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대(漢臺)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한동(漢董)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동왕(漢東王) - 유흑달(劉黑闥)
중국 수(隋) 나라 말기 하북(河北)에서 일어난 농민반란군(農民叛亂群)의 우두머리. 두건덕(竇建德)의 잔당을 모아 622년(당 고조 5) 한동왕(漢東王)이라 자칭하였다가, 623년 이건성(李建成)에게 진압됨.
?~62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한라군(漢羅君) - 양순(梁洵)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제주양씨(濟州梁氏)의 중시조(中始祖).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한로(寒老) - 정구(鄭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임해군 옥사(臨海君獄事) 때 관련 인물의 석방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린 뒤 고향으로 돌아감. 경서(經書)ㆍ의학ㆍ천문ㆍ지리 등에 통달하고 특히 예학(禮學)에 뛰어남.
1543~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로(寒老)@김굉필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로(漢老) - 박한로(朴漢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함경도 길주(吉州) 출신으로. 같은 고장의 함경충(咸敬忠)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 와서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한로(韓老)@한유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로(韓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룡(漢龍) - 정한룡(鄭漢龍)
조선 전기의 문신. 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낸 정광보(鄭光輔)의 아들이고 정사룡(鄭士龍)의 형. 수원 판관(水原判官)ㆍ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역임함.
1487~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한류(漢劉)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리학관(漢吏學官) - 이문학관(吏文學官)
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맡아보았던 승문원(承文院) 소속의 관리. 1525년(중종 20)에 남곤(南袞)의 건의에 의해 설치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한림원(翰林院)@예문관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한마(漢馬)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한명(漢明)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명길(韓鳴吉)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무(漢武)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문(漢文)@노한문 - 노한문(盧漢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노자장(盧自璋)의 아들로, 사관(史官)의 조보(朝報) 작성과 이를 재상(宰相)에 전송(傳送)하는 일을 혁파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문(漢文)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문(韓文)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문경(韓文敬) - 한수(韓脩)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 이제현(李齊賢)에게 경사(經史)와 서법(書法)을 배우고,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됨.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
1333~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문공(韓文公)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방(翰邦) - 곽한방(郭翰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지낸 곽종의(郭宗儀)의 아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양천 현령(陽川縣令) 등을 지냄.
1486~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한벽(寒碧)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한벽노인(寒碧老人)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한벽당(寒碧堂)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한벽재(寒碧齋) - 정석견(鄭錫堅)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올랐으나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간행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파직됨. 성종 때 천거된 유도인(有道人) 13인 중의 한 사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한보(漢輔) - 장한보(張漢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진(蔚珍). 1522년(중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벼슬에 대한 욕심보다 자연과 풍류를 즐겨 일찍이 관직을 사퇴하고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쓰며 여생을 보냄.
1503~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보(漢輔)@조한보 - 조한보(曺漢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사용(司勇) 조변옹(曺變雍)의 아들. 성리학(性理學)ㆍ선학(禪學) 등에 뛰어나며, 당시 이언적(李彦迪)과 벌인 성리학 논쟁이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한부(漢傅) - 소광(疏廣)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황태자의 태부(太傅)로 있으면서 관직과 명성이 점차 높아지자 떠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고 하며, 소부(少傅)로 있던 조카 소수(疏受)와 함께 사임하고 낙향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부자(韓夫子)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비자(韓非子)@한비 - 한비(韓非)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공자ㆍ학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노장(老莊)의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받아들여 법가의 학설을 대성하였으며, 저서에 《한비자(韓非子)》가 있음.
B.C.280?~B.C.23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왕자
-
한비장군(漢飛將軍) - 이광(李廣)
중국 전한(前漢) 때의 장군.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를 차례로 섬기면서 70여 차례에 걸쳐 변방의 흉노(匈奴)를 평정한 공이 컸으나,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를 공격하다가 길을 잃어 견책을 받자 목을 베어 자살함.
?~B.C.11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사(寒沙)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사(漢史) - 한서(漢書)
중국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전한(前漢)의 정사(正史). 120권. 고조(高祖)부터 왕망(王莽)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
82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한사경(韓士冏)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사만은(寒沙晩隱)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사문(韓士文)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사열전초(漢史列傳抄) - 사한열전초(史漢列傳抄)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최립(崔岦)이 지은 책. 1책 4권. 목판본. 초학자(初學者)의 고문(古文) 공부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의 열전(列傳)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구결(口訣)과 현토(懸吐)를 붙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한사형(韓士炯)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산(漢山)@삼각산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한산(漢山)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한산(韓山)@이곡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군(漢山君)@이손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군(漢山君) - 조인옥(趙仁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전법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47~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군(漢山君)@조진 - 조진(趙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왕자 사부(王子師傅)로 천거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잠저(潛邸)에 있을 때 보도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한산군(漢山君)에 봉해짐.
15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군(漢山君)@이광우 - 이광우(李光雨)
고려 후기의 문신. 여말~선초 때의 문신인 이거인(李居仁)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한산군(韓山君)@이영은 - 이영은(李永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효문(李孝文)의 아버지.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부승지(左副承旨)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4~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군(韓山君)@이색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군(韓山君)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두(韓山斗)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백(漢山伯) - 조인벽(趙仁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환조(桓祖)의 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함.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 우왕(禑王)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에도 참여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산백(漢山伯)@조영무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산백(韓山伯)@이색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백(韓山伯)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병은(漢山病隱)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한종유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이손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조영무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산이씨(漢山李氏)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한산재자(韓山才子)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산조씨(漢山趙氏) - 한양조씨(漢陽趙氏)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귀화하여 조순대부(朝順大夫)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조지수(趙之壽)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서울 , 인명>집단>성씨
-
한산주(漢山州)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한상노옹(漢上老翁) - 박순(朴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나, 서인(西人)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함.
1523~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인명>관인>문신
-
한생(漢生)@장한생 - 장한생(張漢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구례(求禮). 중종(中宗) 때의 유학 장우겸(張友謙)의 아버지로, 의흥위 부사맹(義興衛副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구례 , 인명>관인>무신
-
한생(漢生) - 김한생(金漢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온양 군수(溫陽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문집(四佳文集)》에 그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한서(漢瑞) - 양한서(梁漢瑞)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양동재(梁棟材)의 아들로,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무신
-
한서(漢西) - 한당(漢黨)
조선 인조(仁祖) 말에 청서(淸西)에서 갈린 서인(西人)의 한 분파. 서울 및 근기지역에 거주하며 산당(山黨)과 정책상 대립한 김육(金堉)ㆍ신면(申冕)ㆍ김우명(金佑明) 등을 부르는 말. 이건창(李建昌)의 《당의통략(黨議通略)》에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한서평(韓西平)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석당(閑碩堂) - 박중림(朴仲林)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팽년(朴彭年)ㆍ박인년(朴引年)ㆍ박기년(朴耆年)ㆍ박대년(朴大年)ㆍ박영년(朴永年)의 아버지로, 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자식들과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한석봉(韓石峯)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선(漢宣)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선(韓仙)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선복(韓善復)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선제(漢宣帝)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성(漢成)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성(漢誠) - 양한성(梁漢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양동재(梁棟材)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한성(韓城)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한성공(漢城公) - 윤회종(尹會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우로, 형조 총랑((刑曹摠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변정도감사(辨正都監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한성군(韓城君) - 이훈(李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평대장(討平大將)으로 난을 평정함.
1429~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성군(韓城君)@이기하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한성령(漢城令) - 이녕(李濘)
조선 후기의 종친. 1592년(선조 25)에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이 왜적(倭賊)에게 잡혔을 때 선전관(宣傳官) 김극성(金克惺)과 함께 은(銀)과 명주 등을 가져옴.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한성부원군(漢城府院君)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성부원군(韓城府院君)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성제(漢成帝)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성조씨(漢城趙氏) - 한양조씨(漢陽趙氏)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귀화하여 조순대부(朝順大夫)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조지수(趙之壽)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서울 , 인명>집단>성씨
-
한세귀(韓世龜)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소열묘(漢昭烈廟) - 무후사(武侯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남쪽에 세운 사당. 원래 제갈량(諸葛亮)을 배향하였으나, 명(明) 나라 초에 소열묘(昭烈廟)와 통합하여 유비(劉備)를 함께 제향함. 중국 유일의 군신 합묘(君臣合廟).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한송재(韓松齋)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수(寒水)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한수(寒水)@한강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한수(漢叟) - 조정(趙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된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자 공신 조진(趙振)의 동생. 임진왜란 때 세자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으나 인조반정 후 대간의 탄핵을 받음.
1551~162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수(漢水)@한강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한수(漢溲)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수재(寒水齋)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한승(漢升) - 황충(黃忠)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뒤 엄안(嚴顔)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승수(韓承壽) - 한문헌(韓文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한영(韓永)의 셋째 아들로, 동궁(東宮)의 급사(給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시전(韓詩傳) - 한시외전(韓詩外傳)
중국 전한(前漢)의 경학자(經學者) 한영(韓嬰)이 지은 《시경(詩經)》의 해설서(解說書). 한영은 내전(內傳) 4권, 외전 6권을 저술하였으나, 남송(南宋) 이후 겨우 외전만이 전해짐.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