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평원(平原)@숙천 - 숙천(肅川)
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평안도>숙천 , 지명>행정지명
-
평원국씨(平原麴氏) - 평원독우(平原督郵)
중국 평원(平原)에 격현(鬲縣)이 있는데, 격(鬲)은 격(膈)과 통용되어, 나쁜 술은 가슴[膈] 위까지만 머무른다는 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환온(桓溫)에게 술맛을 잘 아는 주부(主簿)가 있었는데, 그가 나쁜 술을 평원독우(平原督郵)라 부른 것에서 유래한 말로, 나쁜 술을 의미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평원군(平原君)@신해 - 신해(申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둘째 아들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냈으며, 숙부인 신경인(申景禋)의 계후(繼後)가 되어 평원군(平原君)에 봉해짐.
1598~163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평원군(平原君)@조박 - 조박(趙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낸 조사겸(趙思謙)의 아들.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오르지만,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功臣錄券)이 소각당함.
1356~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원군(平原君)@이계남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원군왕(平原郡王) - 한탁주(韓侂冑)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여주 방어사(汝州防御使)ㆍ태사(太師) 등을 지냈으나, 재상 조여우(趙汝愚)를 배척하고 주희(朱熹)의 이학(理學)을 위학(僞學)으로 모는 등 국정을 천단함. 북벌(北伐)을 주장하여 출병하였다가 실패하자 사미원(史彌遠)에게 죽임을 당함.
1152~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원부군(平原府君) - 임언수(林彦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삼사우사(三司右使) 임성미(林成味)와 문하시중(門下侍中)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로,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평원부수(平原副守) - 이신(李信)@이수기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의 둘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평원부원군(平原府院君)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평원이씨(平原李氏) - 원주이씨(原州李氏)
고려 전기에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이춘계(李椿桂)를 시조로 하는 구원주(舊原州) 계통과, 경주이씨(慶州李氏)에서 분관(分貫)한 원주백(原州伯) 이신우(李申佑)을 시조로 하는 신원주(新原州)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평원후(平原侯) - 하증(何曾)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소(何劭)의 아버지로, 무제(武帝) 때 태위(太尉)를 지냄. 의식(衣食)에 사치를 부려 하루에 1만 전(錢) 상당의 성찬을 먹고 지냈다 하며, 위(魏) 나라의 권신(權臣) 사마의(司馬懿)와 교분을 쌓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은군(平恩君) - 신찬(申澯)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평음후(平陰侯) - 유약(有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曾參)의 반박으로 무산됨.
B.C.5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평의지(平義智) - 종의지(宗義智)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 가신(家臣)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평익(平翼) - 문빈(文彬)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자(平子)@왕징 - 왕징(王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승상(丞相)을 지낸 왕연(王衍)의 동생으로 형주 자사(荊州刺史)를 지냈음. 청주 자사(靑州刺史)를 지낸 사촌형 왕돈(王敦)에게 죽음을 당했음.
267~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자(平子)@장형 - 장형(張衡)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문인. 부문(賦文)에 능하고, 천문(天文)ㆍ역학(曆學)에도 통달함. 안제(安帝)의 부름을 받아 대사령(大史令)이 되어 혼천의(渾天儀)를 비롯하여 후풍지동의(候風地動儀)를 만듦.
78~13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평자(平子) - 계손의여(季孫意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 대부. 삼환(三桓)의 하나인 계손씨(季孫氏)의 우두머리로 노 나라의 정권을 전횡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평장(平長) - 소서행장(小西行長)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평양(平壤)까지 침공하였으며,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덕천가강(德川家康)에 맞서 싸우다가 패하여 참수형을 받았으며, 카톨릭 신자로서 신앙심이 깊었음.
?~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장군(平將軍) - 종의지(宗義智)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 가신(家臣)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평재(平齋) - 박가항(朴可恒)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평재(平齋)@이강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평적(平賊)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정(平靖)@윤호 - 윤호(尹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탕로(尹湯老)와 성종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아버지로,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4~14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정(平靖) - 김극핍(金克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산(高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남. 이항(李沆)ㆍ심정(沈貞)과 함께 세간에 삼간(三奸)으로 지칭되었음.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평정(平靜) - 이말정(李末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백겸(李伯謙)의 아들.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되었으며, 문장(文章)에 능했음.
1395~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평조신(平調信) - 유천조신(柳川調信)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의 가신(家臣). 풍신수길(豐臣秀吉) 때부터 덕천막부(德川幕府)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柳川智永)ㆍ손자 유천조흥(柳川調興)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
1539~1605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평주군(平洲君) - 신화국(申華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아들 신잡(申磼)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자 평주부원군(平州府院君)에 추숭(追崇)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평주부원군(平州府院君) - 신화국(申華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아들 신잡(申磼)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자 평주부원군(平州府院君)에 추숭(追崇)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평주부원군(平洲府院君) - 신화국(申華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아들 신잡(申磼)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자 평주부원군(平州府院君)에 추숭(追崇)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평중(平仲)@강윤권 - 강윤권(姜允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달성(姜達成)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재감 정(司宰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평중(平仲)@오준 - 오준(吳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서용(敍用)되어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평중(平仲)@안영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평중(平仲)@이형 - 이형(李衡)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로,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문무의 재질이 있어 경상 병사(慶尙兵使)로 있다가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름.
1426~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평중(平仲)@이파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평중(平仲)@이준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중(平仲)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평중(平仲)@신준 - 신준(申埈)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중(平仲)@권열 - 권열(權挒)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시(權偲)의 아들.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무안 현감(務安縣監)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문신
-
평중(平仲)@성개 - 성개(成槪)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성석용(成石瑢)의 아들이자 문신 성희(成熺)의 아버지로,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평중(平仲)@조말생 - 조말생(趙末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태종(太宗)의 부마인 조선(趙璿)의 아버지. 조용(趙庸)의 문인으로,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등을 지냄.
1370~14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평중(平仲)@원균 - 원균(元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과 합세하여 옥포(玉浦) 등지에서 연승함.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으나, 정유재란 때 칠천량(漆川梁)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함.
1540~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중(平仲)@구준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평지(平之) - 포당(鮑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호주지사(湖州知事) 등을 지내고 시(詩)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청풍집(淸風集)》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평진(平津)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진후(平津侯)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천(平泉) - 육수성(陸樹聲)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장수일초(長水日鈔)》ㆍ《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ㆍ《다요기(茶寮記)》등이 있음.
1509~160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천군(平川君)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평천부원군(平川府院君) - 신잡(申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으로 활약하였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1~160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평청정(平淸正,) - 가등청정(加藤淸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武將). 풍신수길(豊臣秀吉)과 덕천가강(德川家康)을 도와 일본 전국 통일에 기여함. 독실한 불교신자여서 기독교 박해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함.
1562~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촌(坪村) - 윤형지(尹衡之)
조선 전기의 유학. 신광한(申光漢)이 보낸 시가 《기재집(企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평추(平酋)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치장(平治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평통후(平通侯) - 양운(楊惲)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사마천(司馬遷)의 외손으로, 곽씨(霍氏)의 모반(謀反)을 고변하여 열경(列卿)에 오르고 평통후(平通侯)에 봉해짐.
?~B.C.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평해군(平海君) - 신만(申漫)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후손. 경상 좌수사(慶尙左水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평해부수(平海副守) - 이담(李倓)
조선 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아들이며 영산부령(寧山副令) 이예윤(李禮胤)의 아버지로, 평해부수(平海副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평행장(平行長) - 소서행장(小西行長)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평양(平壤)까지 침공하였으며,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덕천가강(德川家康)에 맞서 싸우다가 패하여 참수형을 받았으며, 카톨릭 신자로서 신앙심이 깊었음.
?~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평호(平湖) - 이형손(李亨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어 가평군(嘉平君)에 봉해짐.
1418~149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후(平厚)@권충 - 권충(權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검교정승 권희(權僖)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형.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고 진하사(進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역임함.
1352~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평후(平厚) - 탁사정(卓思正)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탁원광(卓元光)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평흥군(平興君) - 신준(申埈)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폐군(廢君)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폐대비(廢大妃)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폐모(廢母)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폐비신씨(廢妃愼氏)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폐빈신씨(廢嬪愼氏)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폐왕(廢王)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폐조(廢朝)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폐주(廢主)@광해군 - 광해군(光海君)
조선의 제15대 왕. 재위 1608~1623.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으나, 대북(大北) 중심의 정치와 영창대군(永昌大君) 살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유폐 등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빌미를 제공함.
1575~16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폐주(廢主)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폐호(閉戶) - 권반(權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윤국형(尹國馨)의 문인(門人).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폐후윤씨(廢后尹氏) - 폐비윤씨(廢妃尹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함안(咸安).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로, 투기(妬忌)가 심하여 1479년(성종 8) 폐서인(廢庶人) 되고, 1482년(성종 11)에 사사(賜死)되었는데,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甲子士禍)의 원인이 됨.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포(包) - 이포(李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소생(李紹生)의 아버지로, 도염서 승(都染署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포(浦) - 양포(楊浦)
고려 고종(高宗) 때의 정승. 중화양씨(中和楊氏)의 시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토평할 때 공을 세운 양동무(楊東茂)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중화 , 인명>관인>문신
-
포(苞) - 박포(朴苞)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1차 왕자의 난에 대한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방간(李芳幹)을 충동하여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처형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포(褒)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포(誧)@신포 - 신포(申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시인ㆍ화가. 호를 장륙(藏六)이라 하였는데, 친구 이종준(李宗準)이 그 호를 탐내어 술 한 병과 바꾼 일화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포(誧)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포(𧦞) - 이포(李𧦞)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둘째 아들.
141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포^관(鮑^管) - 관^포(管^鮑)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과 대부인 포숙아(鮑叔牙)를 함께 부르는 말. 돈독한 우애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포견(鮑牽) - 포장자(鮑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경극(慶克)이 성맹자(聲孟子)와 간통한 사실을 포장자가 알고서 국좌(國佐)에게 말하였는데, 성맹자가 노기를 발해 참소하여 월형(刖刑)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포곡조(布穀鳥)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포공(褒公) - 단지현(段志玄)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고조 이연(李淵)의 거병(擧兵)에 천여 명의 병사를 모집해 참여하고, 태종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왕세충(王世充)을 토벌하는 등 당 나라 건국에 기여함.
?~64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포국공(褒國公) - 단지현(段志玄)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고조 이연(李淵)의 거병(擧兵)에 천여 명의 병사를 모집해 참여하고, 태종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왕세충(王世充)을 토벌하는 등 당 나라 건국에 기여함.
?~64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포녀(褒女) - 포사(褒姒)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幽王)의 비(妃). 유왕이 총애하여 신후(申后)를 폐하고 왕비로 삼았으며, 이로 인해 견융(犬戎)의 침공을 야기하여 주 나라가 멸망하게 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포대제(包待制)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포로(包老)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포로(圃老)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포로(圃老)@정몽주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포로동서원(甫老洞書院) - 도동서원(道東書院)@현풍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현풍(玄風)에 건립된 서원. 1605년(선조 38) 건립되어 배신(裵紳)ㆍ정구(鄭逑)ㆍ김굉필(金宏弼)ㆍ곽율(郭𧺝) 등을 배향함. 지금의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에 속함.
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포박자(抱朴子)@안기생 - 안기생(安期生)
중국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의 선인(仙人). 시황이 동쪽으로 순유(巡遊)할 때 그와 사흘밤을 함께 이야기하고서 황금(黃金)과 백벽(白璧)을 주었는데, 다 두고 가면서 “천년 후에 나를 봉래산(蓬萊山)에서 찾아달라.”는 글을 남겼다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포박자(抱朴子)@갈홍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포산(苞山)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포산(蒲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포산공(苞山公)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포산군(苞山君) - 곽부(郭郛)
고려 후기의 문신. 곽원진(郭元振)의 손자. 본관은 현풍(玄風). 추충익대공신(推忠翊戴功臣)으로, 벼슬이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포산로(苞山老)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포상(圃相)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포서(包胥)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포선(褒善) - 사포선(史褒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使)ㆍ대리시경(大理寺卿)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가 창궐할 때 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함.
1499~15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