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포선(逋仙)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포성(抱城)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포성(蒲城) - 봉선(奉先)
중국 섬서성(陜西省) 포성현(蒲城縣)의 지명. 두보(杜甫)의 시 ‘자경부봉선영회오백자(自京赴奉先詠懷五百字)’로 유명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포소(鮑昭) - 포조(鮑照)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며,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닦아 당(唐) 나라 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침. 시문에서 흔히 사영운(謝靈運)ㆍ안연지(顔延之)와 함께 병칭되며, 〈의행로난(擬行路難)〉 등 명작을 남김.
414?~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포숙(鮑叔) - 포숙아(鮑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관중(管仲)의 절친한 친구로, 제 나라 환공(桓公)에게 관중을 천거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포신(逋臣) - 정지산(鄭之産)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진주(晉州). 목사(牧使)를 지낸 정효안(鄭孝安)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낙향하여 공주(公州)의 동혈(銅岤)에 은거하면서 충과 효를 몸소 실천함.
1423~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암(圃巖)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포암(圃菴)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포암(蒲菴) - 이사명(李師命)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사헌(大司憲) 이민적(李敏迪)의 큰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책록되었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됨.
1647~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포옹(圃翁)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포옹(圃翁)@정몽주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옹(抱翁) - 정양(鄭瀁)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정종명(鄭宗溟)의 아들. 간성 군수(杆城郡守) 등을 지내고, 홍석(洪錫) 등과 교유하며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저서로 《어록해(語錄解)》ㆍ《포옹집(抱翁集)》 등이 있음.
1600~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포옹(逋翁)@상산사호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포옹(逋翁)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포옹(逋翁)@정지산 - 정지산(鄭之産)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진주(晉州). 목사(牧使)를 지낸 정효안(鄭孝安)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낙향하여 공주(公州)의 동혈(銅岤)에 은거하면서 충과 효를 몸소 실천함.
1423~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옹산인(抱雍散人)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포옹선생문집(抱翁先生文集) - 포옹집(抱翁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정양(鄭瀁)의 시문집. 8권 2책. 목활자본. 정양의 10대손인 정운호(鄭雲灝)가 편차하여 간행함.
1914 한국>근대 , 충청도>제천 , 문헌>서명
-
포은(圃隱)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은서원(圃隱書院) - 임고서원(臨皐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된 서원. 정몽주(鄭夢周)ㆍ장현광(張顯光)ㆍ황보인(皇甫仁) 등을 배향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 - 포은집(圃隱集)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몽주(鄭夢周)의 문집. 1439년(세종 21)에 아들 정종성(鄭宗誠)이 수집ㆍ편차하여 목판으로 간행함.
143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포은옹(圃隱翁)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음(圃蔭) - 장정필(張貞弼)
고려 태조(太祖) 때의 공신(功臣).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에서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이기는 데 크게 공을 세움.
898~978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포음(圃陰) - 김창즙(金昌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다섯째 아들. 조봉원(趙逢源)의 문인이며, 여섯 형제들이 문장의 대가(大家)라 육창(六昌)이라 불림. 아버지 김수항이 사사된 뒤 학문에 전념하였고,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냄.
1662~17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음(浦陰)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포자(鮑子) - 포숙아(鮑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관중(管仲)의 절친한 친구로, 제 나라 환공(桓公)에게 관중을 천거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포저(浦渚)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포정(圃亭)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포정(鮑亭) - 포석정(鮑石亭)
통일신라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구(石溝). 경상북도 경주(慶州) 금오산(金鰲山)의 서쪽에 있으며, 유상곡수(流觴曲水)라는 시회(詩會)를 벌이는 장소로 이용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포제(庖帝)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포주(抱州)@의주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포주(抱州) - 포천(抱川)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鐵原)을 접하고 있음.
경기도>포천 , 지명>행정지명
-
포주(浦洲) - 백휘(白揮)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포주성(抱州城)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포참군(鮑參軍) - 포조(鮑照)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며,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닦아 당(唐) 나라 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침. 시문에서 흔히 사영운(謝靈運)ㆍ안연지(顔延之)와 함께 병칭되며, 〈의행로난(擬行路難)〉 등 명작을 남김.
414?~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포청천(包靑天)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포초(圃樵) - 임보신(任輔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내고, 저서로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이 있음.
?~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포촌(浦村)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포희(包犧)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포희(包羲)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포희(庖犧)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포희(庖羲)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폭건선생(幅巾先生)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폭지(瀑池)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표(剽) - 상공(殤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58~B.C.547. 영희(甯喜)에게 시해됨.
?~B.C.54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표(彪)@최표 - 최표(崔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함.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표(彪) - 이표(李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표(彪)@김표 - 김표(金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경상 감사(慶尙監司)를 지낸 김지남(金止男)의 생부.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역임함.
1508~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표(表) - 유표(劉表)
중국 후한(後漢) 때의 군웅(群雄).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으로, 관도(官渡)의 싸움 때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덕망이 높아 유비(劉備) 등이 그에게 의탁함.
142~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표(豹) - 이표(李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손자이며,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표미(表微) - 위표미(韋表微)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史)ㆍ호부시랑(戶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표성(表聖) - 사공도(司空圖)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말에 환관이 발호하고 당쟁이 극심해지자 관직을 사임하고 중조산(中條山)의 왕관곡(王官谷)에 은거하며 시작(詩作)에 전력함.
837~9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표성(表聖)@전석 - 전석(田錫)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문신. 권신(權臣)과 귀총(貴寵)을 막론하고 누구든 잘못이 있으면 직언(直言)하여 평생 간쟁(諫諍)을 자신의 임무(任務)로 삼음.
94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표암공(瓢巖公) - 이알평(李謁平)
신라 사로육촌(斯盧六村) 중의 하나인 알천 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표옹(瓢翁)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표요(嫖姚)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표은(豹隱)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표직(杓直)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표직(標直)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표해록(漂海錄) - 금남집(錦南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최부(崔溥)의 시문집. 5권 5책. 목활자본. 외손자인 유희춘(柳希春)이 편집하여 1571년(선조 4)에 간행하였으며, 〈표해록(漂海錄)〉 등이 수록됨.
157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灃) - 이풍(李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맏아들로,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둘째 아들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로 계대(繼代)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豊) - 견풍(甄豊)
중국 전한(前漢)~신(新) 때의 문신. 유흠(劉歆)ㆍ왕순(王舜)과 함께 왕망(王莽)의 심복으로 왕망의 왕위 찬탈을 도움.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豊)@공풍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풍(馮) - 장공(莊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제위 B.C.710~B.C.692. 목공(穆公)의 아들로, 상공(殤公)에 의해 정(鄭) 나라로 쫒겨갔다가 화독(華督)이 상공을 시해하고 즉위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풍강(楓岡)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강(楓江)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풍검(豊劍) - 풍성검(豊城劍)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 두 보검(寶劍)을 이르는 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칼로, 걸출한 인재(人才)를 비유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풍계(楓溪)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풍고(楓皐) - 양사준(楊士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형 양사언(楊士彦), 동생 양사기(楊士奇)와 더불어 문명(文名)을 날려 당시에 중국의 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에 비유되었으며,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풍곡(楓谷)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기선생(豊基先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담(楓潭)@권극중 - 권극중(權克中)@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대사간(大司諫) 권덕여(權德輿)의 아들. 세마(洗馬)를 지냈으며, 성혼(成渾)ㆍ성문준(成文濬) 등과 교유함.
1560~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풍담(楓潭)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풍담도로(楓潭道老)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풍돈(楓墩) - 민유경(閔有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고, 이괄(李适)의 난(亂) 때 행재소(行在所)에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5~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풍령(楓嶺)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로(馮老) - 풍당(馮唐)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 중랑서장(中郞署長)으로 평생 미관말직에 있었으며, 문제가 흉노(匈奴)의 방비책을 묻자 직간(直諫)하여 칭찬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류광객(風流狂客)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풍림거사(楓林居士)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림부수(豐林副守) - 이백윤(李伯胤)
조선 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자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로, 풍림부수(豐林副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만(楓巒)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목지비(風木之悲) - 풍수지탄(風樹之嘆)
어버이가 세상을 떠나 모시지 못함을 탄식하는 말. 주(周) 나라 때의 고어(皐魚)가 어머니의 죽음에 탄식하며 “나무는 고요히 있으려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아들은 어버이를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라고 한 말에서 유래함.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풍발(馮跋) - 태조(太祖)@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1대 왕. 재위 409~430. 소성제(昭成帝)의 형으로, 후연(後燕)의 왕인 모용희(慕容熙)를 죽이고 모용운(慕容雲)을 왕위에 앉혔다가 모용운이 죽자 등극함.
?~4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풍산(楓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산(楓山)@장무 - 장무(章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 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 등을 지내고, 저서로 《풍산어록(楓山語錄)》ㆍ《풍산집(楓山集)》 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산군(楓山君) - 문익(文翼)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文公裕)ㆍ문공인(文公仁)의 아버지이며,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文克謙)의 조부. 요(遼) 나라에 가서 원자(元子)의 책명(冊命)을 받아왔고, 배불(排佛)를 주장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풍산군(豊山君)@이종린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산군(豊山君)@심응 - 심응(沈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 심정(沈貞)의 아버지로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산군(豊山君)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풍산군(豊山君)@심치 - 심치(沈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심귀령(沈龜齡)의 아들이자 와서 별좌(瓦署別坐) 심견(沈肩)의 아버지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사후 풍산군(豊山君)에 봉(封)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산군(豊山君)@임덕유 - 임덕유(任德裕)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임자송(任子松)의 아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풍산도정(豊山都正)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산백(豐山白)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풍산부령(豊山副令) - 이감(李瑊)@이계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증손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들.
?~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산부정(豐山副正) - 이외(李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의 아들이며, 청연수(淸淵守) 이숙의(李淑義)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산정(豊山正)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서(豐嶼) - 왕사기(王士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천 안찰부사(四川按察副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어왜서로감군(欽差禦倭西路監軍)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진린(陳璘) 등을 지휘하면서 활약함.
1551~161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서주인(風棲主人)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성(豊城)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성군(豊城君)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성군(豊城君)@이전 - 이전(李銓)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道承旨) 황섬(黃暹)의 장인임.
1525~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