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하(河)@표하 - 표하(表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을충(表乙忠)의 아들로, 온수 감무(溫水監務)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하(碬) - 김하(金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세업(金世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하(荷) - 고하(高荷)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난주 통판(蘭州通判) 등을 지냈으며,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賀)@송하 - 송하(宋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 송세증(宋世曾)의 아들로, 옥당(玉堂)과 승지(承旨)를 지냄.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賀) - 권하(權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심양왕 고(瀋陽王暠)와 같은 당(黨)이 되었다가, 1328년(충숙왕 15) 김온(金溫)ㆍ조식(趙湜)ㆍ전굉(田宏) 등과 순군옥(巡軍獄)에 하옥된 뒤 유배되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하^강(河^江) - 강^하(江^河)
중국에서 가장 긴 강인 양자강(揚子江)과 두 번째로 긴 황하(黃河)를 함께 부르는 말.
지명>기타지명
-
하각재(河覺齋)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간(河間)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간왕(河間王)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간헌왕(河間獻王)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간효왕(河間孝王) - 목황(穆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아들. 하간왕(河間王)에 봉해졌으며, 평소 예절을 좋아하여 관리들의 존경을 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하강(夏康) - 태강(太康)
중국 하(夏) 나라 제3대 왕. 우(禹)의 손자이며, 계(啓)의 아들로, 사냥을 좋아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후예(后羿)에게 쫓겨났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거(河渠)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겸재(河謙齋)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경(夏卿) - 왕진(王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왕유(王維)의 동생으로 형제간의 우애가 각별하여 자신의 관직을 감등하여 형의 죄를 속죄함. 안록산(安祿山)의 난 때 태원(太原)의 소윤(少尹)이 되어 태원을 지킴.
700~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경(夏卿)@조상우 - 조상우(趙相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인. 본관은 양주(楊州).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참판(參判)에 증직되고, 온양(溫陽)에 있는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됨.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하경(夏卿)@이기하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하경(夏卿)@이익하 - 이익하(李翊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두원(斗元) 이추(李樞)의 아들이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낸 이정(李珽)의 아버지.
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문인
-
하계(下季)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하계(霞溪)@권유 - 권유(權愈)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근(權近)의 후손. 1665년(현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곧 죽음.
1633~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하계(霞溪) - 이가순(李家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귀서(李龜書)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에서 수학할 때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음. 교리(校理) 등을 지내며,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데 힘씀.
1768~18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계진(賀季眞)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고(河鼓) - 견우(牽牛)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남자 주인공. 견우성(牽牛星)을 의인화한 것으로, 매년 칠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곡(河曲)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하곡(荷谷)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곡(霞谷) - 조태구(趙泰耉)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우의정 조사석(趙師錫)의 아들. 소론의 영수로 1721년(경종 1)에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을 역모죄로 몰아 사사(死賜)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오름.
1660~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곡선생집(荷谷先生集) - 하곡집(荷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허봉(許篈)의 문집. 목판본. 동생 허균(許筠)이 유고를 수집하여, 황해도(黃海道) 수안 군수(遂安郡守)로 있으면서 간행함.
160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수안 , 문헌>서명
-
하관선생(何關先生) - 이우직(李友直)@152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선조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부묘제(祔廟祭)를 마치고 정기(呈技)를 관람하자 이를 비판하다 파직되었으며, 다시 등용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교(河橋) - 어양교(漁陽橋)
중국 계주(薊州)에 있는 다리 이름. 당(唐) 나라의 안녹산(安祿山)과 양귀비(楊貴妃)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 연행(燕行)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
중국>당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하구려후(下句麗侯)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하구정(下鷗亭)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하구정(下𩿨亭)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하귀동(河龜童) - 하원(河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하소지(河紹地)의 아들.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르고, 국명(國命)에 따라 중부(仲父)인 하위지(河緯地)의 후사를 이음.
1451~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하남(河南)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하남군(河南君) - 정숭조(鄭崇祖)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벼슬에 올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하남군(河南君)에 봉해졌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거쳐 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에 진봉(進封)됨. 경사(經史)에 밝았음.
1442~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남군공(河南郡公) - 저수량(褚遂良)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태종의 총신으로 애주 자사(愛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고종에게 간언(諫言)하다 죽임을 당함. 우세남(虞世南)ㆍ구양순(歐陽詢)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명필(名筆)로 꼽힘.
596~65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하남도(河南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하남백(河南伯)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 - 정숭조(鄭崇祖)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벼슬에 올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하남군(河南君)에 봉해졌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거쳐 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에 진봉(進封)됨. 경사(經史)에 밝았음.
1442~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남부자(河南夫子)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 - 위례성(慰禮城)
백제 시조 온조왕(溫祚王) 때부터 475년(문주왕 1)까지의 도읍지. 그 위치에 대해서는 충청도 직산(稷山)ㆍ전라도 익산(益山)ㆍ경기도 광주(廣州) 등 여러 주장이 있음.
한국>백제 , 지명>행정지명
-
하남정씨(河南程氏)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남처사(河南處士)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담(河淡) - 박하담(朴河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학행(學行)으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淸道)의 운문산(雲門山) 아래에 소요당(逍遙堂)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 김대유(金大有)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1479~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문인
-
하담(荷潭)@김시양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하담(荷潭)@이희득 - 이희득(李希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령(河東副令) 이유(李裕)의 아들이자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동생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25~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담(荷潭)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담(霞潭)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하당(荷塘)@허봉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당(荷塘)@김첨 - 김첨(金瞻)@1542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한(典翰) 김홍도(金弘度)의 아들.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知禮縣監)으로 좌천되고, 1584년(선조 17)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죽음.
15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하당(荷塘) - 권두인(權斗寅)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
1643~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당(霞堂)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하당(霞堂)@서하당 - 서하당(棲霞堂)
조선 명종(明宗) 때 김성원(金成遠)이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정자. 1560년(명종 15)에 식영정(息影亭)의 북쪽에 건립하고 자신의 호(號)를 따서 명명함. 현재 담양(潭陽)에 속함.
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누정
-
하당선생문집(荷塘先生文集) - 하당집(荷塘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두인(權斗寅)의 시문집. 1810년(순조 10) 저자의 5대손인 권재덕(權載德)이 주관하여 원집 8권과 속집 2권을 목판으로 간행함.
18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하당주인(霞堂主人)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하대이(河大而) - 하응림(河應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서(書)ㆍ화(畫)에도 능했음.
153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동(河東)@유개 - 유개(柳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경학에 능통하고 시문을 잘 지었으며, 저서로 《하동집(河東集)》이 있음. 《소학(小學)》에 형제간의 우애를 단속하는 유개의 말이 실려 있음.
947~10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동(河東)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하동공(河東公) - 유공권(柳公權)@고려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씀.
1132~119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하동군(河東君)@이유 - 이유(李裕)@이승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들이며 이희량(李希良)ㆍ이희검(李希儉)의 아버지. 사장(詞章)과 필법이 탁월함.
1488~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동군(河東君)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동녀(河東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동부령(河東副令) - 이유(李裕)@이승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들이며 이희량(李希良)ㆍ이희검(李希儉)의 아버지. 사장(詞章)과 필법이 탁월함.
1488~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정희수 - 정희수(鄭希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지(鄭麟趾)의 현손이며 신성수(信城守) 이희(李曦)의 사위.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장인으로 충의위 사과(忠義衛司果)를 지냄.
1516~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락(河洛)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량(河量) - 홍하량(洪河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부림(缶林). 장사랑(將仕郞) 홍수약(洪守約)의 아들이고, 장흥효(張興孝)의 문인. 유진(柳袗)ㆍ김응조(金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으며, 정구(鄭逑)가 독학군자(篤學君子)라고 칭찬함.
1588~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하렴인(下簾人) - 엄준(嚴遵)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 《노자지귀(老子指歸)》의 저자로, 원래 성은 장씨(莊氏)였으나 명제(明帝)의 이름을 피휘하여 엄씨(嚴氏)로 고쳤다 함.
B.C.73~A.D.17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령군(河寧君) - 이양(李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ㆍ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손자이며, 완천군(完川君) 이숙(李淑)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피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하로(河老)@채하로 - 채하로(蔡河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찬성사(贊成事) 채홍철(蔡洪哲)의 아들로, 판종부사사(判宗簿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문신
-
하로(河老)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로(霞老)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하로서원(賀老書院) - 경렴서원(景濂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금산(金山)의 감천면(甘川面)에 건립된 서원. 김종직(金宗直)․최선문(崔善門)․이약동(李約東)․조위(曺偉)․김시창(金始昌) 등을 배향함.
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하릉군(河陵君) - 이린(李鏻)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둘째 아들이자 선조(宣祖)의 형으로, 중종(中宗)의 세 번째 서자인 금원군(錦原君)에게 출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통천(通川)에서 죽음.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하릉정(河陵正) - 이린(李鏻)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둘째 아들이자 선조(宣祖)의 형으로, 중종(中宗)의 세 번째 서자인 금원군(錦原君)에게 출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통천(通川)에서 죽음.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하림(河臨) - 최하림(崔河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최계사(崔季思)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태학생으로 있을 때 승려인 학조(學祖)의 무리가 불상(佛像)을 이용하여 혹세무민(惑世誣民)하자, 그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문을 올림.
1454~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하박(河泊) - 하백(河伯)
고대 전설상의 황하(黃河)의 수신(水神).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東明王)의 외조부이며, 낙수(洛水)의 여신(女神) 복비(宓妃)의 남편이라고 알려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방(夏逄)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하봉(夏逢)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하부(夏部) - 병부(兵部)
6부(六部)의 하나로 군정(軍政)ㆍ병마(兵馬)ㆍ무기고(武器庫) 등을 관장하던 관제(官制). 고려시대에 상서육부(尙書六部)의 하나로 설치ㆍ유지되다가 뒤에 병조(兵曹)로 바뀌어 조선에 이어짐.
법제>제도
-
하북산(何北山) - 하기(何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 왕백(王柏)ㆍ김이상(金履祥)ㆍ허겸(許謙) 등과 함께 ‘금화사선생(金華四先生)’으로 일컬어짐.
1188~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북위례성(河北慰禮城) - 위례성(慰禮城)
백제 시조 온조왕(溫祚王) 때부터 475년(문주왕 1)까지의 도읍지. 그 위치에 대해서는 충청도 직산(稷山)ㆍ전라도 익산(益山)ㆍ경기도 광주(廣州) 등 여러 주장이 있음.
한국>백제 , 지명>행정지명
-
하분(河汾) - 왕통(王通)
중국 수(隋) 나라의 학자. 기본 바탕은 유학에 두고 유ㆍ불ㆍ도 합일을 주장했으며, 제자 중에서 당(唐) 나라의 문무대관이 된 사람들이 많음.
584~617 중국>수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하비후(下邳侯) - 육길(陸吉)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나오는 가공의 인물.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빈사(河濱祠) - 낙빈서원(洛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하위지(河緯地)ㆍ이개(李塏) 등 사육신을 배향함.
16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하산(夏山)@성몽정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산(夏山) - 성간(成侃)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나 요절함.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궁사(宮詞)〉ㆍ〈신설부(新雪賦)〉 등의 작품을 남김.
1427~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산(夏山)@성세창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하산군(夏山君)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산성씨(夏山成氏) - 창녕성씨(昌寧成氏)
고려 때 중윤(中尹) 호장(戶長)을 지낸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하산조씨(夏山曺氏) - 창녕조씨(昌寧曺氏)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사위로 전해지는 조계룡(曺繼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하서(河西)@강릉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하서(河西)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서(河西)@울산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하서량(河西良)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하서병부(河西病夫)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서사백(河西詞伯)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서서원(河西書院) - 필암서원(筆巖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건립한 서원. 1662년(현종 3)에 사액되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변성온(卞成溫)ㆍ양자징(梁子澂) 등을 배향함.
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 - 하서전집(河西全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문집. 15권. 김인후의 문인인 양자징(梁子澂)ㆍ신각(申覺)이 편집ㆍ교정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송찬(宋贊)의 도움으로 간행함. 조희문(趙希文)의 서문(序文)이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 - 하서전집(河西全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문집. 15권. 김인후의 문인인 양자징(梁子澂)ㆍ신각(申覺)이 편집ㆍ교정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송찬(宋贊)의 도움으로 간행함. 조희문(趙希文)의 서문(序文)이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