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풍성부원군(豊城府院君)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성수(豊城守)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소(風騷) - 풍소궤범(風騷軌範)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이 엮은 고시집(古詩集). 한(漢)ㆍ위(魏)로부터 원말(元末)까지의 고시를 수록함. 전집 16권은 시체(詩體)로 편하고, 후집 29권은 내용 유형에 따라 분류함. 45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수(風樹) - 풍수지탄(風樹之嘆)
어버이가 세상을 떠나 모시지 못함을 탄식하는 말. 주(周) 나라 때의 고어(皐魚)가 어머니의 죽음에 탄식하며 “나무는 고요히 있으려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아들은 어버이를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라고 한 말에서 유래함.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풍승상(馮丞相)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신수가(豊臣秀家) -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때의 무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 때 행주(幸州) 싸움에서 대패하고, 정유재란 때 남원(南原)ㆍ전주(全州)를 점령하였다가 퇴각함.
1573~165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풍씨가례(馮氏家禮) - 가례집설(家禮集說)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풍선(馮善)이 편찬한 책. 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풍아(風雅) - 청구풍아(靑丘風雅)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종직(金宗直)의 시선집(詩選集). 7권 1책. 갑진자(甲辰字) 활자본. 신라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시(詩)를 뽑아 수록하고, 간략한 주석(註釋)과 비평을 붙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악(楓岳)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악(楓嶽)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악산(楓岳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풍악서당(豐岳書堂) - 병산서원(屛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63년(철종 14)에 사액됨.
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풍악서원(豐岳書院) - 병산서원(屛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63년(철종 14)에 사액됨.
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풍안군(豊安君)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안부부인(豐安府夫人) - 인선왕후(仁宣王后)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로, 병자호란 후 인질로 잡혀가는 봉림대군(鳳林大君:효종)을 따라 심양(瀋陽)에 가서 8년을 머묾. 1649년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고, 현종(顯宗) 등 1남 6녀를 낳음.
1618~16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풍암(楓岩) - 권식(權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창(權應昌)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뒤 통례랑(通禮郞)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암(楓巖)@김덕보 - 김덕보(金德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의병. 본관은 광산(光山). 김붕섭(金鵬燮)의 아들로, 임진왜란ㆍ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71~162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풍암(楓巖) - 임복(林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에 등용되었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삭주(朔州)에 유배되었다가 고향에 은거함.
1521~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풍암(楓庵) - 문위세(文緯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임계영(任啓英)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담 현령(龍潭縣令)이 되었고, 정유재란 때에도 왜적을 무찌른 공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에 제수됨.
1534~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풍암(豊巖)@이지원 - 이지원(李之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와 교유했으며, 이이가 그의 집에 가서 주고받은 시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풍암(豊巖) - 고성(高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해안의 요지이며 해금강(海金剛)의 명승지.
강원도>고성 , 지명>행정지명
-
풍애(楓厓)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애(楓厓)@이인손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애(楓崖)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애(楓崖)@우선언 - 우선언(禹善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노자(老子)ㆍ장자(莊子)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淸談派)의 한 사람으로, 자신을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비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풍애선생집(楓崖先生集) - 풍애집(楓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인 안민학(安敏學)의 문집. 1802년(순조 2) 6세손 안태원(安泰源) 등에 의해 면천(沔川)의 숭학사(崇學寺)에서 2권 1책의 활자로 인행됨.
18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문헌>서명
-
풍영왕(馮瀛王)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영정(風詠亭)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옥헌(風玉軒) - 조수륜(趙守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豐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동문들과 함께 《우계집(牛溪集)》을 편집ㆍ출간함.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냈으나, 신율(申慄)의 역옥(逆獄)에 연루되어 옥사(獄死)함.
1555~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풍원군(豊原君)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조현명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원위(豊原尉) - 임숭재(任崇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딸인 휘숙옹주(徽淑翁主)의 남편으로, 1504년(연산군 10) 장악원 제조(掌樂院提調)에 임명됨. 충신을 비방하고 음란한 행위를 하는 등 비행을 일삼음.
?~150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풍월정(風月亭)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월한인(風月閑人)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풍월헌(風月軒) - 하인서(河麟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인 하항(河沆)의 아버지로, 1531년(중종 2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풍은군(豐恩君) - 유종춘(柳宗春)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운(柳澐)의 아들로, 도사(都事)를 지냄. 정유일(鄭惟一)의 《문봉집(文峯集)》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遠接使)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
1720~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이(馮夷) - 풍이(馮異)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즉위하기 전의 광무제를 도와 왕랑(王郞)을 격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하였으며, 성품이 겸손하여 여러 장수들이 서로 공을 논할 때면 늘 나무 밑으로 피해 있었으므로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고 일컬어짐.
?~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풍이(馮夷)@하백 - 하백(河伯)
고대 전설상의 황하(黃河)의 수신(水神).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東明王)의 외조부이며, 낙수(洛水)의 여신(女神) 복비(宓妃)의 남편이라고 알려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풍자(馮子) - 풍당(馮唐)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 중랑서장(中郞署長)으로 평생 미관말직에 있었으며, 문제가 흉노(匈奴)의 방비책을 묻자 직간(直諫)하여 칭찬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중산(豊中山) - 융중산(隆中山)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현(襄陽縣)의 서쪽에 있는 산 이름. 촉한(蜀漢) 때의 재상인 제갈량(諸葛亮)이 전란을 피하여 이곳에 초막을 짓고 은거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풍창군(豊昌君) - 유운(柳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정조(正祖) 때 도사(都事) 등을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으며, 풍창군(豊昌君)에 습봉(襲封)됨.
1701~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천(楓川)@양릉정 - 양릉정(陽陵井)
경기도 개성(開城) 남쪽 8리 지점에 있는 우물 이름. 개성대정(開城大井)ㆍ광명사정(廣明寺井)과 함께 개성의 삼대신정(三大神井)으로 일컬어지며, 1370년(공민왕 19) 명(明) 나라의 사신인 도사(道士) 서사호(徐師昊)가 이곳에 와서 제사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기타유적
-
풍천(楓川) - 김훈(金訓)
조선 전기의 문인.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ㆍ서호(徐皥) 등과 교유하였으며, 박흥생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문인
-
풍천(楓川)@정수홍 - 정수홍(鄭守弘)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가종(鄭可宗)의 아들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권근(權近)ㆍ하륜(河崙)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풍천군(豊川君)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풍천백(豊川伯) - 노지(盧址)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셋째 아들로, 고려 초에 풍천백(豊川伯)에 봉해짐. 풍천노씨(豊川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풍천위(豊川尉) - 임광재(任光載)
조선 예종(睿宗)의 부마. 예종의 장녀 현숙공주(顯肅公主)의 남편으로, 성종(成宗)이 총애하여 상사(賞賜)와 어찰(御札)을 하루도 빠짐없이 내렸으나, 뒤에 기생 관계의 일로 귀양보내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왕실>인척
-
풍태후(馮太后) - 문성문명황후(文成文明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문성제(文成帝)의 황후(皇后). 헌문제(獻文帝)의 적모(嫡母)이며 효문제(孝文帝)의 적조모(嫡祖母). 헌문제가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수렴청정을 했는데, 헌문제가 태후의 총신인 이혁(李弈)을 죽이자 태후는 헌문제를 시해함.
442~4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풍해군(豊海君)@이잠 - 이잠(李潛)@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손자로, 능해군(綾海君) 구성(具宬)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해군(豊海君) - 이함(李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황주 목사(黃州牧使)를 지내고,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풍해군(豊海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형(豊亨) - 윤풍형(尹豊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석보(尹碩輔)의 아들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낼 때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풍홍(馮弘)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2대 왕. 풍발(馮跋)의 아우로, 북위(北魏)의 침략으로 용성(龍城)이 함락되자 고구려(高句麗)로 도망하였으나, 후에 장수왕(長壽王)에게 죽임을 당함.
?~43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풍후(風后)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풍훤(馮諼) - 풍환(馮驩)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인물. 재상인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으로 있으면서 맹상군의 안위를 위한 충언(忠言)을 아끼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피구자(披裘子)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필(㻶) - 김필(金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헌납(獻納) 김괴(金塊)의 아버지.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㻶)@노필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필(㻶)@황필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필(佖)@경필 - 경필(慶佖)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을 지낸 경준(慶俊)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필(佖) - 왕필(王佖)
고려 후기의 종친. 이규보(二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시흥백필위회안공(始興伯佖爲淮安公)〉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필(弼)@유필 - 유필(庾弼)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태자 태사(太子太師)ㆍ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역임하며 학문과 강직한 성품으로 칭송을 받음.
?~1155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필(弼) - 고필(古弼)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문신. 머리가 뾰족하여 태종(太宗)이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필(泌) - 조필(趙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생원(生員) 조희(趙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필(珌) - 김필(金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필(韠) - 권필(權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야인으로 일생을 살면서 많은 작품을 남김.
1569~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필간(必簡) - 두심언(杜審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두보(杜甫)의 할아버지로,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 등을 지냄. 이교(李嶠)ㆍ최융(崔融)ㆍ소미도(蘇味道)와 함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8~7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필경(弼卿) - 최충성(崔忠成)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학행이 뛰어났으며, 스승의 사상을 이어받아 《소학(小學)》 교육을 중시하고 이단(異端) 배척을 강조함.
1458~14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
-
필공(筆公) - 고필(古弼)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문신. 머리가 뾰족하여 태종(太宗)이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필녕(弼寧) - 박필녕(朴弼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박주종(朴周鍾)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필달(必達) - 최필달(崔必達)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강릉최씨(江陵崔氏) 경주계(慶州系)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개국찬화공신(三韓壁上開國贊化功臣)에 책록되고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첨의좌정승(領僉議左政丞)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필대(必大) - 오필대(吳必大)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이학(理學)에 통달하여 명성이 높았지만 일찍 죽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필두(筆頭) - 고필(古弼)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문신. 머리가 뾰족하여 태종(太宗)이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필문(弼文) - 남필문(南弼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밀양(密陽) 사촌(士村) 마을에 거처하며 학문을 닦았고, 벼슬은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필문(畢門)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필보(弼甫)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필보(弼甫)@윤사흔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필상(弼商) - 윤필상(尹弼商)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경(尹埛)의 아들로, 세조의 신임과 총애를 받고, 적개공신(敵愾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자결함.
142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필성(必成) - 유필성(兪必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유해(兪瀣)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필신(弼臣) - 구필신(具弼臣)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필오(必吾) - 민재문(閔在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민천부(閔天符)의 아들.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필옥(筆玉) - 김필(金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헌납(獻納) 김괴(金塊)의 아버지.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운(弼雲)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필운산(弼雲山) - 인왕산(仁王山)
서울 북부에 있는 산 이름. 서울 진산(鎭山) 중 하나로, 조선시대부터 명산(名山)으로 불림.
서울 , 지명>자연지명
-
필원(必遠)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재(畢齋)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필재(畢齋)@박광우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적(必迪) - 왕필적(王必迪)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여 활약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필주(弼周)@정필주 - 정필주(鄭弼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광주 판관(光州判官)을 지낸 정회아(鄭懷雅)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필주(弼周) - 신필주(辛弼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역임함. 충재(冲齋) 권벌(權橃)ㆍ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교유하였음.
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필주(弼周)@강필주 - 강필주(姜弼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생원 강희철(姜熙哲)의 아버지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필중(弼仲) - 임보신(任輔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내고, 저서로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이 있음.
?~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지(弼之) - 김공량(金公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연산군 때 스승인 묵재(默齋) 이심원(李深源)과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1472~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필직(弼直) - 심견(沈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심치(沈寘)의 아들로, 와서 별좌(瓦署別坐)를 역임함.
1426~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필형(弼亨) - 임필형(任弼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형(必亨) - 김제겸(金濟謙)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아들.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은 3학사(學士)의 한 사람으로,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680~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필휴(匹休) - 이견기(李堅基)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성절사(聖節使)ㆍ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핍(愊) - 이핍(李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何) - 김하(金何)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자지(金自知)의 아들.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 나라 사신을 접대하고 자주 중국에 내왕하였음.
?~14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하(河) - 이하(李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된 이식(李埴)의 둘째 아들이며 이굉(李宏)ㆍ이완(李完)의 아버지로, 예안 훈도(禮安訓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