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평(漢平) - 안한평(安漢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문하시중(門下侍中) 안사경(安社卿)의 아버지이며,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조부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하였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한평군(漢平君)@조연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평군(漢平君)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평군(韓平君)@이지숙 - 이지숙(李之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냈으며, 아들인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훈공으로 인해 이조 판서(吏曹判書) 한평군(韓平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평군(韓平君)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평부원군(韓平府院君)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포재(寒圃齋)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필(漢弼)@황한필 - 황한필(黃漢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이자 우수동주(愚叟洞主) 황한충(黃漢忠)의 형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한필(漢弼) - 조한필(曺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등(曺璒)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한필(翰弼) - 송한필(宋翰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형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여 이이(李珥)ㆍ박인로(朴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학자
-
한해(韓海)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헌(漢獻) - 헌제(獻帝)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 재위 189~220. 영제(靈帝)의 아들로, 아홉 살 때 동탁(董卓)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曹操)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후에 위(魏) 나라 문제(文帝)로 등극한 조비(曹丕)에 의해 폐위됨.
181~2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헌자(韓獻子) - 한궐(韓厥)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대부. 한기(韓起)의 아버지로, 여공(厲公)이 무도(無道)하여 난서(欒書)와 순언(荀偃)이 죽이려 할 때 동참하기를 거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한혜(漢惠)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호(閑好) - 임련(林堜)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임서(林㥠)의 아들이자, 임담(林墰)의 형으로, 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한홍(漢洪) - 최한홍(崔漢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장흥 부사(長興府使) 최형손(崔亨孫)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69~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황(漢皇)@무제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황(漢皇)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후(漢侯) - 최한후(崔漢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최선문(崔善門)의 아들로, 이지번(李之蕃) 등과 교유하였으며, 용담 현령(龍潭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한훤(寒喧)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훤(寒暄)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훤당(寒喧堂)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훤당(寒暄堂)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훤재(寒暄齋) - 표계(表繼)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남계(藍溪) 표연말(表沿沫)의 아버지로, 1429년(세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덕 현감(陽德縣監)ㆍ상주 유학교수(尙州儒學敎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한휘(澣輝) - 배한휘(裵澣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배수장(裵粹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한휴(韓烋) - 한휴(韓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한방신(韓方信)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감문위 호군(監門衛護軍) 등을 지냈으나, 동생 한안(韓安)이 공민왕을 시해한 것에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후에 자헌대부(資憲大夫)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흥군(韓興君) - 이여발(李汝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였으며,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지냄.
1621~16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흥부원군(韓興府院君)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할(劼) - 문할(文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1563~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할(劼)@서할 - 서할(徐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동서(同壻)이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족숙(族叔).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문사>유학
-
할(硈) - 신할(申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기수어사(京畿守禦使)가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건너다 왜적에게 크게 패하여 순절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할옹(鶡翁)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함(咸) - 최함(崔咸)
고려 후기의 유학. 정총(鄭摠)의 《복재집(復齋集)》에 그를 방문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함(涵)@1554 - 이함(李涵)@1554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조부로, 선조 때 문과에 올랐으나 답안지 가운데 《장자(莊子)》에서 인용한 말이 있다고 하여 취소당하였으며,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한 후 광해군 때 낙향함.
1554~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함(涵) - 신함(申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용강 현령(龍岡縣令)을 지냈으며,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함(涵)@1458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함(涵)@유함 - 유함(兪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기계(杞溪). 호조 판서(戶曹判書) 유강(兪絳)의 아들로, 유진(兪縝)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1552년(명종 7)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함(涵)@이함 - 이함(李涵)
조선 후기의 종친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능원대군(陵原大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가야금과 그림에 능통하였으며, 조속(趙涑)의 화풍을 이어받음. 〈쌍작도(雙鵲圖)〉ㆍ〈해암응립도(海巖鷹立圖)〉ㆍ〈과전초충도(瓜田草蟲圖)〉 등의 작품이 있음.
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함(菡) - 이함(李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황주 목사(黃州牧使)를 지내고,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풍해군(豊海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함(諴)@유함 - 유함(柳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의 유학인 유종지(柳宗智)와 유종일(柳宗日)의 아버지로, 평생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함(諴)@탁함 - 탁함(卓諴)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을 지낸 탁윤순(卓允順)의 아들로, 1393년(태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 윤(漢城尹) 등을 지냄.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인 탁기(卓耆)를 입양함.
13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함(諴) - 이함(李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공주(公州). 사직(司直)을 지낸 이종손(李從孫)의 아들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함(馠) - 안함(安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파직되어 부친 안세형(安世亨)과 함께 유배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함^소(咸^韶) - 소^함(韶^咸)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음악인 소소(簫韶)와 황제(黃帝)의 음악인 함지(咸池)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함경(咸卿)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함경당(涵鏡堂)@함벽당 - 함벽당(涵碧堂)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무신 강희철(康希哲)이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세운 누각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함경당(涵鏡堂) - 강희철(康希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 강귀형(康貴亨)의 아들로,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內禁衛禦侮將軍)ㆍ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무직(武職)으로 당상관에 오름.
1492~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함곡(函谷)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함곡새(函谷塞)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함관(函關)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함관(咸關)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함관령(函關嶺) - 함관령(咸關嶺)
함경도 함주(咸州)와 홍원(洪原)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이성계(李成桂)가 원 나라 군대를 무찌른 곳.
함경도>홍원ㅣ함경도>함흥 , 지명>자연지명
-
함녕군(咸寧君) - 이수선(李壽璿)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네 번째 서자인 양원군(楊原君) 이희(李憘)의 아들로, 함녕군(咸寧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함녕루(咸寧樓) - 광원루(廣遠樓)
경상도 함창(咸昌)의 객관(客館) 동쪽에 있었던 누각. 누각의 이름을 고치고 지은 조위(曺偉)의 기문(記文)이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유적>건물>누정
-
함도(咸道) - 정함도(鄭咸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유(鄭維)ㆍ정면(鄭綿)ㆍ정주(鄭紬) 형제의 아버지로, 함종 현령(咸從縣令)을 지냄. 아들 삼형제와 함께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함라수(咸羅守) - 이효원(李孝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인 곡성군(鵠城君) 이금손(李金孫)의 아들로, 학문에 뜻을 두어 행동을 조심했고 형제들과 한 집에 살면서 우애가 좋았음.
1464~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함벽(涵碧) - 서관란(徐觀瀾)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8년(선조 31) 정응태(丁應泰)의 무고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명 나라 사신.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함성(含城) - 함양(咸陽)
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함성군(咸城君)@이종생 - 이종생(李從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등을 역임함.
1423~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함성군(咸城君) - 이계통(李季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된 이세응(李世應)의 아버지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함신(咸新)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함안군(咸安君)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함양(含陽) - 함양(咸陽)
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함양군(咸陽君)@박전 - 박전(朴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내고 함양군(咸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함양군(咸陽君) - 이포(李𧦞)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둘째 아들.
141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함양부원군(咸陽府院君)@박장 - 박장(朴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충목왕(忠穆王) 때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낸 박충좌(朴忠佐) 아버지로,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함양부원군(咸陽府院君)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함양윤(咸陽尹) - 이포(李𧦞)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둘째 아들.
141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함옹(涵翁)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함원군(咸原君) - 김선(金瑄)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함장(諴長) - 이함장(李諴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부윤(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이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이수남(李壽男)의 아버지. 1457년(세조 3)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함재(涵齋)@기효증 - 기효증(奇孝曾)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侍衛)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
1550~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함재(涵齋) - 서해(徐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학문과 덕망이 높았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537~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함종군(咸從君)@어맹순 - 어맹순(魚孟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어세공(魚世恭)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1467~151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함종군(咸從君)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함종부원군(咸從府院君)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함주인물지(咸州人物誌) - 함주지(咸州志)
조선 선조(宣祖)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정구(鄭逑)가 편찬한 읍지(邑誌). 1책. 필사본. 정구의 주관으로 박제인(朴齊仁)ㆍ오운(吳澐) 등 군인(郡人)들의 협력을 받아 편찬한 것으로, 《한강집(寒岡集)》에 서문(序文)이 전함. 이후 다른 읍지 편찬에 모범이 됨.
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문헌>서명
-
함주지(咸州誌) - 함주지(咸州志)
조선 선조(宣祖)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정구(鄭逑)가 편찬한 읍지(邑誌). 1책. 필사본. 정구의 주관으로 박제인(朴齊仁)ㆍ오운(吳澐) 등 군인(郡人)들의 협력을 받아 편찬한 것으로, 《한강집(寒岡集)》에 서문(序文)이 전함. 이후 다른 읍지 편찬에 모범이 됨.
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문헌>서명
-
함지악(咸池樂) - 함지(咸池)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黃帝)가 지은 음악. 요(堯) 임금이 증보(增補)하여 연주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함천군(咸川君)@이억재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함천군(咸川君) - 이량(李良)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豐).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의 아들로,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함천부수(咸川副守)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함춘왕(含春王)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함평군(咸平君) - 이극명(李克明)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의 아버지로, 호분위 호군(虎賁衛護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함평대군(咸平大君)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함풍군(咸豊君)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함풍부원군(咸豐府院君)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함허(涵虛)@기화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함허(涵虛)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함허당(涵虛堂)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함허당득통화상어록(涵虛堂得通和尙語錄) -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의 시문집. 1권. 목판본. 1440년(세종 22)에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에서 간행함. 전여필(全汝弼)의 서문과 제자 야부(冶夫)의 행장이 수록됨.
14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함허자(涵虛子)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함허자(涵虛子)@홍귀달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함허정(涵虛亭)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함형(咸亨) - 이함형(李咸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황이 《심경(心經)》을 강의할 때 내린 자구 해석을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필사하여 《심경석의(心經釋疑)》를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함흥부수(咸興副守) - 이춘형(李春亨)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함희(咸熙) - 이성(李成)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산수화(山水畫)에 매우 뛰어나 관동(關仝)ㆍ범관(范寬)과 더불어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919~96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합라첩목아(哈刺帖木兒) - 채하중(蔡河中)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채홍철(蔡洪哲)의 아들.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忠惠王)을 호종(扈從)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 때 달선(達禪)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梟首)됨.
?~135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합려(闔廬) - 합려(闔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24대 제후. 재위 B.C.515~B.C.496. 초(楚) 나라 사람 오운(伍員)과 《손자(孫子)》의 저자인 손무(孫武)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中原)에까지 넓혔으나, 월(越)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
?~B.C.4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