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약채(金若采)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정(金鼎)의 아들. 1400년(정종 2) 사병을 없애고 병권을 중앙에 집중시키자고 역설하여 단행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김약평(金若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참판(參判) 김희열(金希說)의 아버지로, 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약항(金若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명 나라에 보낸 표전(表箋)으로 인해 명 나라에 불려가 억류되었으며, 후에 다른 일로 양자강(揚子江)으로 귀양가 사망함.
?~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약허(金若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김약회(金若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전라도 태인(泰仁)에 한정(閑亭)을 짓고 살면서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김양(金陽)
통일신라의 왕족. 839년(민애왕 2) 김우징(金佑徵)ㆍ장보고(張保皐) 등과 함께 민애왕(閔哀王)을 시해하고 김우징을 신무왕(神武王)으로 추대함.
808~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김양감(金良鑑)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정의를 지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가락국기(駕洛國記)〉의 저자라고 전하기도 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김양경(金良璥)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효민(金孝敏)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양보(金楊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김주(金澍)의 아들로, 문경 현감(聞慶縣監)ㆍ선위사(宣慰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양전(金良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있던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양정(金養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김양좌(金良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전주 판관(全州判官) 등을 지냄. 전라도 장흥(長興)에서 남효온(南孝溫)ㆍ윤구(尹遘) 등이 회동할 때 참석한 내용이 《추강집(秋江集)》 〈조대기(釣臺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김양준(金良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신(金信)의 아들로,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양중(金陽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우운(金祐雲)의 손자. 교수(敎授)를 지냈고, 《송재유고(松齋遺稿)》에 묘표(墓表)가 실려 있음.
1487~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김양진(金楊震)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역학(易學)ㆍ음양(陰陽) 및 복서(卜筮)에 통달하였으며, 이행(李荇)ㆍ정희량(鄭希良)ㆍ권달수(權達手) 등과 교유가 깊었음.
1467~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언(金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희맹(姜希孟)의 외손자.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언건(金彦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동(永同). 온성 판관(穩城判官) 김각(金覺)의 아버지로,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淵嶽書院)에 제향됨.
1511~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김언겸(金彦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인손(金仁孫)의 아들. 아들 김현성(金玄成)까지 2대에 걸쳐 대과에 급제함.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김언경(金彦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김언근(金彦根)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1784년에 이진악(李鎭岳) 등과 함께 상소하여 덕흥서원(德興書院)의 사액을 청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언로(金彦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세필(金世弼)의 《십청집(十淸集)》에 〈제김대년언로애경당(題金大年彦老愛敬堂)〉 2수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언백(金彦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선무랑(宣務郞) 김수인(金壽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김언상(金彦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김굉필(金宏弼)의 아들. 음보(蔭補)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80~154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김언신(金彦辛)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77년(성종 8)에 유자광(柳子光)의 사주를 받아 도승지(都承旨)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하였다가 하옥되었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4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언욱(金彦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宣祖)를 호종하였음. 정철(鄭澈)ㆍ조헌(趙憲) 등과 교유함.
154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김언침(金彦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임진왜란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김언평(金彦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청해군(靑海君) 이우(李堣)와 함께 정희량(鄭希良)의 문집인 《허암유집(虛庵遺集)》을 간행함.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김언필(金彦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김언홍(金彦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언(正言)을 지낸 김익(金釴)의 아버지로, 경력(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여경(金汝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장관(書狀官)으로 떠날 때 정탁(鄭琢)이 지어준 시가 《약포집(藥圃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여려(金汝礪)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사(府使) 김숙(金淑)의 아버지로, 1455년(세조 1)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김여부(金汝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아들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냄. 인품이 경박하고, 권문(權門)에 빌붙어 진취(進取)에 급급하여 결국은 조정에서 축출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여석(金礪石)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여하여 공을 세움.
144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여정(金汝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재감 정(司宰監正) 김현도(金玄度)의 아버지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여중(金汝重)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는 이후백(李後白)ㆍ박순(朴淳)에게 배웠고, 장성해서는 박광전(朴光前)에게 배움.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과 무주(茂朱)의 전투에 참여하였고,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을 따라 많은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김여지(金汝知)
고려 창왕(昌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이며 김자지(金自知)의 동생. 1389년(창왕 1)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 규정(司憲糾正)에 제수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우헌납(右獻納)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여흥(金余興)
고려 후기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인 김지대(金之岱)의 아버지. 시중(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역(金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중종(中宗) 때의 진사(進士) 김극형(金克亨)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김연(金㬫)
고려 후기의 문신.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대서(代書)한 시(詩)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연(金埏)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수겸(金守謙)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연(金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司諫)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연(金縯)
조선 전기의 문인. 이현보(李賢輔)의 《농암집(聾巖集)》에 시(詩) 1수(首)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김연광(金鍊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심적당(心適堂) 김이상(金履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회양 부사(淮陽府使)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
1524~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연수(金延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서(金宗瑞)의 외손이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연조(金延祖)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5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열(金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헌납(獻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열(金說)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김열가김호이마(金說假金鎬以馬)〉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영(金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영수(金永銖)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피해자를 신원(伸寃)하도록 상소함.
147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영간(金永幹)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굉필(金宏弼) 문하에서 수업하고 조광조(趙光祖) 등과 교유하였으며, 단경왕후(端敬王后) 복위를 상소하였다가 장흥(長興)에 유배됨.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김영견(金永堅)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진손(金震孫)의 아들.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봉되었으며, 《문종실록(文宗實錄)》과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영고(金永固)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인경(金仁鏡)의 아버지로, 1173년(명종 3) 김보당(金甫當)의 난에 연루되어 영주(寧州) 옥에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이준의(李俊儀)의 도움으로 풀려남. 벼슬이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영남(金穎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김기(金誋)의 아들. 진양 군수(晋陽郡守)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동강(東江)의 왜적을 방어하는 한편, 사천(泗川)에 있는 적을 소탕하고 수천석의 군량미를 서울에 운반하였음.
1547~161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영렬(金英烈)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4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영세(金英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필(金弘弼)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김영수(金永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한성 판관(漢城判官) 김계권(金係權)의 아들로,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어(射御)ㆍ음률 등에 뛰어났고, 특히 글씨를 잘 씀.
144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영수(金寧秀)
조선 전기의 유학. 길재(吉再)의 외예(外裔)로, 함창(咸昌)의 양한정(養閑亭)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김영숙(金榮叔)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여산(礪山) 남계(鑑溪) 가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남효온(南孝溫)에게 청하였는데, 그 기문(記文)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ㅣ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김영유(金永濡)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조부로,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1418~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영조(金榮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사위로,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음.
1577~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영택(金令澤)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상정(金相定)의 아버지로, 대흥 군수(大興郡守)를 지냄.
1699~17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영한(金寗漢)
근대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진(金鴻鎭)의 아들로, 형조 판서 김석진(金奭鎭)에게 입양됨.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9대손(代孫)으로,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을 비롯한 많은 문집에 서문(序文)ㆍ발문(跋文)을 씀.
1878~? 한국>근대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영후(金永煦)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영돈(金永暾)의 동생.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로 잡혀갈 때 호위함.
1292~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예근(金禮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김한걸(金漢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김예몽(金禮蒙)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
1406~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김예범(金禮範)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진사 김만근(金萬謹)의 아들이며,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조부(祖父)로,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냄.
1479~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김예손(金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를 지낸 김세충(金世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오문(金五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구덕(金九德)의 아들이자, 왕세자 시절 문종(文宗)의 빈(嬪)이었던 휘빈(徽嬪)의 아버지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지냈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옥려(金玉礪)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선무랑(宣務郞) 김보중(金寶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온(金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봉상대부(奉常大夫) 김황(金貺)의 아들로, 밀양 부사(密陽府使)ㆍ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5대조.
1348~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온(金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손자로, 1585년(선조 18) 별시(別試)에 합격하여 지평(持平) 등을 역임했고 임진왜란 때 목숨을 잃음.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온교(金溫嶠)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외종숙(外從叔)으로,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학자
-
김옹(金顒)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력(展力) 김삼산(金三山)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요명(金堯命)
조선 전기의 유학. 정곤수(鄭崑壽)의 《백곡집(栢谷集)》에 〈억김요명유감(憶金堯命有感)〉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용(金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 《선조실록(宣祖實錄)》 수찬(修撰)에 참여함.
1557~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용(金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함.
?~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무신
-
김용겸(金用謙)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창즙(金昌緝)의 아들. 이재(李縡)와 박필주(朴弼周)에게 경서(經書)와 예서(禮書)를 배웠으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702~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용비(金龍庇)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낸 김공우(金公祐)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를 지냈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용석(金用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동문수학하였음.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태백산(太白山)으로 들어갔음.
1453~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김용주(金龍珠)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공우(金公祐)의 셋째 아들로, 여진(女眞)의 난을 평정하여 추충공신(推忠功臣)에 녹훈되고, 개성군(開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용춘(金龍春)
신라 진지왕(眞智王)의 아들. 어머니는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아버지로, 654년(태종무열왕 1)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김용필(金龍弼)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공우(金公祐)의 둘째 아들로, 수사공(守司空)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용호(金龍浩)
조선 고종(高宗) 때의 유학. 순국지사 송병순(宋秉珣)의 문인.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용휘(金湧輝)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김계보(金季甫)의 증조부.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김우(金瑀)
조선 전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하였고,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우(金宇)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희천(熙川).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
?~141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우(金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륵(金玏)의 조부이며, 박임종(朴林宗)의 사위.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우굉(金宇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대사성(大司成)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우근(金友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선공감 첨정(繕工監僉正)ㆍ제주 목사(濟州牧使)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박상(朴祥)과 교유하여 《월헌집(月軒集)》ㆍ《눌재집(訥齋集)》에 차운시ㆍ별시(別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김우명(金佑明)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외척.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이며, 현종(顯宗) 비(妃)인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아버지. 같은 서인(西人)이었던 송시열(宋時烈)과 대립하여 한당(漢黨)의 중진이 되어 남인인 허적(許積)에 동조하였으나, 남인과의 알력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둔함.
1619~167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우서(金禹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북병사(北兵使) 등을 지내고, 전라병영(全羅兵營)을 중창했으며, 〈전라병영중창기(全羅兵營重創記)〉가 양응정(梁應鼎)의 《송천유집(松川遺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김우신(金友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안락당(顔樂堂) 김흔(金訢)의 아버지.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師傅)로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24~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우증(金友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풍(淸風). 중종반정(中宗反正) 때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