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순(太純) - 성세순(成世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충달(成忠達)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諫官)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3~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태순(太純)@신언숙 - 신언숙(申彦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명종의 후궁인 숙의신씨(淑儀申氏)의 아버지로, 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지냄.
1512~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태술(太述)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태시(太始) - 박익(朴翊)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때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와 여진(女眞)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밀양(密陽)의 송계(松溪)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
133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아(太阿) - 태아검(太阿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태아(泰阿) - 태아검(太阿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태악(太岳) - 장거정(張居正)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재상으로서 국정을 잘 다스렸으나, 잔혹하고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난을 들음. 저서로 《서경직해(書經直解)》ㆍ《장태악집(張太岳集)》등이 있음.
1525~158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태악(太岳)@태산 - 태산(泰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東岳)에 해당하며,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封禪)이 열리던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악(泰岳) - 태산(泰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東岳)에 해당하며,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封禪)이 열리던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안부정(泰安副正) - 이억년(李億年)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넷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태암(泰巖)@김태암 - 김태암(金泰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조양(金調陽)의 아들. 김정(金淨)ㆍ성운(成運)과 교우가 두터웠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에서 죽음.
1477~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태암(泰巖)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태온(太蘊) - 김천부(金天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벽(金碧)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진사시에 입격하여,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태옹(苔翁)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용(太容) - 김약묵(金若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00~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태용(太容)@김천우 - 김천우(金天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벽(金碧)의 아들. 예문관 응교(藝文官應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태우(太遇) - 이제신(李濟臣)@1510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안주(安宙)의 문인으로 약관(弱冠)에 국학(國學)에 들어가 김범(金範)ㆍ배신(裵紳) 등과 수학(修學)했으며, 임진왜란과 인종(仁宗)의 승하(昇遐)를 예언하고 산림에 은둔함.
1510~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태우(泰宇) - 양방형(楊邦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1595년(선조 28)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 이종성(李宗城)을 따라 부사(副使)로 조선에 나왔으며, 도중에 이종성이 도망치자 정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협상하였으나 실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태원(兌元) - 서태원(徐兌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해 훈도(南海訓導)를 지냈으며, 자암(自菴)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南海)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문신
-
태원(太原)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태원(太源)@최심 - 최심(崔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감사(監司)를 지낸 최현(崔晛)의 아버지.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
1512~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태원(太源) - 오운(吳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함.
1540~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태원군공(太原郡公) - 왕용(王用)
고려 때의 문신.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의 신도비(神道碑)에 대한 토석(吐釋)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시대 , 인명>관인>문신
-
태원왕(太原王) - 유삼(劉參)
중국 전한(前漢) 성양왕(城陽王) 유장(劉章)의 아들. 태원왕(太原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태위왕(太尉王)@충선왕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태위왕(太尉王) - 진성여왕(眞聖女王)
신라의 제51대 왕. 재위 887~897. 경문왕(景文王)의 딸이자 헌강왕(憲康王)ㆍ정강왕(定康王)의 누이동생. 재위기간 동안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후삼국으로 다시 나뉨. 각간(角干) 위홍(魏弘) 등에게 향가집 《삼대목(三代目)》을 편찬하게 함.
?~89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태이(太易) - 하수일(河受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사장(詞章)이 뛰어났으며 권제(權濟)ㆍ손천우(孫天祐) 등과 교유함.
1553~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태익(台翼) - 고태익(高台翼)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고득종(高得宗)의 아들이자, 고태필(高台弼)의 아우.
고봉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태익(太益) - 한경우(韓景祐)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자(韓慈)의 아들로, 중종의 여섯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靜愼翁主)와 혼인하여 청천위(淸川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태인(太仁)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태일(泰一) - 권태일(權泰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춘계(權春桂)의 아들로, 권춘란(權春蘭)에게 출계함. 구봉령(具鳳齡)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저서에 《장곡집(藏谷集)》이 있음.
156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태자정(太子鄭) - 양왕(襄王)
중국 주(周) 나라 제19대 왕. 재위 B.C.651~B.C.619. 숙부인 왕자대(王子帶)가 난리를 일으켜 정(鄭) 나라로 피했는데, 진(晉) 나라 문공(文公)이 왕자대를 죽이고 양왕을 복귀시킴.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장(太章) - 대장(大章)
중국 고대 우(禹) 임금 때의 인물. 걸음이 빨라서 우 임금이 그에게 동극(東極)에서 서극(西極)까지 걸음 수를 헤아리게 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태재(泰齋)@이인기 - 이인기(李麟起)
고려 충렬왕(忠烈王)~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판태복사(判太僕事) 이원구(李元具)의 아버지로, 평양 부윤(平壤府尹)을 지냄.
127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태재(泰齋) - 유방선(柳方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변계량(卞季良)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고 이보흠(李甫欽) 등을 키워내 영남 성리학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함. 서거정(徐居正)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시문에도 뛰어남.
1388~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기도>개성ㅣ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태재비(太宰嚭)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태재선생문집(泰齋先生文集) - 태재집(泰齋集)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인 유방선(柳方善)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아들 유윤경(柳允庚)ㆍ유윤겸(柳允謙)이 수집ㆍ편차하고, 문인 이보흠(李甫欽)의 도움으로 1450년(세종 32) 영천(永川) 북습서당(北習書堂)에서 간행함. 1815년(순조 15) 14대손 유천식(柳天植) 등이 중간함.
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문헌>서명
-
태저(汰諸)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태정(台鼎) - 김태정(金台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상호군(上護軍) 김자휘(金自輝)의 아들. 1450년(세종 3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
142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태정(泰廷) - 김태정(金泰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찰방(察訪) 김백간(金伯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들과 교유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문목(問目)에 답한 글이 실려 있음.
154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정(泰靜)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태정(苔庭) - 성영(成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평(成世平)의 아들이자 성락(成洛)의 동생. 광해군이 즉위하자 정인홍(鄭仁弘)의 모함을 받아 파직됨. 선조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547~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태정일민(太庭逸民)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제(太帝)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고제 - 고제(高帝)
중국 남북조시대 남제(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479~482. 본래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으로서 왕검(王儉) 등 귀족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남조 송의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제위에 올라 남제를 창건함.
427~4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무제(삼국위)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 - 고조(高祖)@당
중국 당(唐)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618~626.
565~63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도무제 - 도무제(道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초대 황제. 재위 386~409.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漢人)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北魏)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 아들 탁발소(拓跋紹)에게 살해됨.
371~4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무제(남북조양)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무제(남북조후조)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문제 - 문제(文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아버지. 서위(西魏)의 재상으로 정권을 잡아 이호(李虎)ㆍ양충(楊忠) 등과 함께 8주국(八柱國)으로 불렸으며, 부병(府兵) 제도 등 관제와 법률을 정비하여 북주의 기초를 닦음. 후에 태조 문황제(太祖文皇帝)로 추존됨.
50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태조(太祖)@양충 - 양충(楊忠)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와 북주(北周)의 장군. 12대장군(十二大將軍)의 한 사람이며,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아버지로,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됨.
50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 - 태조실록(太祖實錄)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재위 6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 조선 최초의 실록(實錄)으로, 1409년(태종 9) 하륜(河崙)ㆍ유관(柳觀)ㆍ정이오(鄭以吾)ㆍ변계량(卞季良) 등이 편찬을 시작하여 1413년(태종 13)에 완성되었고, 이후 여러 번 개수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태조대왕(太祖大王)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태조문황제(太祖文皇帝) - 문제(文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아버지. 서위(西魏)의 재상으로 정권을 잡아 이호(李虎)ㆍ양충(楊忠) 등과 함께 8주국(八柱國)으로 불렸으며, 부병(府兵) 제도 등 관제와 법률을 정비하여 북주의 기초를 닦음. 후에 태조 문황제(太祖文皇帝)로 추존됨.
50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태조진전(太祖眞殿) - 경기전(慶基殿)
조선 태종(太宗)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을 봉안하기 위해 전라도 전주에 건립한 묘사(廟祠). 1410년(태종 10)에 어용전(御容殿)을 세우고 1442년(세종 2)에 이름을 경기전으로 고침. 1771년(영조 47)에는 조경묘(肇慶廟)를 세워 이한(李翰) 부부의 신위를 봉안함.
14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유적>건물>사당
-
태조황제(太祖皇帝) - 양충(楊忠)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와 북주(北周)의 장군. 12대장군(十二大將軍)의 한 사람이며,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아버지로,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됨.
50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태종(太宗)@간문제 - 간문제(簡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제2대 왕. 재위 549~551년. 548년 후경(侯景)의 난으로 아버지인 무제(武帝)가 죽자 후경에 의해 즉위함. 중국 역대 제왕 중 뛰어난 문재(文才)를 지님.
503~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문제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 - 명원제(明元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황제. 재위 409~423.
392~4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성조 - 성조(成祖)
중국 명(明)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1402~1424.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넷째 아들로, 조카인 혜제(惠帝))에게서 황위를 찬탈하고 수도를 북경(北京)으로 옮김. 여러 차례 대규모 원정(遠征)을 행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대내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국가이념으로 삼음.
1360~142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태조왕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태종무열왕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 제29대 왕. 재위 654~661. 신라 최초의 진골(眞骨) 출신 왕으로, 당(唐) 나라와 연합하여 백제(百濟)를 멸망시킴으로써 삼국통일(三國統一)의 기틀을 마련함.
604~66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태종(太宗)@태갑 - 태갑(太甲)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 탕(湯)의 손자이며, 태정(太丁)의 아들로, 중임(中壬)을 이어 즉위하여 3년 동안 포학하고 방탕하였으므로 이윤(伊尹)에게 추방되었다가, 3년 뒤 개과천선하고 다시 복귀하여 선정을 베풀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주(泰周) - 오태주(吳泰周)
조선 제18대 현종(顯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주(海州). 오두인(吳斗寅)의 아들로,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고, 귀후서 제조(歸厚署提調)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왕실의 옥책(玉册)ㆍ신판(神板)ㆍ유지(幽誌) 등을 많이 씀.
1668~17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태주(泰州) - 태천(泰川)
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영변(寧邊), 북쪽으로 삭주(朔州)를 접하고 있음.
평안도>태천 , 지명>행정지명
-
태중(台仲)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중(太中)@정향 - 정향(程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정호(程顥)ㆍ정이(程頤)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1006~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태중(太中) - 육가(陸賈)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냈으며, 변설(辯說)에 능하여 고조(高祖)의 중국 통일에 크게 공헌함. 시서(詩書)를 좋아하고 문무병용(文武倂用) 정치의 필요성을 역설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태중산(泰中山) - 태산(泰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東岳)에 해당하며,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封禪)이 열리던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지(泰之) - 이유태(李惟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예학(禮學)에 뛰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윤선거(尹宣擧)ㆍ유계(兪棨)와 더불어 호서산림(湖西山林)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저서로는 《초려집(草廬集)》 등이 있음.
1607~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진(太眞)@양귀비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태진(太眞) - 고순(高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본관은 제주(濟州). 남효온(南孝溫), 신영희(辛永禧) 등과 교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문인
-
태진(太眞)@온교 - 온교(溫嶠)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소준(蘇峻)이 모반했을 때 도간(陶侃)을 맹주(盟主)로 추대하고 군대를 모아 소준을 공격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태징(台徵)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창공(太倉公) - 순우의(淳于意)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명의(名醫). 공손광(公孫光)과 공승양경(公乘陽慶)의 문인으로, 태창장(太倉長)을 지내고 의술에 정통함. 죄를 지어 사형을 당하게 되었을 때 딸 제영(緹縈)의 호소로 처벌을 면함.
B.C.215~B.C.1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태천(泰川)@윤의중 - 윤의중(尹毅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역모 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李潑)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태천(苔泉)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강순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태초(太初)@강순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태초(太初)@강순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태초(太初)@이혼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유벽 - 유벽(劉辟)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역적. 어사 중승(御史中丞)ㆍ탁지 부사(支度副使) 등을 지냈으나, 서천 절도사(西川節度使)를 지낼 때 난을 일으켜 동천 절도사(東川節度使) 고숭문(高崇文)에게 토벌당함.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태초(太初)@유성원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원혼 - 원혼(元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유륜(元有綸)의 아들. 종종 때 사신이 되어 두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선조 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0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 - 이항(李沆)@송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견지명이 뛰어나 천재(天災) 등 세세한 일까지 모두 아뢰어 진종의 마음을 경계하였으므로, 당시에 ‘성상(聖相)’으로 일컬어짐.
947~100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강항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구한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태초(太初)@왕초재 - 왕초재(汪楚材)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오경(吳儆) 등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으며, 석유(碩儒)로 명성을 떨침. 호남 안무사(湖南按撫司)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초(泰初) - 하후현(夏侯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 하후상(夏侯尙)의 아들이며, 조상(曹爽)의 외사촌 동생. 후에 진(晉) 나라 경제(景帝)로 추존된 사마사(司馬師)가 전횡하자, 이풍(李豐) 등과 제거할 것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함.
209~25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태초천자(太初天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촌(泰村)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촌거사(泰村居士)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충(太冲) - 배학(裵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식(金湜)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충(太冲)@좌사 - 좌사(左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10년의 노력 끝에 위(魏)ㆍ촉(蜀)ㆍ오(吳) 세 나라의 도읍을 노래한 〈삼도부(三都賦)〉를 완성했는데 당시 문단의 영수였던 장화(張華)에게 절찬을 받아 유명해짐.
250?~3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태평(太平) - 의인(宜仁)
경상도 안동(安東) 일대에 있던 고려 말기의 옛 고을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
-
태평기(太平記) - 태평광기(太平廣記)
중국 송(宋) 나라 때 이방(李昉) 등이 칙명(勅命)으로 편찬한 중국 역대 설화집(說話集). 500권. 한(漢) 나라에서 북송(北宋) 초기까지의 소설류를 담고 있음.
9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평재상(太平宰相)@황희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태평재상(太平宰相)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평진일(太平眞逸)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