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평간(平簡)@문극유 - 문극유(文克裕)
고려 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문중달(文仲達)의 아들로,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평강(平康)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평강군(平康君) - 채하중(蔡河中)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채홍철(蔡洪哲)의 아들.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忠惠王)을 호종(扈從)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 때 달선(達禪)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梟首)됨.
?~135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강군(平康君)@채홍철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강부원군(平康府院君)@채하중 - 채하중(蔡河中)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채홍철(蔡洪哲)의 아들.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忠惠王)을 호종(扈從)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 때 달선(達禪)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梟首)됨.
?~135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강부원군(平康府院君)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경(平卿) - 김임(金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역임한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유학
-
평경(平卿)@이준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경(平敬)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평고(平固) - 영공(靈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대부인 공손녕(孔孫寧)ㆍ의행보(儀行父)와 함께 하희(夏姬)와 간통하였는데, 이를 간하는 대부 예야(洩冶)를 죽임. 이 때문에 하희의 아들인 하징서(夏徵舒)에게 시해됨.
?~B.C.59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평고도정(平皐都正) - 이신(李信)@이돈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잠성정(岑城正)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성성씨(夏城成氏) - 창녕성씨(昌寧成氏)
고려 때 중윤(中尹) 호장(戶長)을 지낸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하성원(河性源)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하성위(河城尉)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하성조씨(夏城曺氏) - 창녕조씨(昌寧曺氏)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사위로 전해지는 조계룡(曺繼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하수조(何水曹) - 하손(何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시문(詩文)에 뛰어나 범운(范雲)과 망년(忘年)의 교유를 맺고, 건안왕(建安王)ㆍ여릉왕(廬陵王) 등 왕족들의 총애를 받음. 유효작(劉孝綽)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5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하숙경(何叔京) - 하호(何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강변(講辨)에 정밀하였으며, 저서에 《담주선화령(潭州善化令)》이 있음.
1128~117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양군(河陽君) - 이옥형(李玉荊)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손자이며, 명산도정(明山都正) 이금정(李金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양령(河陽令) - 이옥형(李玉荊)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손자이며, 명산도정(明山都正) 이금정(李金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영(夏英) - 이하영(李夏英)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화풍을 이어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하옹(河翁)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옹(霞翁)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하왕(夏王)@걸 - 걸(桀)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 은(殷) 왕조 최후의 왕인 주(紂)와 함께 포악한 임금의 상징으로 거론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왕(夏王)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왕(夏王)@두건덕 - 두건덕(竇建德)
중국 수(隨) 말~ 당(唐) 초의 무장(武將). 수 나라 말기에 하북(河北) 지방에 하(夏) 나라를 세웠으나, 621년 당 나라의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하여 장안(長安)에서 참수(斬首)됨.
573~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하우(夏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우씨(夏禹氏)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원(河原)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하원공(河源公) - 왕춘(王瑃)
고려 제22대 강종(康宗)의 부마(駙馬). 강종 원년에 수령궁주(壽寧宮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하원군(河原君)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하원군(河原君)@정수충 - 정수충(鄭守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경사(經史)에 박통하여 환관(宦官)들을 교육하기 위해 선발됨. 세조의 등극을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제학(提學)으로서 하원군(河原君)에 봉해진 뒤 좌찬성(左贊成)에 이름.
1401~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원군(河原君)@장언량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하원군(河源君)@이심 - 이심(李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하원군(河源君)에 봉해짐.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종형(從兄)으로, 《용재집(容齋集)》에 묘지(墓誌)가 실려 있음.
1472~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하원군(河源君)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하원군(河源君)@장언량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하원군(河源君)@장정 - 장정(張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무재(武才)를 발휘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成大君)의 사저를 호위한 공으로 정국 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음.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하원백(河源伯) - 왕춘(王瑃)
고려 제22대 강종(康宗)의 부마(駙馬). 강종 원년에 수령궁주(壽寧宮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하원수(河源守) - 이찬(李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과(李顆)ㆍ윤구수(尹龜壽)ㆍ김잠(金岑) 등과 모의하여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을 추대한 뒤 박원종(朴元宗)ㆍ유순정(柳順汀) 등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서얼 노영손(盧永孫)의 밀고로 처형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음군(河陰君) - 장정(張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무재(武才)를 발휘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成大君)의 사저를 호위한 공으로 정국 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음.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하음부정(河陰副正) - 이재(李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자,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둘째 아들이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정충량(鄭忠樑)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음정(河陰正) - 이재(李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자,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둘째 아들이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정충량(鄭忠樑)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읍(河邑)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하의(荷衣)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하의거사(荷衣居士)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하의려(賀醫閭) - 하흠(賀欽)
중국 명(明)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과 급사중(戶科給事中)을 역임한 뒤 낙향하여 진헌장(陳獻章)에게 수학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저서에 《의려집(醫閭集)》이 있음.
1437~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의려집(賀醫閭集) - 의려집(醫閭集)
중국 명(明) 나라 학자 하흠(賀欽)이 성화(成化) 연간에 벼슬을 그만두고 의무려산(醫無閭山) 아래에 퇴거하여 학문을 연구하면서 지은 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하의자(荷衣子)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하정(夏亭)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하주(夏主)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중(河中) - 채하중(蔡河中)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채홍철(蔡洪哲)의 아들.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忠惠王)을 호종(扈從)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 때 달선(達禪)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梟首)됨.
?~135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지(河枝) - 유하지(柳河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기언(淇彦) 유오(柳澳)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하진(賀辰) - 소하진(蘇賀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의 손자이며, 면천 군수(沔川郡守) 소수(蘇遂)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문사>유학
-
하집(賀集) - 의려집(醫閭集)
중국 명(明) 나라 학자 하흠(賀欽)이 성화(成化) 연간에 벼슬을 그만두고 의무려산(醫無閭山) 아래에 퇴거하여 학문을 연구하면서 지은 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하징(河澄) - 박하징(朴河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박승원(朴承元)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박하청(朴河淸)의 아우.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48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천(霞川)@고운 - 고운(高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장흥(長興). 고맹영(高孟英)의 아버지이며,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낼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으로 추증됨. 호랑이 그림을 잘 그림.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하천(霞川) - 고맹영(高孟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버지.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이량(李樑)의 당여(黨與)로서 이량이 실각하자 함께 유배됨.
15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하청(河淸) - 박하청(朴河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하담(朴河淡)의 아우로, 성수침(成守琛)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하칭(河稱)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하한(河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하헌(夏軒) - 윤휴(尹鑴)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주자(朱子)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참최설(斬衰說)을 주장하여 서인(西人)과 대립함. 경신출척(庚申黜陟)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617~168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헌(河憲)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현(河縣) - 하빈(河濱)
경상북도 대구(大丘) 북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서쪽으로 성주(星州)를 접하고 있음.
경상도>대구 , 지명>행정지명
-
하호원(河浩源)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황공(夏黃公) - 최광(崔廣)
중국 진(秦) 말~한(漢) 초 때의 은자. 진 나라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으로, 한 나라 고조(高祖) 때 장량(張良)의 계책을 쓴 여후(呂后)의 초빙을 받아 태자빈객(太子賓客)이 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하후(夏侯) - 하후현(夏侯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 하후상(夏侯尙)의 아들이며, 조상(曹爽)의 외사촌 동생. 후에 진(晉) 나라 경제(景帝)로 추존된 사마사(司馬師)가 전횡하자, 이풍(李豐) 등과 제거할 것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함.
209~25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하후(夏后)@걸 - 걸(桀)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 은(殷) 왕조 최후의 왕인 주(紂)와 함께 포악한 임금의 상징으로 거론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후(夏后)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후씨(夏后氏)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흥군(夏興君) - 조한영(曺漢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식(李植)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608~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학(學) - 원학(元學)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원주(元柱)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학(鶴)@신학 - 신학(辛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버지로, 문천 군수(文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학(鶴)@이학 - 이학(李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 성균관(成均館) 진사(進士)로 명성이 높았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절친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학(鶴) - 배학(裵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식(金湜)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경(鶴經) - 상학경(相鶴經)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 때의 신선인 부구공(浮丘公)이 지은 선술(仙術)에 관한 책. 왕자 진(王子晉)과 학을 타고 놀면서 그에게 가르쳤다는 책. 1권.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학계(鶴溪) - 김시임(金時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학고(鶴皐)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학고인(鶴高人)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학관(學官) - 이문학관(吏文學官)
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맡아보았던 승문원(承文院) 소속의 관리. 1525년(중종 20)에 남곤(南袞)의 건의에 의해 설치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학광(學光) - 김저(金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세필(金世弼)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가 1570년(선조 3)에 복권됨.
1512~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학궁(學宮)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학년(鶴年) - 강학년(姜鶴年)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掌令)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 효종(孝宗) 때 홍명하(洪命夏)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회덕의 용호사(龍湖祠)에 제향됨.
1585~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학도(學圖) - 성학십도(聖學十圖)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성학(聖學)의 개요를 열 폭의 도식(圖式)으로 설명한 글. 도학(道學)ㆍ이학(理學)에 대한 이황의 학문적 깊이가 잘 나타나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학동(鶴洞)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학록(鶴麓) - 이경윤(李慶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맏아들이며, 이중윤(李仲胤)ㆍ이영윤(李英胤)의 형.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산수인물화(山水人物畵)에 뛰어남.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
1545~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학림(鶴林) - 나대경(羅大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 문학비평서(文學批評書)인 《학림옥로(鶴林玉露)》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학림군(鶴林君) - 이이(李頤)@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로 학림군(鶴林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학림수(鶴林守) - 이경윤(李慶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맏아들이며, 이중윤(李仲胤)ㆍ이영윤(李英胤)의 형.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산수인물화(山水人物畵)에 뛰어남.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
1545~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학림우(鶴林友)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학림정(鶴林正) - 이경윤(李慶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맏아들이며, 이중윤(李仲胤)ㆍ이영윤(李英胤)의 형.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산수인물화(山水人物畵)에 뛰어남.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
1545~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학명(鶴鳴) - 남학명(南鶴鳴)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아들. 음보(蔭補)로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수락산(水洛山)에 살면서 학문에만 전념함.
1654~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학봉(鶴峯)@고인후 - 고인후(高因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錦山)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전사함.
1561~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학봉(鶴峯) - 김성일(金誠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아들. 이황(李滉)의 고제(高弟)로, 주리론(主理論)을 계승하여 영남학파의 중추 구실을 함. 이황(李滉)의 《자성록(自省錄)》ㆍ《퇴계집(退溪集)》 등을 편집ㆍ간행함.
1538~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봉문집(鶴峯文集) - 학봉집(鶴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일(金誠一)의 문집. 이홍조(李弘祚)와 종손 김시온(金是榲)이 저자의 사위인 김영조(金榮祖) 등이 간행한 해사록(海槎錄)과 유고를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하고, 1782년(정조 6)에 후손 김주국(金柱國) 등이 이상정(李象靖)과 함께 속집(續集)을 간행함.
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학봉선생문집(鶴峯先生文集) - 학봉집(鶴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일(金誠一)의 문집. 이홍조(李弘祚)와 종손 김시온(金是榲)이 저자의 사위인 김영조(金榮祖) 등이 간행한 해사록(海槎錄)과 유고를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하고, 1782년(정조 6)에 후손 김주국(金柱國) 등이 이상정(李象靖)과 함께 속집(續集)을 간행함.
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학봉전집(鶴峯全集) - 학봉집(鶴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일(金誠一)의 문집. 이홍조(李弘祚)와 종손 김시온(金是榲)이 저자의 사위인 김영조(金榮祖) 등이 간행한 해사록(海槎錄)과 유고를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하고, 1782년(정조 6)에 후손 김주국(金柱國) 등이 이상정(李象靖)과 함께 속집(續集)을 간행함.
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학부(學蔀) - 학부통변(學蔀通辯)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진건(陳建)의 저서. 12권. 전(前)ㆍ후(後)ㆍ결(結)ㆍ종(終)의 4편으로 구성되었는데, 불학(佛學)과 육상산(陸象山)의 성리학에 대해 정학(正學)을 그르치는 학문이라고 논술함.
1535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학사(鶴寺) - 동학사(東鶴寺)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상원사(上願寺)를 창건한 것이 시초로, 조선 세조(世祖) 때 사액(賜額)됨.
724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찰
-
학사(鶴沙) - 김응조(金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산음 현감(山陰縣監)을 지낸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손녀 사위. 유성룡(柳成龍)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87~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학사선생집(鶴沙先生集) - 학사집(鶴沙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김응조(金應祖)의 문집. 10권 6책. 목판본. 증손 김개(金价)가 수집한 유고를 현손 김서필(金瑞必)이 의산서원(義山書院) 원유(院儒)들의 협조와 이상정(李象靖)의 도움을 받아 교정하여 간행함.
17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학사원(學士院)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