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파광군(坡光君) - 윤종의(尹宗儀)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병(兵)ㆍ농(農)ㆍ율력(律曆)ㆍ도상(圖象)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헌종(憲宗)의 부묘(祔廟)와 관련해 《방례고증(邦禮考證)》을 저술함.
1805~18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괴령(破恠嶺)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파괴현(破怪峴)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파괴현(破恠峴)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파교(灞橋) - 맹호연(孟浩然)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오언시(五言詩)를 잘하여 왕유(王維)와 비견됨.
689~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파로(坡老)@송극창 - 송극창(宋克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륜(宋倫)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송천희(宋千喜)의 아버지로, 1453년(단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143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파로(坡老)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파로(波老) - 박개(朴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고산 현감(高山縣監)과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511~15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파로미(巴老彌) - 나주(羅州)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본거지였고, 고려 때에는 거란(契丹)의 침입 당시 현종(顯宗)의 피난처였음.
전라도>나주 , 지명>행정지명
-
파루(巴樓) - 악양루(岳陽樓)
중국 호남성(湖南省) 악양(岳陽)의 서문(西門)에 있는 성루(城樓).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세워졌으며, 동정호(洞庭湖)와 양자강(揚子江)을 전망하는 뛰어난 경관으로 인해 유명 문인(文人)들의 글 소재로 자주 등장함.
716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파릉(巴陵)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릉(巴陵)@악양 - 악양(岳陽)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쪽에 있는 항구 도시. 동정호(洞庭湖)와 장강(長江)이 교차하는 곳으로 중요한 역사․문화의 도시이며, 산수풍경이 뛰어나 많은 문인들이 이곳에서 시를 읊고 작품을 남김. 강남(江南)의 3대 누각 중 하나인 악양루(岳陽樓)가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파릉(巴陵)@양천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파릉군(巴陵君) - 이경(李璥)@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무죄를 극력 간하여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릉수(坡陵守) - 이응상(李應祥)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릉수(坡陵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릉왕(巴陵王)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파림군(坡林君) - 이주(李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이며, 계림군(桂林君) 이류(李瑠)와 전성부정(全城副正) 이리(李璃)의 형으로, 파림군(坡林君)에 봉해짐.
1500~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림령(坡林令) - 이흥윤(李興胤)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기성군(箕城君) 이현(李俔)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문(坡門)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사왕(婆娑王) -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신라 제5대 왕. 재위 80~112. 성은 박씨(朴氏)로,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의 둘째 아들. 음즙벌국(音汁伐國)ㆍ다벌국(多伐國) 등을 정벌하고, 월성(月城)을 쌓아 궁실을 옮기는 등 신라가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기초를 마련함.
?~112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파산(坡山)@파주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산(坡山)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산(巴山)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파산군(坡山君) - 윤지임(尹之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외척(外戚).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윤원형(尹元衡)의 아버지로,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파산부원군(坡山府院君)에 봉해짐.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파산로(坡山老)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파산부원군(坡山府院君) - 윤지임(尹之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외척(外戚).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윤원형(尹元衡)의 아버지로,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파산부원군(坡山府院君)에 봉해짐.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파산수(坡山守) - 이응우(李應祐)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산수(坡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산윤씨(坡山尹氏) - 파평윤씨(坡平尹氏)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壁上三韓翊贊功臣)에 녹훈된 윤신달(尹莘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집단>성씨
-
파산청은(坡山淸隱)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파서(坡西) - 조순생(趙順生)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인옥(趙仁沃)의 손자로,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일파로 몰려 죽음.
?~14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파선(坡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파성(坡城) - 윤금손(尹金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강(尹之岡)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1458~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성군(坡城君) - 윤금손(尹金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강(尹之岡)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1458~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성군(坡城君)@윤찬 - 윤찬(尹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형(尹炯)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파성군(把城君) - 이철동(李哲同)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고,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손자이며, 운림도정(雲林都正) 이핍(李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성부원군(坡城府院君)@윤형 - 윤형(尹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규(尹珪)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추록(追錄)됨.
1388~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성부원군(坡城府院君) - 윤규(尹珪)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태종 때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불충을 질타하는 상소를 올리고, 경승부 윤(敬承府尹) 등을 지냄.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파성부원군(坡城府院君)@윤인경 - 윤인경(尹仁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때 이조 판서로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억울하게 죄를 입은 사람을 서용하였고, 인종(仁宗) 때 영의정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됨.
1476~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성정(把城正) - 이철동(李哲同)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고,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손자이며, 운림도정(雲林都正) 이핍(李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신(波臣) - 박거린(朴巨鱗)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04(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파안도(巴顔圖)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파양군(坡陽君) - 윤안성(尹安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능창군(陵昌君) 이전(李佺)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542~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옥진인(破屋陳人) - 김정후(金靜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인재(認齋) 김현도(金玄度)의 아들이며, 최립(崔岦)의 문인(門人). 문장에 능하여 송도인(松都人)의 문사가 되었으며, 옹진 군수(甕津郡守) 재직 중 고위층의 비위를 건드려 파직당함.
1576~164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파옹(坡翁)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옹(坡翁)@소식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파원(坡原)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원군(坡原君)@윤평 - 윤평(尹泙)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尹敞)의 아들로, 태종의 열세 번째 서녀(庶女)인 숙순옹주(淑順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의빈부승빈(儀賓府承賓)에 오름.
1420~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파원군(坡原君) - 윤임(尹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오빠. 대윤(大尹)의 거두로,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대립하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숙청되어 유배 도중 사사됨.
1487~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원도정(坡原都正) - 이응복(李應福)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들로, 신흠(申欽)의 누이와 혼인함.
156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 윤여필(尹汝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66~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원수(坡原守) - 이응복(李應福)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들로, 신흠(申欽)의 누이와 혼인함.
156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원위(坡原尉) - 윤평(尹泙)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尹敞)의 아들로, 태종의 열세 번째 서녀(庶女)인 숙순옹주(淑順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의빈부승빈(儀賓府承賓)에 오름.
1420~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파유사(巴渝詞) - 죽지사(竹枝詞)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이 지은 가요. 유우석이 귀양 간 파유(巴渝) 지방 민가(民歌) 중의 하나로, 농민의 생활 감정을 19장으로 노래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파읍(坡邑)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주(把州)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파주윤씨(坡州尹氏) - 파평윤씨(坡平尹氏)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壁上三韓翊贊功臣)에 녹훈된 윤신달(尹莘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집단>성씨
-
파진(波津) - 벽파진(碧波津)
전라도 진도(珍島)에 있었던 나루터. 진도의 동부에 위치하여 진도의 관문 역할을 함. 임진왜란 때 수군영(水軍營)이 배치되어 있었던 곳으로 외적의 침입 경계에 중요한 역할을 함.
전라도>진도 , 지명>자연지명
-
파집(坡集) - 동파집(東坡集)
중국 송(宋) 나라의 최고 시인이자 문학가인 소식(蘇軾)의 시문집(詩文集). 4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파징(波澄)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천군(坡川君)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파천부원군(坡川府院君)@윤탕로 - 윤탕로(尹湯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윤호(尹壕)의 아들이며, 성종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오빠.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파천부원군(坡川府院君)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천황(破天荒) - 유세(劉蛻)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형주(荊州)에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급제하여 파천황(破天荒)이라고 불림.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파촌(坡村)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파촌(坡村)@파주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평(坡平)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평(波平)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평군(坡平君)@윤호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평군(坡平君)@윤해 - 윤해(尹侅)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암(尹諳)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역임함.
1307~137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평군(坡平君)@윤이 - 윤이(尹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역신(逆臣). 한때 중이 되었다가 장죄(贓罪)를 범하고 명(明) 나라로 도망하였으며, 명 나라에 공양왕(恭讓王)과 이성계(李成桂)를 무고(誣告)하였다가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파평군(坡平君)@윤필상 - 윤필상(尹弼商)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경(尹埛)의 아들로, 세조의 신임과 총애를 받고, 적개공신(敵愾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자결함.
142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평군(坡平君) - 윤곤(尹坤)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아우 윤향(尹向)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
?~14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평군(坡平君)@윤암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윤번 - 윤번(尹璠)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이며, 세조(世祖) 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84~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윤척 - 윤척(尹陟)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안숙(尹安淑)의 아들로, 우부대언(右副代言)을 지냈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윤규 - 윤규(尹珪)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태종 때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불충을 질타하는 상소를 올리고, 경승부 윤(敬承府尹) 등을 지냄.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윤여필 - 윤여필(尹汝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66~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윤사흔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윤필상 - 윤필상(尹弼商)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경(尹埛)의 아들로, 세조의 신임과 총애를 받고, 적개공신(敵愾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자결함.
142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 윤곤(尹坤)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아우 윤향(尹向)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
?~14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평산인(坡平山人)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파평위(坡平尉)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파한(破閑)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해평사(坡害平史)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흥군(坡興君)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파흥수(坡興守) - 이응순(李應順)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흥수(坡興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판곡(板谷) - 성윤해(成允諧)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近)의 아들로, 학행(學行)으로 여러 번 추천되어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 현감(泰仁縣監)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판옥(判玉) - 박종래(朴從來)
조선 전기의 유학. 회헌(晦軒) 박종원(朴宗元)의 후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문사>유학
-
팔각암(八角巖) - 부담암(釜潭巖)
경기도 양평(楊平)의 용문산(龍門山)에 있는 바위 이름. 바위 모양이 팔각으로 생겼다 하여 팔각암(八角巖)이라 하기도 함.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목(李穆)의 시에 이 바위에 대한 기록이 전함.
경기도>양근 , 지명>자연지명
-
팔계(八溪)@이욱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팔계(八溪) - 초계(草溪)
경상남도 합천(陜川)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초계 , 지명>행정지명
-
팔계(八溪)@정종영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팔계(八溪)@정봉시 - 정봉시(鄭鳳時)
조선 고종(高宗)~근대(近代)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경학원 대제학(經學院大提學) 등을 지냈고, 문장을 잘 하여 《간재집(艮齋集)》ㆍ《동원집(東園集)》 등의 서문을 지음.
1855~?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팔계군(八溪君)@정종영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팔계군(八溪君) - 이정(李淨)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아들. 어명으로 덕성군(德城君)의 후사로 입계(入繼)되었으나, 후사가 없어 형 정양군(定陽君)의 3남인 황원정(黃原正)을 후사로 삼았다
1445~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팔계정씨(八溪鄭氏) - 초계정씨(草溪鄭氏)
고려 전기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사학(私學)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어 유가(儒家)의 대가(大家)로 일컬어지는 정배걸(鄭倍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집단>성씨
-
팔곡(八谷)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팔곡선생집(八谷先生集) - 팔곡집(八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구사맹(具思孟)의 문집. 4권. 목판본. 아들 구성(具宬)이 정리한 《팔곡유고(八谷遺稿)》를 외손서(外孫婿)인 이식(李植)이 4권으로 편차하고, 1632년(인조 10) 차남인 구굉(具宏)이 통영(統營)에서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팔곡유고(八谷遺稿) - 팔곡집(八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구사맹(具思孟)의 문집. 4권. 목판본. 아들 구성(具宬)이 정리한 《팔곡유고(八谷遺稿)》를 외손서(外孫婿)인 이식(李植)이 4권으로 편차하고, 1632년(인조 10) 차남인 구굉(具宏)이 통영(統營)에서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팔급(八及) - 임팔급(林八及)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한림 학사(翰林學士)를 지내다가 간신들의 참소가 있자 8학사 중 한 사람으로 우리 나라에 들어와 평택(平澤)에 정착하여, 평택임씨(平澤林氏)의 도시조(都始祖)가 됨.
중국>당 , 중국ㅣ충청도>평택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