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합성(陜城)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합신(合臣)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합자보(合字譜) - 현금합자보(玄琴合字譜)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성현(成俔)이 현악기(絃樂器)의 연주법을 약자(略字)로 만들어 기록한 악보(樂譜).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합적길(哈赤吉)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합주(陜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합지길(哈只吉)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항(㤚)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항(恒)@최항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항(恒)@이채의아들 - 이항(李恒)@이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봉성군(蓬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항(恒)@이자영의아들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항(恒)@임항 - 임항(任恒)
조선 전기의 유학. 간우(侃于) 임박(任博)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평고부정(平皐副正) - 이신(李信)@이돈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잠성정(岑城正)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고왕(平固王) - 안제(安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0대 황제. 재위 396~418.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404년 환현(桓玄)이 난을 일으키자 제위(帝位)를 선위(禪位)함. 환현을 토벌한 유유(劉裕)에 의해 복위(復位)되었으나 살해됨.
382~4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평국(平國) - 영공(靈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대부인 공손녕(孔孫寧)ㆍ의행보(儀行父)와 함께 하희(夏姬)와 간통하였는데, 이를 간하는 대부 예야(洩冶)를 죽임. 이 때문에 하희의 아들인 하징서(夏徵舒)에게 시해됨.
?~B.C.59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평국(平國)@유재 - 유재(劉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진사(進仕)에 급제하였으나 은거하여 저술활동을 하였고, 저서로 《만당집(漫塘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평녕군(平寧君) - 신여정(申汝挺)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35년(인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냈으며, 영국공신(寧國公臣)에 책록됨.
1615~16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녕군(平寧君) - 신경원(申景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영의정(領議政) 신경진(申景禛)의 종제(從弟).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을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사도 부원수(四道副元帥)가 되어 항거했음.
1581~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녕군(平寧君)@조대림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도(平度)@효왕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평도(平度)@최유경 - 최유경(崔有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우왕(禑王)에게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고변하였으나, 훗날 태조(太祖)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됨.
1343~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도(平度)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량(平凉)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평량경(平涼京)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평량후(平凉侯)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평로(平虜) - 이적(李逖)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아들로, 1390년(공양왕 2)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평릉(平陵)@애제 - 애제(哀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362~365. 성제(成帝) 사마연(司馬衍)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
340~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평릉(平陵)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평릉군(平陵君) - 신경희(申景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평산부원군(平山府院君) 신잡(申磼)의 아들. 음보(蔭補)로 임관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함. 반역을 모의했다는 대북(大北)의 무고로 장살(杖殺)됨.
?~16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평릉후(平陵侯) - 소건(蘇建)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무제 때의 충신인 소무(蘇武)의 아버지로, 흉노(匈奴)를 공격한 공로로 평릉후(平陵侯)에 봉해짐. 소씨 무공파(蘇氏武功派)의 시조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평보(平父) - 유평(劉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유자휘(劉子翬)의 아들로, 소무군사호참군(邵武軍司戶參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 등과 교유함.
1138~11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평보(平甫)@홍간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평보(平甫)@왕안국 - 왕안국(王安國)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 신법(新法)으로 개혁정책을 단행한 왕안석(王安石)의 동생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냄.
1028~107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보(平甫)@유평 - 유평(劉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유자휘(劉子翬)의 아들로, 소무군사호참군(邵武軍司戶參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 등과 교유함.
1138~11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평보(平甫)@예종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평보(平甫) - 김사형(金士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
133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평산(平山) - 처림(處林)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제18대 조사(祖師)로, 나옹 혜근(懶翁慧勤)의 스승임.
1279~136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평산부수(平山副守) - 이숙(李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첫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서개국군(平西開國君) - 문정(文挺)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문지원(文智遠)의 아들로, 대도독(大都督)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평서백(平西伯)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평서왕(平西王)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평서친왕(平西親王)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평석(平石)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평성(平城) - 운주(雲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시(大同市)의 옛 이름. 서한(西漢)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北魏) 때의 도읍지이며, 오대(五代) 때에는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에 포함되어 요(遼) 나라에 할양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평성군(平城君)@조견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성군(平城君) - 박원종(朴元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令議政) 등을 지냄.
1467~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성군(平城君)@신경진 - 신경진(申景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립(申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짐.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하고,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575~16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성군(枰城君) - 이위(李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성도정(枰城都正) - 이위(李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조견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신경진 - 신경진(申景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립(申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짐.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하고,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575~16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신점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박원종(朴元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令議政) 등을 지냄.
1467~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임언수 - 임언수(林彦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삼사우사(三司右使) 임성미(林成味)와 문하시중(門下侍中)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로,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평수가(平秀家) -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때의 무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 때 행주(幸州) 싸움에서 대패하고, 정유재란 때 남원(南原)ㆍ전주(全州)를 점령하였다가 퇴각함.
1573~165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수길(平秀吉)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숙(平叔)@박사화 - 박사화(朴師和)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증시(贈詩)와 차운시(次韻詩) 등이 실려 있고, 노진(盧禛)의 《옥계집(玉溪集)》에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평숙(平叔)@권평숙 - 권평숙(權平叔)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평숙(平叔)@황균 - 황균(黃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회덕(懷德). 북부 참봉(北部參奉)을 지낸 황윤희(黃允熙)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평숙(平叔)@하안 - 하안(何晏)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학자. 하후현(夏侯玄)ㆍ왕필(王弼) 등과 함께 현학(玄學)을 창시하여 새로운 기풍을 일으키고, 유가경전을 도교식으로 해석함. 저서로 《논어집해(論語集解)》 등이 있음.
193~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평숙(平叔) - 이함형(李咸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황이 《심경(心經)》을 강의할 때 내린 자구 해석을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필사하여 《심경석의(心經釋疑)》를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평숙(平叔)@이준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안(平安)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평암섭씨(平巖葉氏)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평야(平爺)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평양(平襄) - 선형(宣炯)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움.
1434~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양(平陽)@순천 - 순천(順天)
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세조(世祖) 때 편제된 진관(鎭管) 체제에 따라 주진(主鎭)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평양(平陽) - 김순고(金舜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후손으로, 수군의 전비(戰備)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戰船)의 수미에 포(砲)를 비치하게 함.
148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평양공(平壤公) - 왕기(王基)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아들. 어머니는 원혜태후(元惠太后)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태사 겸 내사령(太師兼內史令)을 지냄.
?~10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평양군(平壤君)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양군(平壤君)@조서 - 조서(趙瑞)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파견되었을 때 안길왕(安吉王) 야아길니(也兒吉尼)에게 딸을 혼인시킴.
?~1313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양군(平壤君)@조대림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군(平壤君)@조인규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군(平壤君)@조위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양군(平壤君)@박석명 - 박석명(朴錫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종(定宗)이 태종에게 선위(禪位)할 때 그 교서(敎書)를 전하였으며, 태종에게 황희(黃喜)를 천거함.
1370~140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평양군(平陽君)@박석명 - 박석명(朴錫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종(定宗)이 태종에게 선위(禪位)할 때 그 교서(敎書)를 전하였으며, 태종에게 황희(黃喜)를 천거함.
1370~140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평양군(平陽君)@박중선 - 박중선(朴仲善)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5~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양군(平陽君) - 김순고(金舜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후손으로, 수군의 전비(戰備)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戰船)의 수미에 포(砲)를 비치하게 함.
148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평양박씨(平陽朴氏) - 순천박씨(順天朴氏)
고려의 개국공신 박영규(朴英規)를 시조로 하고 대제학(大提學) 박숙정(朴淑貞)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 박팽년(朴彭年)ㆍ박원종(朴元宗)ㆍ박이장(朴而章) 등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집단>성씨
-
평양백(平壤伯)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평양백(平壤伯)@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백(平壤伯)@조인규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부수(平陽副守) - 이의(李倚)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猉)의 넷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위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인규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박석명 - 박석명(朴錫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종(定宗)이 태종에게 선위(禪位)할 때 그 교서(敎書)를 전하였으며, 태종에게 황희(黃喜)를 천거함.
1370~140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박천상 - 박천상(朴天祥)
고려 공민왕(恭愍王)~창왕(昌王) 때의 무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숭인(李崇仁)ㆍ하륜(河崙) 등과 함께 영흥군(永興君) 환(環)의 진위(眞僞) 문제를 변론하다가 무고 혐의로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박중선 - 박중선(朴仲善)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5~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양자(平陽子)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평양팔경(平壤八景) - 기성팔경(箕城八景)
평안도 평양(平壤)의 대표적 자연 경승 여덟 가지. 을밀상춘(乙密賞春)ㆍ부벽완월(浮碧玩月)ㆍ영명심승(永明尋僧)ㆍ보통송객(普通送客)ㆍ차문범주(車門泛舟)ㆍ연당청우(蓮塘聽雨)ㆍ용산만취(龍山晩翠)ㆍ마탄춘창(馬灘春漲)을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평양향후(平陽鄉侯) - 종요(鍾繇)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서예가. 호소(胡昭)와 함께 유덕승(劉德升)에게 글씨를 배우고, 해서(楷書)로 발전해가는 새로운 시대를 개척함으로써 왕희지(王羲之)와 더불어 ‘종왕(鍾王)’으로 병칭됨.
151~23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평양후(平陽侯) - 조수(曹壽)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외척. 전한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참(曹參)의 증손으로, 무제(武帝)의 누이 평양공주(平陽公主)와 결혼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평양후(平陽侯)@조참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와(平窩) - 윤탁(尹倬)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중(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사은(尹師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였고, 학문이 높아 조광조(趙光祖) 등에게 도학(道學)을 가르침.
1472~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평왜(平倭) - 종의지(宗義智)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 가신(家臣)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평운군(平雲君)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평원(平原)@원주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평원(平原) - 평원군(平原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의 공자(公子). 혜문왕(惠文王)의 동생으로 혜문왕(惠文王)ㆍ효성왕(孝成王) 때 재상이 되었으며, 전국 사군자(戰國四君子)의 한 사람으로 유명함.
?~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ㅣ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