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우현(金遇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김선(金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김우홍(金宇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나주 목사(羅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우홍(金禹洪)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의 행장(行狀)이 실려 있음.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학자
-
김원(金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허의(金許義)의 아들이고, 김세헌(金世憲)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원석(金元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버지로, 선공시 판사(繕工寺判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원신(金元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수(金脩)의 아들로, 본관은 연안(延安).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원행(金元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종조(從祖) 김창집(金昌集)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
1702~17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원효(金元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위(金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이(李珥)와 교유함. 임진왜란 때 병든 몸으로 어가를 호종하였고,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김유(金愉)
조선 전기의 무신. 김건(金鍵)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ㆍ건공장군(建功將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김유(金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략을 격퇴하고 흥왕사(興王寺)의 난을 평정하였으며, 제주(濟州)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무신
-
김유(金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진사(進士) 김걸(金傑)의 아들로, 응교(應敎)를 지냄. 협찬공신(協贊功臣) 김지연(金之衍)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유수(金裕壽)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채제공(蔡濟恭)의 《번암집(樊巖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695~17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유신(金庾信)
신라 진평왕(眞平王)~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의 장군ㆍ대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함.
595~673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김유양(金有讓)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아들로, 우부 승지(右副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유일(金有一)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유정(金惟精)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아버지로,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육(金堉)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풍(淸風). 대동법(大同法) 실시, 수차(水車)ㆍ수레 사용,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80~165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윤(金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 등과 동문수학한 사실이 《옥봉집(玉峯集)》에 실려 있으며,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팔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김윤덕(金潤德)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성 소윤(開城少尹)과 창녕 감무(昌寧監務)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윤성(金允成)
고려 후기의 노비. 김준(金俊)의 아버지로, 최충헌(崔忠獻)의 가노(家奴).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김윤안(金允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이며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해(金澥) 휘하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0~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윤안(金胤安)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 1577년(선조 10) 교우들과 송학사(松鶴寺) 세심대(洗心臺)에 올라간 일을 읊은 시가 김륭(金隆)의 《물암집(勿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윤원(金胤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부사(府使)를 지낸 김사결(金事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김윤은(金允誾)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의관. 내의(內醫)인 유지번(柳之蕃)과 함께 《달학이해방(疸瘧易解方)》을 편찬하였으며,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의원
-
김윤인(金允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순천김씨(順天金氏)의 중시조(中始祖). 중현대부(中顯大夫)로 전객시 영(典客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윤정(金胤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흥(佳興). 김득선(金得先)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ㆍ만경 현령(萬頃縣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윤제(金允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강응정(姜應貞) 등과 향약(鄕約)을 맺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는데, 세상 사람들이 소학계(小學契)ㆍ효자계(孝子契)라고 칭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윤종(金閏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 때에 통신사(通信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일본을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윤호(金允浩)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은(金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조 판서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형으로, 임진왜란에 해를 당함. 송익필(宋翼弼)이 그의 자(字)를 지어 주고 적은 글이 《구봉집(龜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은휘(金殷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정지운(鄭之雲)의 문인(門人)이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집하여 체찰사(體察使) 정철(鄭澈)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고,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응경(金應慶)
조선 후기의 유학. 정인홍(鄭仁弘)ㆍ윤감(尹堪)ㆍ정이길(鄭以吉) 등과 교유함. 《내암집(來庵集)》의 〈윤감전(尹堪傳)〉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응귀(金應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공조 정랑 (工曹正郞) 김광우(金光佑)의 아들.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 등을 지내고, 유덕종(柳德種)과 교유함.
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응규(金應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종의 신임을 받은 김응기(金應箕)의 아우로, 평안도 향공(鄕貢)으로 삼과(三科)에서 장원하였으나 진사 회시(進士會試)의 과장(科場)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김응기(金應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음.
1457~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응두(金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역임하면서 민폐를 제거하고 봉공(奉公)에 힘써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김응린(金應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1519년(중종 14) 문과 별시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응무(金應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목사(牧使)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 좌의정을 지낸 아들 김귀영(金貴榮)으로 인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김응복(金應福)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광주(光州).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진강(金振綱)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김응상(金應商)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낸 김춘(金春)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응생(金應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 자양산(紫陽山) 아래 서숙(書塾)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한 임고서원(臨皐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496~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김응인(金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梁山). 김량(金亮)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ㆍ좌랑(佐郞) 등을 지냈고,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응조(金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산음 현감(山陰縣監)을 지낸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손녀 사위. 유성룡(柳成龍)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87~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응함(金應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경운(金慶雲)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김의(金宜)@김남득의아버지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령김씨(高靈金氏)의 시조(始祖) 김남득(金南得)의 아버지로, 전리 좌랑(典理佐郞)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의(金宜)@김구의아버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우복야(右僕射)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김작신(金作新)의 아들이며,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아버지로, 우복야(右僕射)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의(金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증손이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된 지평(持平) 김저(金䃴)의 손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의(金義)
조선 전기의 유학. 노진(盧禛)이 지은 〈순자루주차김상상운(鶉子樓走次金上庠韻)〉이라는 시가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의원(金義元)@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호우(金好遇)의 아들이자 김효원(金孝元)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곤륙재집(困六齋集)》을 남김.
15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의원(金義元)@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이 지은 〈제곡장김의원만(梯谷丈金義元挽)〉이라는 시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의지(金義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수원(水原). 용성김씨(龍城金氏)의 시조 김시보(金時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유학
-
김이(金怡)
조선 후기의 유학.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사위로, 유광정(柳光霆)과는 동서(同壻) 사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이(金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낸 김공망(金公望)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당진 현령(唐津縣令) 등을 역임함.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이반(金爾盼)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첨(金爾瞻)ㆍ김이우(金爾盱)의 동생.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김이상(金履祥)@김개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 연산군(燕山君) 때 지평(持平)을 지낸 김개(金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김이수(金履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수(郡守) 김범행(金範行)의 아들이며, 대산(臺山) 김매순(金邁淳)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이안(金履安)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1762년(영조 38) 학행(學行)으로 기용되어 경연관(經筵官)이 되고, 정조 때 충주 목사(忠州牧使)를 거쳐 지평(持平)ㆍ찬선(贊善)ㆍ좨주(祭酒)를 지냄. 북학파(北學派)로 실학(實學)을 연구함.
1722~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이우(金爾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 김이첨(金爾瞻)의 동생이며, 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이음(金爾音)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함창(咸昌).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을 진양(晉陽)에서 처음 간행하고, 효행이 뛰어나 정문(旌門)을 하사받음.
?~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이정(金利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냈고, 이륙(李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이첨(金爾瞻)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우(金爾盱)ㆍ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이탁(金履鐸)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지(承旨)를 지낸 김문행(金文行)의 아들로,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있을 때 《밀양읍지(密陽邑誌)》를 편찬함.
1735~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이형(金以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익(金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김양준(金良俊)의 아들로, 김양보(金良輔)에게 출계(出系)함.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익(金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림(己卯士林)의 일원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유배됨.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익견(金益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낸 김홍(金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김익겸(金益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에서 항전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김상용(金尙容)ㆍ권순장(權順長)과 함께 자결함.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추봉됨.
1614~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익기(金益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김세호(金世鎬)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김익돈(金益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김광범(金光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김익복(金益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찰방(察訪)을 지낸 김광(金光)의 아들이며, 노진(盧禛)의 문인.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
1551~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익수(金益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중종 때 진하사(進賀使)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충청도 관찰사, 형조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함.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익휘(金益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개(金鎧)의 아들로, 음보로 사산감역(四山監役)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
1533~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익희(金益熙)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김반(金槃)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610~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인경(金仁慶)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惠順翁主)와 결혼함. 동서지간인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과 주고 받은 시들이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1514~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인척
-
김인경(金仁鏡)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시부(詩賦)를 잘하여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됨.
?~123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인령(金引齡)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숙원장씨(淑媛張氏) 문제를 간언한 일에 관련되어 임실(任實)에 유배되어 죽음.
1462~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인문(金仁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文武王)의 동생. 당(唐) 나라에 파견되어 나당(羅唐) 연합군을 조직하고, 소정방(蘇定方)과 연합하여 백제(百濟)와 고구려(高句麗)를 멸망시킴.
629~694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김인민(金仁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김춘경(金春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김인선(金仁瑄)
통일신라의 인물. 내사령(內史令) 김예겸(金禮謙)의 아버지로, 김인경(金仁鏡)의 선조. 그에 관한 기록이 《허백당집(虛白堂集)》〈김양경시집서(金良鏡詩集序)〉에 남아 있음.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김인손(金麟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시절 황정(荒政)을 바로잡아 칭송받음.
147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인수(金仁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운 김한귀(金漢貴)의 아버지. 전객령(典客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인원(金仁原)
조선 전기의 유학. 황준량(黃俊良)이 지은 〈차청양헌증주인김동년인원(次靑陽軒贈主人金同年仁原)〉이라는 시가 《금계집(錦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인혼(金麟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울산(蔚山). 김인후(金麟厚)의 종제(從弟)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막하(幕下)에서 참모(參謀)로 활약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무신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일(金軼)@김극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학생(學生) 김극인(金克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김일(金軼)@김수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ㆍ황주 목사(黃州牧使) 등을 역임함.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김일(金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한림학사(翰林學士) 김지연(金之衍)의 아들로, 보정공신(保定功臣)에 책록되었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일경(金一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소론(小論)의 거두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주도하여 노론(老論) 수백 명을 살해 또는 추방하고 우참찬에 올랐으나,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재집권하자 친국(親鞫)을 받은 뒤 참형당함.
1662~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