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팔두(八斗)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팔룡(八龍)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팔만경(八萬經)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팔사마타아지(八思麻朶兒只)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팔송(八松) - 윤황(尹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창세(尹昌世)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함.
1571~163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팔여거사(八餘居士)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팔오헌(八吾軒) - 김성구(金聲久)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추길(金秋吉)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 안동(安東)의 백록사(栢麓祠)에 배향(配享)됨.
1641~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팔우당(八友堂) - 유세린(柳世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유헌(柳軒)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趙光祖) 등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팔원(八元)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팔원(八元)@구팔원 - 구팔원(具八元)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 시정(寺正)을 지낸 구관(具灌)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팔음(八吟)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팔음재(八吟齋) - 권시(權諰)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권득기(權得己)의 아들.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같은 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았음.
1604~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팔자(八慈)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팔정(八亭) - 박천우(朴天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팔조교(八條敎) - 팔조금법(八條禁法)
고조선 때 기자(箕子)가 설치한 8개 조항의 법금(法禁). 현재는 살인ㆍ상해ㆍ도둑질에 관한 3개 조항만 전함.
고대 , 법제>법률
-
팔조교전(八條敎典) - 팔조금법(八條禁法)
고조선 때 기자(箕子)가 설치한 8개 조항의 법금(法禁). 현재는 살인ㆍ상해ㆍ도둑질에 관한 3개 조항만 전함.
고대 , 법제>법률
-
팔조지교(八條之敎) - 팔조금법(八條禁法)
고조선 때 기자(箕子)가 설치한 8개 조항의 법금(法禁). 현재는 살인ㆍ상해ㆍ도둑질에 관한 3개 조항만 전함.
고대 , 법제>법률
-
팔차(八叉)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팔차수(八叉手)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팔현서원(八賢書院) - 충곡서원(忠谷書院)@연산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연산(連山)에 건립된 서원. 1692년(숙종 18)에 창건되었으며, 백제의 계백(階伯)과 조선의 사육신(死六臣) 등 모두 18인을 배향함.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패가대(伯家臺)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패가대(覇家㙜)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패가대(覇家臺)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패강(浿江)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패계(沛季)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공(沛公)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릉(覇陵)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상융준(沛上隆準)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수(浿水)@압록강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패수(浿水)@태자하 - 태자하(太子河)
중국 요양시(遼陽市)에 있는 요하(遼河)의 지류. 요산(遼山)에서 발원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요하와 만남. 원명은 연수(衍水)로,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荊軻)를 시켜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다 발각되자 피신하여 숨었던 곳이라 하여 ‘태자하(太子河)’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패수(浿水)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패수(浿水)@예성강 - 예성강(禮成江)
황해도 수안(遂安) 언진산(彦眞山)에서 발원하여 배천(白川)ㆍ개성(開城)을 거쳐 강화만(江華灣)에 흘러드는 강. 길이 187.4km. 강 하류에 고려의 대표적 무역항인 벽란도(碧瀾渡)가 있음.
황해도>수안ㅣ황해도>배천ㅣ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패아지근애유식리달랍(孛兒只斤愛猷識里達臘)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아지근애유식리답랍(孛兒只斤愛猷識理答臘)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연(沛然) - 김패연(金沛然)
조선 전기의 유학. 이정(李楨)의 《구암집(龜巖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패옥재(佩玉齋) - 협사안(郟士安)
중국 원(元) 나라 말기의 문인. 정몽주(鄭夢周)가 사(辭)를 보냄.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패왕(沛王)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왕(沛王)@유보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패왕(覇王)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패주(貝州) - 보성(寶城)
전라도 남부에 있는 군(郡). 서쪽으로 장흥(長興), 동쪽으로 순천(順天)과 접함.
전라도>보성 , 지명>행정지명
-
패중가(沛中歌) - 대풍가(大風歌)
중국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경포(黥布)를 토벌하고 고향인 패군(沛郡)에 들렀을 때, 난세에 천하를 평정하고 금의환향한 감회를 읊은 노래.
B.C.196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패풍(沛豊)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패하(浿河) - 예성강(禮成江)
황해도 수안(遂安) 언진산(彦眞山)에서 발원하여 배천(白川)ㆍ개성(開城)을 거쳐 강화만(江華灣)에 흘러드는 강. 길이 187.4km. 강 하류에 고려의 대표적 무역항인 벽란도(碧瀾渡)가 있음.
황해도>수안ㅣ황해도>배천ㅣ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패헌왕(沛獻王)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팽(彭)@조팽 - 조팽(趙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양(豊壤).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종경(趙宗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유학
-
팽(彭) - 권팽(權彭)
조선 태종(太宗)의 딸인 숙근옹주(淑謹翁主)의 아들. 아버지는 화천군(花川君) 권공(權恭)이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왕실>인척
-
팽^교(彭^喬) - 교^팽(喬^彭)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와 고대의 선인(仙人)인 팽조(彭祖)를 함께 부르는 말. 신선이 되어 불로장수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팽^담(彭^聃) - 노^팽(老^彭)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교(道敎)의 창시자인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인 팽조(彭祖)를 함께 부르는 말. 도가(道家)의 선인(仙人)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팽경(彭鏗)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팽년(彭年)@성팽년 - 성팽년(成彭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면(金沔)이 창의(倡義)할 때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했음.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팽년(彭年)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팽노(彭奴)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팽로(彭老)@성팽로 - 성팽로(成彭老)
조선 예종(睿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성중엄(成重淹)의 아버지로, 1469년(예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팽로(彭老)@안팽로 - 안팽로(安彭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종생(安從生)의 아들이자, 안팽명(安彭命)의 형이며, 복천군(福川君) 권개(權愷)의 사위로,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팽로(彭老)@유팽로 - 유팽로(柳彭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경안(柳景顔)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를 지냈음.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전사함.
155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관인>문신
-
팽로(彭老) - 권팽로(權彭老)
조선 전기의 문신. 관직은 덕릉 참봉(德陵參奉) 등을 역임함. 구봉령(具鳳齡)의 외종조(外從祖)로, 구봉령에게 5년 동안 《소학(小學)》등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팽명(彭命) - 안팽명(安彭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종생(安從生)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집의(執義)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으로써 주로 대성(臺省)에서 명성을 떨침.
1447~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팽복(彭福) - 이팽복(李彭福)
조선 전기의 종실.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팽석(彭碩) - 양팽석(梁彭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후에 벼슬에 관심을 끊고 전리(田里)로 돌아가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팽성(彭城) - 서주(徐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북서부에 있는 도시. 《서경(書經)》 〈우공(禹貢〉에서 열거한 구주(九州)의 하나로, 초(楚) 나라의 항우(項羽)가 도읍했던 곳이며, 군사상ㆍ교통상의 요지(要地)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팽성(彭成) - 유팽성(柳彭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유세화(柳世華)의 아버지로, 1519년(중종 1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팽성군공(彭城郡公) - 유창예(劉昌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무신. 양혜림(楊惠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說服)시킴.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彭城郡公)에 봉해짐.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팽성임씨(彭城林氏) - 평택임씨(平澤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말의 인물인 임세춘(林世春)과 임언수(林彦脩)를 각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두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집단>성씨
-
팽소(彭召) - 서팽소(徐彭召)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조카로,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팽손(彭孫)@임팽손 - 임팽손(任彭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팽손(彭孫)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팽자수(彭子壽)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장(彭丈)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정견(彭廷堅) - 팽정견(彭庭堅)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의 문신. 지방관이 되어 선정을 베풀고 여러 차례 도적을 격퇴하여 공을 세웠으나, 포악한 진무만호(鎭撫萬戶) 악환(岳煥)을 처벌하려다 역공(逆攻)에 밀려 피살됨.
1312~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조(彭祖)@말제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팽조(澎祖)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팽지당(彭止堂)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택(彭澤)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령(彭澤令)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로(彭澤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수(彭澤叟)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옹(彭澤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편^유(扁^兪) - 유^편(兪^扁)
중국 고대 헌원(軒轅) 때의 의관(醫官)인 유부(兪跗)와 주(周) 나라의 의관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명의(名醫)를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화(扁^和) - 화^편(和^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명의(名醫)인 의화(醫和)와 주(周) 나라의 명의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의술을 지닌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화(扁^華) - 편^타(扁^佗)
중국 주(周) 나라의 명의(名醫)인 편작(扁鵲)과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인 화타(華佗)를 함께 부르는 말. 의술이 뛰어난 명의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암(遍菴) - 해미(海彌)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편암해미상인권(書遍菴海彌上人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편정(褊玎)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편조(遍照)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폄우(砭愚) - 동명(東銘)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동쪽 창에 학자의 언행(言行)에 관해 쓴 글. 원래 명칭은 〈폄우(砭愚)〉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폄우명(砭愚銘) - 동명(東銘)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동쪽 창에 학자의 언행(言行)에 관해 쓴 글. 원래 명칭은 〈폄우(砭愚)〉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폄재(砭齋) - 최온(崔薀)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사간(司諫)을 지낸 최상중(崔尙重)의 아들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성품이 강직하여 언관(言官)의 직책에 적합하다는 평을 받음.
1583~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평(坪) - 이평(李坪)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부제학(副提學) 이윤(李胤)의 아버지로, 사온서 영(司醞署令)을 지냄.
1440~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평(平) - 탁평(卓平)
조선 전기의 진사.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탁희립(卓希立)의 둘째 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를 지냈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인 탁련(卓璉)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평(平)@송평 - 송평(宋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만포 첨사(滿浦僉使)를 지낸 송복견(宋福堅)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평(枰) - 이평(李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악(安岳)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 이희순(李希舜)의 아버지. 1468년(세조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평(泙)@이평 - 이평(李泙)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사온서 영(司醞署令) 등을 역임함.
1440~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평(泙) - 윤평(尹泙)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尹敞)의 아들로, 태종의 열세 번째 서녀(庶女)인 숙순옹주(淑順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의빈부승빈(儀賓府承賓)에 오름.
1420~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평간(平簡)@조견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간(平簡) - 유지(柳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낸 유자미(柳自湄)의 아들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평간(平簡)@이제신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평간(平簡)@한공의 - 한공의(韓公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충혜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공민왕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평간(平簡)@박거겸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간(平簡)@이예장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간(平簡)@이발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