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학산(鶴山) - 위요옹(魏了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에게 열 가지 폐단을 논하여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간신들의 견제로 인해 홀로 경학을 궁구하고 옛것을 배워 일가를 이룸.
1178~123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산충렬사(鶴山忠烈祠) - 충렬사(忠烈祠)@의성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건립된 사당. 1697년(숙종 23)에 창건되었으며, 사육신(死六臣) 및 오두인(吳斗寅)ㆍ이세화(李世華)ㆍ박태보(朴泰輔) 등을 배향함.
16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사당
-
학성(鶴城)@울산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학성(鶴城) - 이주(李儔)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학성(鶴城)@안변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학성군(鶴城君) - 김환(金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계흥(金季興)의 아버지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학성군(鶴城君)@이연정 - 이연정(李連丁)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
1470~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종친
-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 - 김덕지(金德摯)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별자(別子). 울산김씨(蔚山金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울산 , 인명>왕실>왕자
-
학성수(鶴城守) - 이연정(李連丁)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
1470~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종친
-
학성정(鶴城正) - 이연정(李連丁)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
1470~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종친
-
학손(鶴孫) - 강학손(姜鶴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희맹(姜希孟)의 아들이며, 강귀손(姜龜孫)의 아우로,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학수(鶴壽) - 민학수(閔鶴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우통례습정(右通禮習靜) 민순(閔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학안(學顔)@강대수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안(學顔) - 성여학(成汝學)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주 판관(公州判官) 을 지낸 성언기(成彦器)의 아들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이수광(李晬光)ㆍ심종직(沈宗直)ㆍ김현성(金玄成) 등과 교유하고, 시를 잘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학암(鶴巖) - 유몽정(柳夢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량(柳用良)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구원병을 요청하여 일을 성사시켰으며, 귀국 도중 병사함.
1527~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학암리사(鶴巖里祠) - 학암서원(鶴巖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정사성(鄭士誠)ㆍ정사신(鄭士信)ㆍ권익창(權益昌) 등을 배향함.
17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학역재(學易齋)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원(學源) - 김반(金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강서(江西).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金鉤)ㆍ김말(金末)과 함께 경학삼김(經學三金)으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강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원(學源)@양수사 - 양수사(楊守泗)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증시(贈詩)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학원(學源)@이가순 - 이가순(李家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귀서(李龜書)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에서 수학할 때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음. 교리(校理) 등을 지내며,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데 힘씀.
1768~18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원(學源)@유인수 - 유인수(柳仁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안변 부사(安邊府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심의(沈義)가 보낸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학원(學源)@임수 - 임수(林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순창(淳昌). 문장에 뛰어나 오상(吳祥)ㆍ김주(金澍) 등과 함께 당대 팔문장(八文章)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학유(學儒) - 탁열(卓悅)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부서(選部書)를 지낸 탁광손(卓光孫)의 아들로, 사헌 규정(司憲糾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학음(學音)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학음집(學吟集)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金九容)의 시문집(詩文集). 저자의 유고(遺稿)를 모은 본집(本集)과, 교유한 제인(諸人)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外集)으로 구성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학이(學而) - 심열(沈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송(靑松). 심예겸(沈禮謙)의 아들로, 숙부 심충겸(沈忠謙)에게 출계(出系)함. 삼사(三司)의 요직을 역임하고, 탁지(度支)에 대한 뛰어난 경륜으로 왕의 총애를 받음.
1569~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학자(鶴子)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학정(鶴汀) - 이학정(李鶴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광국공신(光國功臣) 이양원(李陽元)의 아버지로, 이원부령(利原副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학지(學之)@육익 - 육익(陸釴)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곤산(昆山) 사람으로, 태상경한림시독(太常卿翰林侍讀)을 지내는 등 학문에 뛰어남. 저서인 《만록(漫錄)》에서 환자(宦者) 장안(蔣安)이 경태제(景泰帝)를 죽였다고 서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학지(學之) - 이맹사(李孟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개성 유수(開城留守)를 지낸 이수동(李壽童)의 아버지로,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학천(鶴川)@김온 - 김온(金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봉상대부(奉常大夫) 김황(金貺)의 아들로, 밀양 부사(密陽府使)ㆍ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5대조.
1348~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학천(鶴川)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학천(鶴川)@이봉춘 - 이봉춘(李逢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76년(선조 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직강(直講) 등을 지냄.
1542~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학천(鶴泉) - 성여학(成汝學)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주 판관(公州判官) 을 지낸 성언기(成彦器)의 아들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이수광(李晬光)ㆍ심종직(沈宗直)ㆍ김현성(金玄成) 등과 교유하고, 시를 잘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학천선생집(鶴泉先生集) - 학천집(鶴泉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성여학(成汝學)의 문집. 목판본. 2권 2책. 외손 한후명(韓厚明)이 수집ㆍ편찬하고, 조카 이야(李壄)가 이돈(李墪)의 서(序)를 실어 간행함.
170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학초목당(學草木堂)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학포(學圃)@탁지엽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학포(學圃)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학포노인(學圃老人)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학포당(學圃堂)@양팽손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학포선생문집(學圃先生文集) - 학포집(學圃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시문집. 현손 양세남(梁世南)이 수집하고, 12대손 양즙(梁楫)이 부록을 만들어 편집하여 1840년 간행함.
18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문헌>서명
-
학포선생유집(學圃先生遺集) - 학포집(學圃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시문집. 현손 양세남(梁世南)이 수집하고, 12대손 양즙(梁楫)이 부록을 만들어 편집하여 1840년 간행함.
18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문헌>서명
-
학포유집(學圃遺集) - 학포집(學圃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시문집. 현손 양세남(梁世南)이 수집하고, 12대손 양즙(梁楫)이 부록을 만들어 편집하여 1840년 간행함.
18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문헌>서명
-
학포재(學圃齋)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학호(鶴湖) - 김봉조(金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냈으며, 아우 김영조(金榮祖)와 함께 영남에서 문명을 떨침.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학후(虐后)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한(僩) - 김한(金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수의부위(修義副尉) 김세묵(金世默)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등을 역임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僩)@오한 - 오한(吳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종제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함께 조식(曺植)에게서 수학하며 학문에 전념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문인
-
한(漢)@촉 - 촉(蜀)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후손인 유비(劉備)가 한(漢)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 세운 왕조. 2대 43년간 존속.
22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한(漢)@오한 - 오한(吳漢)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1479년(성종 10) 나주 객관(羅州客館)을 중수할 때 나주 통판(羅州通判)으로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한(漢) - 강한(姜漢)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筆法)이 정묘했으며,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문하(門下)에서 정옥견(鄭玉堅)ㆍ권오복(權五福)ㆍ정사룡(鄭士龍) 등이 배출되었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澣)@안한 - 안한(安澣)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심수경(沈守慶)ㆍ송찬(宋贊)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한(澣)@허한 - 허한(許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허담(許聃)의 아들로, 군자감 부봉사(軍資監副奉事) 등을 지냄. 그림은 매(梅)ㆍ죽(竹)을 잘 그리고, 시(詩)는 당시(唐詩)의 운격(韶格)에 능함.
1492~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澣)@김한 - 김한(金澣)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아들로, 정종의 넷째 딸인 고성옹주(高城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9~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澣)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瀚)@곽한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한(瀚) - 신한(申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좌의정을 지낸 신용개(申用漑)의 아들. 유자광(柳子光)의 당여(黨與)로 지목받기도 하였으나, 광주(光州)ㆍ진주(晉州) 등을 잘 다스려 표창을 받았음.
1482~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瀚)@심한 - 심한(沈瀚)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박시형(朴始亨)과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파직되었다가 이조 참의(吏曹參議)로 복직됨.
1436~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瀚)@홍한 - 홍한(洪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 하여 장형(杖刑)을 당한 뒤 유배 도중에 죽음.
1451~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한(瀚)@윤한 - 윤한(尹瀚)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영의정(領議政) 윤자운(尹子雲)의 아들이며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버지로, 용양위 대호군(龍驤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한(翰)@이한 - 이한(李翰)
통일신라 때 전주(全州)의 호족.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21대조로,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시조. 사공(司空)을 지냄.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한(翰) - 박한(朴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준(朴峻)의 아들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한(翰)@전한 - 전한(全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낸 전은로(全銀輅)의 손자.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사옹원 정(司饔院正)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한(翰)@안한 - 안한(安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냈음.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에게 보낸 편지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閈) - 노한(盧閈)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좌의정을 지낸 민제(閔霽)의 사위로, 태종(太宗)과 동서간. 처남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세종(世宗) 때 무죄가 밝혀져 복직됨.
1376~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한가(漢賈)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각(漢閣) - 기린각(麒麟閣)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장안(長安)의 미앙궁(未央宮) 안에 세웠던 전각(殿閣)의 이름.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ㆍ소무(蘇武) 등 11인의 공신(功臣)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한갈(漢葛)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강(寒岡) - 정구(鄭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임해군 옥사(臨海君獄事) 때 관련 인물의 석방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린 뒤 고향으로 돌아감. 경서(經書)ㆍ의학ㆍ천문ㆍ지리 등에 통달하고 특히 예학(禮學)에 뛰어남.
1543~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강(漢江)@한수 - 한수(漢水)
중국 섬서성(陝西省) 영강현(寧强縣) 북부 반총산(蟠冢山)에서 발원하여 동남부를 거쳐 호북성(湖北省)을 지나 양자강(揚子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양자강의 최대의 지류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한강선생문집(寒岡先生文集) - 한강집(寒岡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구(鄭逑)의 문집. 원집(原集) 15권, 별집(別集) 3권으로, 문인 배상룡(裵尙龍) 등이 성주(星州)의 회연서원(檜淵書院)에서 간행함. 최현(崔晛)의 발문(跋文)이 《인재집(訒齋集)》에 전함.
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한건(韓虔) - 경후(景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제후. 재위 B.C.403~B.C.400. 위사(魏斯)ㆍ조적(趙籍)과 함께 진(晉) 나라의 대부(大夫)였다가 주(周) 위열왕(威烈王)으로부터 제후에 봉해지고, 이때부터 전국시대가 비롯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한걸(漢傑)@방한걸 - 방한걸(房漢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귀화(房貴和)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직강(直講)을 지낸 방원정(房元井)의 조부. 《소재집(穌齋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482~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한걸(漢傑) - 김한걸(金漢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한경(漢卿)@최한경 - 최한경(崔漢卿)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문손(崔文孫)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한경(漢卿)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한경(韓璟) - 한강(韓康)@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충렬왕 때 성절사(聖節使)로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냈으며, 원부(元傅) 등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함.
?~130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경홍(韓景洪)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계(寒溪)@윤담휴 - 윤담휴(尹覃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영평군(鈴平君) 윤개(尹漑)의 손자. 1569년(선조 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역임함.
1544~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계(寒溪) - 민통수(閔通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좌의정 민진원(閔鎭遠)의 아들. 노론계의 집안 출신으로 영조(英祖)의 탕평책(蕩平策)에 거슬리는 논란을 자주 제기하였으나, 관료생활은 깨끗했고 좋은 정책을 제시하기도 했음.
1696~17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계사(寒溪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한계폭포(寒溪瀑布) - 대승폭포(大勝瀑布)
강원도 인제군(麟蹄郡) 북면(北面)에 있는 폭포 이름. 금강산(金剛山)의 구룡폭포(九龍瀑布), 개성(開城)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우리나라 3대 폭포로 일컬어짐. 맞은편 반석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양사언(楊士彦)의 ‘구천은하(九天銀河)’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자연지명
-
한고(漢高)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공(漢公)@최한공 - 최한공(崔漢公)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세조가 구언(求言)할 때 올린 상소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후 낙향하여 시주(詩酒)로 소일하면서 후진(後進) 계도에 힘씀.
1423~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한공(漢公) - 장한공(張漢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사림파들에 의해 삭훈되었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복적(復籍)됨.
1465~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공(漢功)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한공칙(韓公則)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광(漢光)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구(漢寇)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한구암(韓久庵)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국공(韓國公) - 정인(鄭仁)
고려 후기의 유학. 정성량(鄭性良)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휘정사(徽政使)에 오른 아들 정독만달(鄭禿滿達)로 인해 사후 한국공(韓國公)에 추봉됨.
1255~13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 -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비(妃). 중국 원(元) 나라의 진왕(晉王) 감마랄(甘麻剌)의 딸. 충선왕이 세자로 원 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투기가 심하여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를 무고(誣告)한 사건을 일으킴.
?~1315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한귀(漢貴) - 김한귀(金漢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도(淸道).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금표(韓擒豹) - 한금호(韓擒虎)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수(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장군. 영주 자사(永州刺史)ㆍ화주 자사(和州刺史) 등을 지냄. 진(陳)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後主)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上柱國)에 봉해지고, 양주 총관(凉州摠管)이 되었으나 곧 죽음. 죽어서는 염라대왕(閻羅大王)이 되었다고 전해짐.
538~592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기(漢紀)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기(閑奇) - 최한기(崔閑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영흥(永興). 조선 태조(太祖)의 외조부로,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補祚協贊佐理功臣)과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한나군(漢拏君) - 양순(梁洵)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제주양씨(濟州梁氏)의 중시조(中始祖).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한남(漢男) - 서한남(徐漢男)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이천(利川). 판사(判事) 서극일(徐克一)의 아들이며 유학 서상남(徐尙男)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한남공(漢南公)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한녀(漢女) - 왕소군(王昭君)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후궁. 흉노(匈奴)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가 연지(閼氏)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