老)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탕보(蕩甫) - 윤탄(尹坦)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숙부로,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탕유관동록(宕遊關東錄) - 유관동록(遊關東錄)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관동지방(關東地方) 유람기. 《사유록(四遊錄)》의 하나로, 1460년(세조 6) 관동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後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당집(梅月堂集)》 권10에 실려 있음.
1460 한국>조선전기 , 문헌>편명
-
탕유관서록(宕遊關西錄) - 유관서록(遊關西錄)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관서지방(關西地方) 유람기. 《사유록(四遊錄)》의 하나로, 1458년(세조 4) 관서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後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당집(梅月堂集)》 권9에 실려 있음.
1458 한국>조선전기 , 문헌>편명
-
탕유호남록(宕遊湖南錄) - 유호남록(遊湖南錄)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호남지방(湖南地方) 유람기. 《사유록(四遊錄)》의 하나로, 1463년(세조 9) 호남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後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당집(梅月堂集)》 권11에 실려 있음.
1463 한국>조선전기 , 문헌>편명
-
탕재(湯齋)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탕정(湯井) - 온양(溫陽)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대표적인 온천지로, 조선 세조(世祖)가 자주 온천욕을 즐겼는데, 어느 날 신천(神泉)에서 찬물이 솟아오르자 길조라 여겨 ‘신정(神井)’이란 이름을 하사하고 그 자리에 비를 세웠다고 함. 지금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함.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탕좌(湯佐) - 윤필상(尹弼商)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경(尹埛)의 아들로, 세조의 신임과 총애를 받고, 적개공신(敵愾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자결함.
142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탕하(蕩河) - 삼류하(三流河)
중국 요녕성(遼寧省)의 낭자산(狼子山) 30리 지점에 있는 강으로, 동북(東北)으로 흘러 태자하(太子河)로 흘러 들어감. 책문(柵門)에서 심양(瀋陽)까지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泰) - 송태(宋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1475~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태(迨) - 이태(李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사필(李師弼)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정국(金正國)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태가(太哥) - 태아검(太阿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태간(太簡) - 소이간(蘇易簡)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학사(翰林學士)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문장(文章)으로 이름을 떨침.
958~9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태강령(泰康令) - 이동(李仝)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영천군(永川君) 이정(李定)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태강수(泰康守) - 이동(李仝)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영천군(永川君) 이정(李定)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태강수(泰江守) - 이동(李仝)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영천군(永川君) 이정(李定)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태경(台卿) - 송현(宋鉉)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희규(宋希奎)의 아들로, 1556년(명종1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태경(太景) - 유황상(劉黃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원외랑(兵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경략찬획방해어왜군무(欽差經略贊畫防海禦倭軍務)로 참전하여 송응창(宋應昌)의 휘하에서 종사하였으며, 문장에 능하였음.
1529~159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태경(泰卿) - 김태경(金泰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당(金璫)과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선(金鏇)의 아버지.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태경(鮐卿)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계(台溪) - 하진(河溍)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각(李殼)의 문인(門人)으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에 임명되나 노부모의 봉양을 위하여 부임하지 않음. 효종 때 지평(持平)이 되어 김자점(金自點)의 전횡(專橫)을 논핵함.
159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태계선생문집(台溪先生文集) - 태계집(台溪集)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하진(河溍)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1683년(숙종 9) 아들 하해우(河海宇)가 수집ㆍ정리하여 진주(晉州) 응석사(凝石寺)에서 간행함.
168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태고(太古)@홍적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태고(太古)@기홍수 - 기홍수(奇洪壽)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나, 후에 최충헌(崔忠獻)에게 정권을 양보한 뒤 음악과 글씨를 즐기며 여생을 보냄.
1148~120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태고(太古)@보우 - 보우(普愚)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선승(禪僧). 본관은 홍주(洪州). 중국 원(元) 나라 청공(淸珙)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臨濟宗)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 선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 공민왕(恭愍王)과 우왕 때 국사(國師)로 봉해짐.
1301~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종교인>승려
-
태고(太古) - 안주(安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태고국사(太古國師) - 보우(普愚)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선승(禪僧). 본관은 홍주(洪州). 중국 원(元) 나라 청공(淸珙)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臨濟宗)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 선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 공민왕(恭愍王)과 우왕 때 국사(國師)로 봉해짐.
1301~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종교인>승려
-
태공(太公)@전화(田和) - 전화(田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86~B.C.384. B.C.391년에 강공(康公)을 몰아내고 스스로 군위(君位)에 올라 B.C.386년에 주(周) 천자로부터 제후로 인정받음. 이 일로 제 나라 제후의 성이 바뀌었다 하여 일명 '전씨대제(田氏代齊)'로 불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태공(太公)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태공망(太公望)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태교(胎敎)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구(泰耉) - 조태구(趙泰耉)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우의정 조사석(趙師錫)의 아들. 소론의 영수로 1721년(경종 1)에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을 역모죄로 몰아 사사(死賜)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오름.
1660~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극상진공(太極上眞公)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태극좌궁진인(太極左宮眞人) - 종리권(鐘離權)
중국 후한(後漢)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원래는 장군이었으나 토번(吐藩)을 정벌하다가 실패하고 도망쳐 도사가 되었다고 함. 일설에는 당(唐) 나라의 도사로, 여암(呂巖)과 동시대 인물이라고도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태극좌선공(太極左仙公) - 갈현(葛玄)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도사. 정은(鄭隱)에게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함.
164~24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태동(泰東) - 탁태동(卓泰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은필(卓殷弼)의 아들이며, 탁이길(卓履吉)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태두(泰斗) - 유태두(柳泰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경지(柳瓊枝)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태로(泰老) - 유방선(柳方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변계량(卞季良)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고 이보흠(李甫欽) 등을 키워내 영남 성리학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함. 서거정(徐居正)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시문에도 뛰어남.
1388~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기도>개성ㅣ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태로(苔老)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릉(泰陵)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태만(苔巒) - 안구(安覯)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보문(安普文)의 아들이자 안증(安嶒)의 아버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청도 군수(淸道郡守)와 사간(司諫) 등을 지냄.
1458~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명(泰溟) - 김태명(金泰溟)
조선 후기의 문신. 직장(直長)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이 의병(義兵)을 모집할 때 노비 수십 명과 양식을 두 아들 편에 보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태묘(太廟)@태종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태묘(太廟)@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태묘(太廟)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태무(泰茂) - 박태무(朴泰茂)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박창윤(朴昌潤)의 아들로, 하정(河瀞)의 문인.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군량을 지원하고 가정(家丁)을 동원하여 창의(倡義)에 힘씀. 남명(南冥) 학문의 계승과 선양에 공헌함.
1677~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태무황제(太武皇帝) - 태무제(太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3대 황제. 명원제(明元帝)의 맏아들로, 화북(華北)을 통일하고, 송(宋) 나라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도교(道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억압함. 말년에 환관 종애(宗愛)에게 피살됨.
408~45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발(泰發)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태백(太伯)@이구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백(太白)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태백(泰伯)@이구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백산(太伯山)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태백산(太白山)@백두산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태백산(太白山)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태백성(太白星)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태보(台甫) - 최한공(崔漢公)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세조가 구언(求言)할 때 올린 상소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후 낙향하여 시주(詩酒)로 소일하면서 후진(後進) 계도에 힘씀.
1423~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태보(殆甫) - 권건(權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람(權攬)의 아들이며 전성군(全城君)의 장인.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아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역대명감(歷代名鑑)》의 편찬에 참여함.
1458~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태보(泰普) - 남태보(南泰普)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울산 부사(蔚山府使)를 지냄. 《매호유고(梅湖遺稿)》의 서문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태보(泰輔)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태복(泰福) - 김태복(金泰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부안(扶安).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 김광(金光)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靈光城)을 지킴.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유학
-
태봉왕(泰封王) - 궁예(弓裔)
통일신라시대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왕. 재위 901~918. 통일신라 말기에 고구려의 부흥을 표방하고 후고구려를 건국함. 후에 도읍을 철원(鐵圓)으로 옮기고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개칭함. 자신을 미륵불(彌勒佛)이라 칭하며 독재하다가 왕건(王建)의 추대세력에 의해 쫓겨나 죽음.
870~918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철원 , 인명>왕실>국왕
-
태부왕(太傅王)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태비(苔扉) - 윤민헌(尹民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엄(尹儼)의 아들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公州)로 왕을 호종하였으며, 공조 참의 등을 역임함. 경사(經史)와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음.
1562~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사(太師)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사(苔槎)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사개국충렬공(太師開國忠烈公)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태사공서(太史公書)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태사묘(太師廟) - 기자묘(箕子廟)
전설상 기자조선(箕子朝鮮)의 시조(始祖)인 기자(箕子)를 제향하기 위해 평안남도 평양(平壤)에 세운 묘당(廟堂) 이름.
평안도>평양 , 유적>건물>사당
-
태사서(太史書)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태사씨(太史氏)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사씨(太師氏)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산(太山)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태산(泰山)@태인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태산사(泰山祠) - 무성서원(武城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태인(泰仁)에 건립한 서원. 1696년(숙종 22)에 사액(賜額)되었고, 최치원(崔致遠)ㆍ신잠(申潛)ㆍ정극인(丁克仁)ㆍ김약묵(金若默)ㆍ송세림(宋世琳)ㆍ정언충(鄭彦忠)ㆍ김관(金灌) 등이 배향됨.
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태상군(太上君)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태상왕(太上王)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태상황정내경옥경(太上黃庭內景玉經)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태상황정외경옥경(太上黃庭外景玉經)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태선(苔仙)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손(太孫)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수(台叟)@황기로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태수(台叟)@민여로 - 민여로(閔汝老)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文)의 아들로, 1642년(인조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령(掌令)ㆍ목사(牧使) 등을 지냄.
1598~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송인수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조부우 - 조부우(趙府隅)
조선 중종(中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낸 조일건(趙一建)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고, 태천 현감(泰川縣監)으로 나가서는 많은 선정을 베풂. 교서관 별좌(校書館別坐) 등을 지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김담수 - 김담수(金聃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정룡(金廷龍)의 아버지.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건강으로 과거를 포기하고 경전공부에 정진함. 저서로 《서계일고(西溪逸稿)》가 있음.
1535~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태수(台壽)@서태수 - 서태수(徐台壽)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증서대로(贈徐大老)〉라는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태수(台壽) - 강태수(姜台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희맹(希孟)이고, 아버지는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학손(鶴孫)이며, 큰아버지 귀손(龜孫)에게 입양되었음.
147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태수(太叟) - 이수동(李壽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제주 목사(濟州牧使) 때 감귤 밭을 지키는 방호소(防護所)를 증설하였으며, 개성 유수(開城留守) 때 정몽주(鄭夢周)의 충신비(忠臣碑)를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태수(太綏) - 신홍조(愼弘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 때 좌의정을 지낸 신수근(愼守勤)의 아들로, 삭녕(朔寧)과 양근(楊根)의 군수(郡守)를 역임함.
1490~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태수(苔叟)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수(鮐叟)@황기로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태수(鮐叟)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숙(太叔)@공숙단 - 공숙단(共叔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장공(莊公)의 동생. 어머니 무강(武姜)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태숙(太叔)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태숙(泰叔)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태숙(泰叔)@기경례 - 기경례(奇敬禮)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둘째 아들로, 1591년(선조 24)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태숙(泰叔)@황염 - 황염(黃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