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식일(寒食日)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한신(漢臣) - 적청(狄靑)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무신. 서하(西夏) 변경을 수호한 공으로 인종의 총애를 받아 송군(宋軍) 전체를 이끄는 추밀사(樞密使)에 오름.
100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신(漢臣)@정역동 - 정역동(丁易東)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때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를 지냈으나 원 나라 때는 벼슬을 하지 않고 물러나 생도(生徒)들을 가르침. 저서에 《역상의(易象義)》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신후(漢信侯) - 유연(劉縯)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큰 형.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에게 죽임을 당함.
?~23 중국>신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한십팔(韓十八)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안도(韓安道) - 위안도(韋安道)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 전기(傳奇) 소설 〈위안도전(韋安道傳)〉에 나오는 인물로, 후토부인(后土夫人)을 만나 아내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한애제(漢哀帝) - 애제(哀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7~B.C.1. 재위 중에 외척 세력을 조정에서 척결했으나, 말년에 다시 외척이 정치에 깊이 간여하여 조정이 혼란에 빠지고 정치도 부패해짐.
B.C.26~B.C.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양군(漢陽君)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한종유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 - 조충수(趙忠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한산군(漢山君) 조진(趙振)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과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박유문 - 박유문(朴有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1361년(공민왕 10)에 홍건적(紅巾敵)이 침입하여 공민왕이 남천(南遷)할 때 호종한 공으로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연당(閒燕堂) - 이항(李沆)@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이세인(李世仁)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주도하여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했으며, 영천 군수(榮川郡守)ㆍ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냈음.
1474~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한영(漢榮) - 최한영(崔漢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신재(新齋) 최산두(崔山斗)의 아버지로, 한성판윤(漢城判尹)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문사>유학
-
한영(漢英) - 조한영(曺漢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식(李植)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608~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옹(韓翁)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왕(漢王)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왕(漢王)@양량 - 양량(楊諒)
중국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넷째 아들. 수 나라 개황(開皇) 연간에 고구려를 침공함.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한왕(韓王)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한외전(韓外傳) - 한시외전(韓詩外傳)
중국 전한(前漢)의 경학자(經學者) 한영(韓嬰)이 지은 《시경(詩經)》의 해설서(解說書). 한영은 내전(內傳) 4권, 외전 6권을 저술하였으나, 남송(南宋) 이후 겨우 외전만이 전해짐.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한우복(韓祐復) - 한상환(韓尙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맏아들로, 상의의정부사(商議議政府事) 등을 역임함. 간관(諫官)으로 있을 때 군대를 강하게 하고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내용을 주장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운(翰雲) - 고한운(高翰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응척(高應陟)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냄.
1552~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한웅(漢雄) - 김한웅(金漢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제(金濟)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원(漢元) - 원제(元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48~B.C.33. 학문을 좋아했으나 성품이 유약하여 정치를 주관하지 못해 부왕 선제(宣帝)가 이룬 왕업을 쇠미하게 하였음.
B.C.75~B.C.3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원(翰苑)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한원(韓原)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한원군(漢原君)@조선 - 조선(趙璿)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를 지낸 조말생(趙末生)의 아들로, 태종의 딸인 정정옹주(貞靜翁主)와 혼인함.
1410~14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왕실>인척
-
한원군(漢原君)@이수철 - 이수철(李守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우생(李遇生)의 아들이며, 한산군(漢山君) 이손(李蓀)의 아버지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한원군(漢原君)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원군(韓原君) - 이치(李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ㆍ이지함(李之菡)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풀려나 판관(判官) 등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원군(韓原君)@이유청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이덕형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원수(漢原守) - 이인수(李麟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한원집(翰苑集) -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인 육지(陸贄)의 문집.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와 제고(制告)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 치국의 귀감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한위공(韓魏公)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유문(韓有文) - 한유문(韓有紋)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거쳐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역임함.
?~143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음(漢陰)@이덕형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음(漢陰) - 두감(杜淦)
중국 송(宋) 나라 사람. 사수(泗水) 부근에 살면서 농사를 짓고 살았는데, 수모를 견디고 벼슬하는 것에 비하면 농사짓는 것이 낫다고 말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한음수(漢陰叟)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한이부(韓吏部)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익부(韓益夫) - 한중겸(韓重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5~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한익지(韓益之)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자(韓子)@한유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자(韓子) - 한비(韓非)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공자ㆍ학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노장(老莊)의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받아들여 법가의 학설을 대성하였으며, 저서에 《한비자(韓非子)》가 있음.
B.C.280?~B.C.23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왕자
-
한자(韓子)@한비자 - 한비자(韓非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사상가인 한비(韓非)의 저서. 55편 20책. 인성이기설(人性利己說), 법치주의(法治主義) 등 법의 지상(至上)을 강조한 법가사상(法家思想)의 대표적인 책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한자수(韓子受)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장(韓藏) - 한천(韓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낸 한대순(韓大淳)의 아들로, 고려에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재(寒齋)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적(漢賊)@위 - 위(魏)@삼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가 후한(後漢)의 헌제(獻帝)에게 선양받아 낙양(洛陽)에 세운 왕조. 5대 46년간 존속.
225~26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한적(漢賊)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한정(漢禎) - 최한정(崔漢禎)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의 신임이 각별하여, 이를 시기한 임사홍(任士洪)이 임용을 반대하자 도리어 그를 대사간(大司諫)으로 발탁하였다는 일화로 유명함.
1427~14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한정(漢精) - 양한정(梁漢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양동재(梁棟材)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한정(閑亭) - 김약회(金若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전라도 태인(泰仁)에 한정(閑亭)을 짓고 살면서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한정(韓亭) - 압구정(狎鷗亭)
서울 한강(漢江)의 두모포(豆毛浦) 남쪽 언덕에 세워진 정자. 세조(世祖) 때 한명회(韓明澮)가 세운 정자로, ‘압구정’이란 이름은 그가 명(明) 나라에 사신 가서 한림학사(翰林學士) 예겸(倪謙)에게서 얻어 온 것으로 당시에는 그 정자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었다고 함.
?~18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누정
-
한정진(韓鼎震)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제(漢帝)@무제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제(漢帝)@소열제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제(漢帝)@문제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제(漢帝)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조(漢祖)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조주(韓潮州)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종리(漢鐘離) - 종리권(鐘離權)
중국 후한(後漢)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원래는 장군이었으나 토번(吐藩)을 정벌하다가 실패하고 도망쳐 도사가 되었다고 함. 일설에는 당(唐) 나라의 도사로, 여암(呂巖)과 동시대 인물이라고도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한좌(漢佐) - 허량(許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보(許輔)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도사(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한좌(漢佐)@양한좌 - 양한좌(梁漢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양동재(梁棟材)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한주(漢州)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한주(漢柱)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한주(韓州)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한주(韓州)@이집 - 이집(李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725년(영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민생 구제에 노력함. 저서로 《한주집(韓州集)》이 있음.
1670~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죽(寒竹)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죽당(寒竹堂)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준(漢準)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중(翰仲) - 곽지번(郭之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위(郭瑋)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 사성(司成)을 지냄.
1495~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지(漢之)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지(漢志) - 한서(漢書)
중국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전한(前漢)의 정사(正史). 120권. 고조(高祖)부터 왕망(王莽)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
82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한진(漢津)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한진(漢眞) - 김한진(金漢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공신. 흥왕사(興王寺)의 변(變) 때 김용(金鏞)을 토벌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착(韓浞) - 한착(寒浞)
중국 하(夏) 나라의 명궁(名弓)인 예(羿)의 신하. 태강(太康)을 폐위한 후 국호를 유궁(有窮)으로 한 예를 죽이고 제위를 찬탈하였으나 소강(少康)에게 멸망당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한창려(韓昌黎)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창려집(韓昌黎集) -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의 문집. 총4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 - 이지무(李之茂)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치(李穉)의 둘째 아들로, 이지번(李之蕃)의 아우이자 이지함(李之菡)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아들인 이산보(李山甫)의 공으로 인해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한천(寒泉)@문홍규 - 문홍규(文弘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손자이며,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1582~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한천(寒泉)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천(寒泉)@청사 - 청사(淸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한천청사권(書寒泉淸師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한천(寒泉)@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한천(漢川)@한강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한천(漢川)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천군(漢川君)@조정 - 조정(趙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된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자 공신 조진(趙振)의 동생. 임진왜란 때 세자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으나 인조반정 후 대간의 탄핵을 받음.
1551~162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천군(漢川君) - 이괵(李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임진왜란 때 부제학(副提學)으로서 의주(義州)에 왕을 호종하고,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천군(漢川君)@조온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천군(韓川君) - 이의배(李義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한천군(韓川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병(淸兵)과의 대전 중 전사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한천당(寒泉堂) - 문홍규(文弘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손자이며,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1582~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첩목아불화(韓帖木兒不花) - 한효선(韓孝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정동성 원외(征東省員外)ㆍ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을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첩여(漢婕妤) - 반첩여(班婕妤)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후궁ㆍ시인. 시가(詩歌)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趙飛燕)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長信宮)에 머물면서 부(賦)를 지어 상심(傷心)을 노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후궁
-
한춘경(韓春卿) - 한응인(韓應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하여 수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이 됨.
1554~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충(漢忠)@황한충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한충(漢忠) - 유한충(劉漢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유장종(劉長宗)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한충헌(韓忠獻)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치(漢雉)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한퇴지(韓退之)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