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통문하(統門河)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통변(通辯) - 학부통변(學蔀通辯)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진건(陳建)의 저서. 12권. 전(前)ㆍ후(後)ㆍ결(結)ㆍ종(終)의 4편으로 구성되었는데, 불학(佛學)과 육상산(陸象山)의 성리학에 대해 정학(正學)을 그르치는 학문이라고 논술함.
1535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보(通甫) - 최함(崔咸)
고려 후기의 유학. 정총(鄭摠)의 《복재집(復齋集)》에 그를 방문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통보(通甫)@윤유심 - 윤유심(尹惟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우참찬(右參贊) 윤의중(尹毅中)의 아들이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생부(生父)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통사(通師) - 구양통(歐陽通)
중국 당(唐)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구양순(歐陽詢)의 아들로,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 중서사인(中書舍人)ㆍ사예경(司禮卿)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渤海公)에 봉해짐.
?~691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통산군(通山君) - 이을진(李乙珍)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고, 최영(崔瑩) 등과 함께 요동정벌에 참가하였으며, 우왕의 복위를 꾀하던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통설(通說) - 사변록(思辨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이 사서(四書)와 상서(尙書)ㆍ시경(詩經)을 주해(註解)한 책. 경전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공맹(孔孟)의 본지를 밝혔으나, 주희(朱熹)의 경의(經義)에 반기를 든 해석을 했기 때문에 당시 정계ㆍ학계에 큰 물의를 일으켜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낙인이 찍힘.
17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통속표해록(通俗漂海錄) -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
조선 전기의 문신인 최부(崔簿)가 지은 표해기행록(漂海記行錄). 부임지인 제주(濟州)에서 부친상(父親喪)을 당해 돌아오던 중 풍랑으로 표류하여, 중국 절강성(浙江省) 해안에 표착(漂着)해 겪은 온갖 고난을 기록함.
14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통수(通洙) - 민통수(閔通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좌의정 민진원(閔鎭遠)의 아들. 노론계의 집안 출신으로 영조(英祖)의 탕평책(蕩平策)에 거슬리는 논란을 자주 제기하였으나, 관료생활은 깨끗했고 좋은 정책을 제시하기도 했음.
1696~17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통신(通信)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통신관(通信官)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통암(通菴) - 이봉익(李奉翊)
고려 후기의 유학.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과 교유하여 김구용이 이봉익에게 준 시가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통원(通源) - 심통원(沈通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심순문(沈順門)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다가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나 이후 권력 남용과 뇌물을 받은 혐의로 관작이 삭탈됨.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통원군(通原君) - 이종무(李從茂)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1400년(정종 2) 상장군으로 제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었고, 1419년(세종 1)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여 찬성사(贊成事)에 올랐음.
136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통의(通義) - 나주(羅州)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본거지였고, 고려 때에는 거란(契丹)의 침입 당시 현종(顯宗)의 피난처였음.
전라도>나주 , 지명>행정지명
-
통의군(通儀君) - 왕연(王𤦷)
고려 후기의 종친. 경화옹주(敬和翁主)의 아버지이며,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통일문(統一門) - 나제통문(羅濟通門)
전라북도 무주(茂朱)에 있는 석굴(石窟)로 된 문.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의 경계였으며, 부근에 그것과 관계된 유적지나 전설이 많음.
한국>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통정(通亭) - 강회백(姜淮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된 뒤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를 지냄.
1357~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통종(統宗)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통종효성황제(統宗孝成皇帝)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통주(通州) - 선천(宣川)
평안북도 서남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이후 북방의 요충지 중 하나로 강동육주(江東六州) 중 통주(通州)에 해당됨.
평안도>선천 , 지명>행정지명
-
통주강(通州江) - 노하(潞河)
중국 북경(北京) 근처의 통주(通州)를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통주성(通州城) - 동림산성(東林山城)
평안북도 선천(宣川)에 위치한 산성. 고려 전기에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수복한 다음 여진족을 방어하기 위해 쌓음. 둘레 약 5.4km, 높이 5m. 의주(義州)로 통하는 관문에 위치함.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선천 , 유적>시설>성,진,책
-
통중(通仲) - 박형달(朴亨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한치형 - 한치형(韓致亨)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고모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면서 대중국 외교에서 활동하였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당함.
1434~150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서자통 - 서자통(徐自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 - 신달정(辛達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효자. 본관은 영월(寧越). 고려 후기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6세손. 효행(孝行)으로 예천(醴泉) 옥동사(玉洞祠)에 향사(享祀)됨.
1483~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
-
통지(通之)@이규 - 이규(李逵)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경(李庚)의 아들로, 시와 글씨에 능하고,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나 고향에서 죽음.
1454~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심결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권달수 - 권달수(權達手)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 권림(權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종묘에 모시는 것에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다시 압송되어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46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통해(通解) - 가례통해(家禮通解)
조선 후기의 학자 이천상(李天相)이 저술한 《가례(家禮)》에 관한 해설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통현(洞玄) - 원저(元宁)
고려 후기 이규보(李奎報)의 가전체 소설인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에 나오는 현부(玄夫)의 둘째 아들. 오(吳)와 월(越) 사이를 방랑하면서 자호(自號)를 통현선생(洞玄先生)으로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퇴계(退溪)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계고(退溪稿)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계로(退溪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계서척(退溪書尺) -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이 주고받은 서신(書信) 모음집. 3권 3책. 목판본. 1558년(명종 13)부터 1570년(선조 3) 사이에 왕복한 서신으로, 기효증(奇孝曾)이 수집ㆍ정리하고, 조찬한(趙纘韓)이 초간하였으며, 기언정(奇彥鼎)이 중간함.
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문헌>서명
-
퇴계여헌(退溪旅軒)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계일고(退溪逸稿)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계전서(退溪全書)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곡(退谷)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退陶)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만은(退陶晩隱)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부자(退陶夫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퇴도선생유고(退陶先生遺稿)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도선생유집(退陶先生遺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도선생집(退陶先生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도시집(退陶詩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도집(退陶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로(退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문(退門)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보(退父)@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보(退父)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퇴보(退甫)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퇴보(退甫)@권유 - 권유(權愈)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근(權近)의 후손. 1665년(현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곧 죽음.
1633~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퇴사옹(退思翁) - 양예수(楊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하음(河陰). 의술(醫術)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 태의(太醫)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에 참여함.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술인>의원
-
퇴사재(退思齋)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퇴수(退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암(退庵) - 박응남(朴應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음.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퇴어(退漁)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퇴어당(退漁堂)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퇴어재(退漁齋)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퇴옹(退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우(退憂) - 표빙(表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직제학(直提學) 표연말(表沿沫)의 아들. 김안로(金安老)ㆍ김안국(金安國)과 함께 사유(師儒)에 선발되었으며,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등을 역임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퇴우당(退憂堂)@박승종 - 박승종(朴承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선교랑(宣敎郞) 박안세(朴安世)의 아들. 윤인(尹訒)ㆍ이인경(李寅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함.
1562~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퇴우당(退憂堂)@이정암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퇴우당(退憂堂)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퇴우당(退憂堂)@김수흥 - 김수흥(金壽興)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기(長鬐)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저서에 《퇴우당집(退憂堂集)》 5책이 있음.
162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재(退齋)@홍진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퇴재(退齋)@웅화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재(退齋)@소세양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퇴재(退齋)@김안로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퇴재(退齋) - 권민수(權敏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嶺外)에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퇴재웅씨(退齋熊氏)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지(退之)@홍섬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퇴지(退之)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퇴집(退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촌(退村)@윤형 - 윤형(尹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언청(尹彦淸)의 아들이며, 전치원(全致遠)의 문인.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로 활약하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實錄)을 재간행할 때 참여하였으며,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1549~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퇴촌(退村) - 김열(金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헌납(獻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퇴촌(退村)@홍진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퇴평(退平) - 김서(金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金克一)의 아버지로,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퇴휴(退休)@임정신 - 임정신(任鼎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몰락한 신진사류(新進士類)로서 김안국(金安國)ㆍ엄용순(嚴用順) 등과 더불어 낙향하여 경기도 이천(利川)에 있는 육괴정(六槐亭)에서 시회(詩會)와 학문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퇴휴(退休)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퇴휴당(退休堂)@김순 - 김순(金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판도 판서(版圖判書) 김광저(金光儲)의 아들로, 고려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충북 옥천(沃川)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퇴휴당(退休堂)@선윤지 - 선윤지(宣允祉)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중국 명(明) 나라 문연각 학사(文淵閣學士)를 지내다 고려에 귀화하여 보성선씨(寶城宣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퇴휴당(退休堂)@소세양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투간위수(投竿渭叟)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투관(渝關)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투금강(投金江) - 양화도(楊花渡)
서울과 경기도 금천(衿川)에 걸쳐 있던 나루 이름. 서울에서 강화(江華)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한강 조운(漕運)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서, 현재 서울 마포구(麻浦區)에 속함.
경기도>금천ㅣ서울 , 지명>행정지명
-
투마대(投馬臺) - 조룡대(釣龍臺)
충청도 부여(扶餘)의 백마강(白馬江) 가운데 있는 바위. 당(唐) 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바위에 걸터앉아 백마(白馬)를 미끼로 용(龍)을 낚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투후(秺侯)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특생례(特牲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파(坡)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파강(坡江) - 임진강(臨津江)
강원도 법동(法洞) 두류산에서 발원, 남류(南流)하여 한강(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자연지명
-
파경(葩經)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파계수(坡溪守) - 이응희(李應禧)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계수(坡溪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곡(坡谷)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공(坡公)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파관(坡館) - 동파관(東坡館)
경기도 판문점(板門店) 부근의 임진강변에 위치한 객관(客館). 선조(宣祖)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북진하는 왜적을 피해 평양(平壤)으로 가던 도중 이곳에서 묵음.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