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필(台弼) - 고태필(高台弼)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고득종(高得宗)의 아들.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예종실록(睿宗實錄)》의 수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학(太學)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태함(太函)@왕도곤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태함(太函) - 윤심(尹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함(太涵)@강심 - 강심(姜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아들 강덕룡(姜德龍)의 공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태함(太涵) - 최해(崔海)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進士). 본관은 전주(全州). 아우 최심(崔深)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인이며,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태허(大虛) - 경운(景雲)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과 함께 산수를 유람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태허(太虛)@안담 - 안담(安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민학(安敏學)의 아버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수침(成守琛)과 교류하고,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을 지냄.
?~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허(太虛)@조위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태허(太虛) - 안우(安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밀양(密陽)ㆍ평산(平山)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태허(太虛)@진관 - 진관(秦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고문(古文)과 시, 특히 사(詞)에 뛰어나 소식(蘇軾)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 등과 함께 ‘소문 4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9~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태허(太虛)@최능 - 최능(崔凌)
조선 전기의 생원. 김안국(金安國)ㆍ박배원(朴培源)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태허(太虛)@홍담 - 홍담(洪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언광(洪彦光)의 아들. 훈구파(勳舊派)의 거두로서 정철(鄭澈) 등의 사림파(士林派)와 대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태허당(太虛堂) - 최하림(崔河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최계사(崔季思)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태학생으로 있을 때 승려인 학조(學祖)의 무리가 불상(佛像)을 이용하여 혹세무민(惑世誣民)하자, 그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문을 올림.
1454~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태허정(太虛亭)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허정시집(太虛亭詩集) - 태허정집(太虛亭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최항(崔恒)의 시문집. 아들 최영린(崔永潾)ㆍ최영호(崔永灝) 형제가 수집하고, 처남 서거정(徐居正)이 편집하여 1486년(성종 17)에 간행함. 《용재총화(慵齋叢話)》에 목록이 실려 있음.
148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태헌(苔軒)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현(台鉉) - 김태현(金台鉉)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수(金須)의 아들. 《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함.
1261~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현(太玄) - 포정(鮑靚)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도사. 남해 태수(南海太守)로 있으면서 낮에는 정사를 돌보고, 저녁이면 신발을 제비가 되게 하여 나부산(羅浮山)의 갈홍(葛洪)에게 날아가 신선술을 함께 연구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관인>문신
-
태호(太昊)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태호(太浩) - 유경심(柳景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1547년(명종 2)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1551년(명종 6) 다시 기용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냈음.
1516~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태호(太湖)@이원진 - 이원진(李元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이원익(李元翼) 등과 귀양갔다가 인조반정 후 풀려남. 효종(孝宗)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하멜 등 표류한 네덜란드인들을 서울로 압송하고, 《탐라지(耽羅志)》를 편수함.
1594~166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태화(太和)@정태화 - 정태화(鄭太和)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생부. 뛰어난 문재(文才)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領議政) 재임시 예송(禮訟) 논쟁, 대동법(大同法)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
1602~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화(太和) - 방유녕(方有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등을 지냄.
1460~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태화(泰和) - 김낙춘(金樂春)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천(順天). 이황(李滉)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익위사 세마(翊衛司洗馬)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25~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문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화봉(太華峯)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화산(太華山)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휘(太輝)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택(澤)@최택 - 최택(崔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최부(崔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택(澤)@이교의아들 - 이택(李澤)@이교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동지사(同知事)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사예(射藝)에도 뛰어남.
150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택(澤)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택(澤)@윤택 - 윤택(尹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1317년(충숙왕 4)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 정직ㆍ검소하였으며,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 저서로 《율정집(栗亭集)》이 있음.
1289~130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택(澤)@유택 - 유택(柳澤)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명종 때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들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택(澤)@이복로의아버지 - 이택(李澤)@이복로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이복로(李福老)의 아버지로, 낭천 현감(狼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택가(擇可) - 이유근(李惟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승의랑(承議郞) 이시(李偲)의 맏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택구거사(澤癯居士)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당(澤堂)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당문집(澤堂文集) - 택당집(澤堂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식(李植)의 문집. 34권 16책. 목판본. 1674년(현종 15) 아들 이단하(李端夏)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에 의해 전라도 남평(南平)에서 간행됨.
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문헌>서명
-
택당선생집(澤堂先生集) - 택당집(澤堂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식(李植)의 문집. 34권 16책. 목판본. 1674년(현종 15) 아들 이단하(李端夏)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에 의해 전라도 남평(南平)에서 간행됨.
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문헌>서명
-
택뢰(澤雷) - 정택뢰(鄭澤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ㆍ지사. 본관은 하동(河東).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李元翼)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복위되어 순조(純祖)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부여(扶餘)의 의열사(義烈祠)에 배향됨.
1585~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택룡(澤龍)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택반(澤畔)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택반로(澤畔老)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택반소인(澤畔騷人)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택보(擇甫) - 권극중(權克中)@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대사간(大司諫) 권덕여(權德輿)의 아들. 세마(洗馬)를 지냈으며, 성혼(成渾)ㆍ성문준(成文濬) 등과 교유함.
1560~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택부(澤夫)@유덕개 - 유덕개(劉德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유학 유우삼(劉友參)의 아들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택부(澤夫) - 김영유(金永濡)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조부로,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1418~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택심사(澤心寺) - 금산사(金山寺)@중국
중국 강소성(江蘇省) 진강(鎭江) 서북쪽 금산(金山) 위에 있는 사찰. 동진(東晉) 때 창건된 중국의 대표적 선찰(禪刹)로, 송(宋) 나라 때 승려 요원(了元)과 소식(蘇軾)이 노닐었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택여(澤如) - 권유(權濡)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경(權斗經)의 아버지. 권벌(權橃)의 후손으로 권목(權霂)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28~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택은(澤隱) - 연공(然公)
고려 후기의 승려.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택중(擇中) - 권택중(權擇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명(名)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택중(擇仲)@유종선 - 유종선(柳從善)@151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순선(柳順善)의 아우로, 호조 참의(戶曹參議)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519~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택중(擇仲) - 권극지(權克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국사에 몰두하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으나 국세가 날로 위급해지는 것을 보고 울분을 참지 못하여 죽음.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택지(擇之)@증조도 - 증조도(曾祖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청지(劉淸之)와 교유하다 육구연(陸九淵)에게 사사(師事)하였는데, 1197년 고정(考亭)에서 주자(朱子)를 만나 주자의 제자가 되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택지(擇之)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택지(擇之)@임용중 - 임용중(林用中)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ㆍ장식(張栻)과 함께 형산(衡山)에서 노닐며 시를 지어 《남악창수집(南嶽倡酬集)》을 엮음. 저서로 《초당집(草堂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택지(擇之)@이선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택지(澤之) - 박운(朴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선조(宣祖) 때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493~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택지(澤之)@이택 - 이택(李澤)@이교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동지사(同知事)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사예(射藝)에도 뛰어남.
150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택풍(澤風)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풍당(澤風堂)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풍자(澤風子)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하(宅夏) - 남택하(南宅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농환재(弄丸齋) 남도진(南道振)의 아버지이며, 양곡(陽谷) 오두인(吳斗寅)의 사위로, 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탱(樘) - 유탱(柳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선조(宣祖) 때의 효자 유몽웅(柳夢熊)과 《어우야담(於于野談)》을 지은 유몽인(柳夢寅)의 아버지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냄.
1518~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토당(土塘) - 오윤겸(吳允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하고, 하극사(賀極使)로 명(明) 나라를 다녀옴.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59~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토련(土蓮)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토문강(土們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토문강(土門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토미륵(土彌勒)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토수주(兔守株) -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토요(土曜)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토원(兎苑) - 양원(梁園)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양효왕(梁孝王) 유무(劉武)가 하남성(河南省) 개봉현(開封縣) 동남쪽에 만든 정원. 매승(枚乘)ㆍ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부(辭賦)에 뛰어난 문사들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토정(土亭)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토지(土芝)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토해이사금(吐解尼師今)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토헌(土軒) - 박초(朴礎)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공양왕(恭讓王) 때 불교배척 상소문으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정몽주(鄭夢周)의 변호로 사면됨. 1433년(세종 15)에 야인(野人)의 침입에 대한 책임으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1367~145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토황소격(討黃巢檄) - 격황소서(檄黃巢書)
통일신라의 대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 나라에서 벼슬할 때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 고변(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를 토벌하러 나갔을 때 지어 보낸 글임.
880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 격황소서(檄黃巢書)
통일신라의 대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 나라에서 벼슬할 때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 고변(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를 토벌하러 나갔을 때 지어 보낸 글임.
880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통(統) - 윤통(尹統)
조선 전기의 문신.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부모를 모시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통(通) - 구양통(歐陽通)
중국 당(唐)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구양순(歐陽詢)의 아들로,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 중서사인(中書舍人)ㆍ사예경(司禮卿)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渤海公)에 봉해짐.
?~691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통(通)@이통 - 이통(李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선공감 감역관(繕工監監役官) 이인상(李麟祥)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증(李景曾)의 아버지로, 순천 군수(順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통(通)@조통 - 조통(趙通)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공낭중(考功郞中)으로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구류되었다가 풀려남.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에 모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통감(通鑑)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通鑑)@자치통감절요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강목(通鑑綱目)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쓴 역사서. 59권.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토대로 정통(正統)ㆍ비정통을 분별하고 대요(大要)와 세목(細目)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음. 주희는 대요만을 썼고, 제자 조사연(趙師淵)이 세목을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거요보유(通鑑擧要補遺) - 자치통감거요보유(資治通鑑擧要補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의 저서. 100권.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자치통감목록(資治通鑑目錄)》을 절충하여 《거요록(擧要錄)》을 편찬하려 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호안국이 뒤를 이어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외기(通鑑外紀) -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鑑外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서(劉恕)가 지은 책. 10권. 《자치통감(資治通鑑)》이전 시대의 역사를 서술함. B.C.841년 주(周) 공화(共和) 1년부터 B.C.404년 주 위열왕(威烈王) 22년까지의 전설과 사실 등을 집록(集錄)함.
10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절요(通鑑節要)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절요속편(通鑑節要續編) - 송원통감(宋元通鑑)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薛應旂)가 지은 송ㆍ원(宋元)에 대한 편년체 사서(史書). 157권. 상노(商輅) 등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저본으로 하여, 송 나라 태조(太祖)부터 원 나라 순제(順帝)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속편으로 지음.
162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찬요(通鑑纂要) - 역대통감찬요(歷代通鑑纂要)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이동양(李東陽) 등이 편찬한 역사책. 92권. 목판본. 상고(上古)에서 원(元) 나라까지의 역사를 서술함.
150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계(通溪) - 강회중(姜淮仲)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냄.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
?~144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통계(通溪)@양산한 - 양산한(梁山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정릉 참봉(貞陵參奉)을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통덕진(通德鎭) - 숙천(肅川)
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평안도>숙천 , 지명>행정지명
-
통례(通禮) - 상통례(喪通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의 편명.
중국>송 , 중국 , 문헌>편명
-
통로(通老) - 황중(黃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소무(邵武) 사람으로,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ㆍ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내고, 《주의(奏議)》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통로(通老)@양즙 - 양즙(楊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서운판(江西運判) 등을 지냄. 양방(楊方)ㆍ양간(楊簡)과 함께 삼양(三楊)으로 불림. 저서에 《열당문집(悅堂文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통록(通錄) -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南宋) 이래 명대(明代)에 이르는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언행(言行)과 사적(事跡)을 뽑아 정리한 책.
155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통명(通明)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통문강(統們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통문강(統門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