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하서자(河西子)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서집(河西集) - 하서전집(河西全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문집. 15권. 김인후의 문인인 양자징(梁子澂)ㆍ신각(申覺)이 편집ㆍ교정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송찬(宋贊)의 도움으로 간행함. 조희문(趙希文)의 서문(序文)이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하석(霞石)@박정 - 박정(朴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선(朴東善)의 아들로,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596~163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하석(霞石) - 성근묵(成近默)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학(才學)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 등을 지냈으며,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
1784~18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하선암(下仙巖) - 선암(仙巖)
충청북도 단양(端陽)에 있는 암벽 이름. 단양팔경(丹陽八景)의 하나.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하성군(夏城君) - 성수재(成秀才)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된 이교(李嶠)의 장인으로, 절도사(節度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하성군(河城君)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하성군(河城君)@정현조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 - 조익청(曺益淸)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민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侍從)한 공으로 수종공신(隨從功臣)에 책록됨.
?~135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정흥인 - 정흥인(鄭興仁)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정을귀(鄭乙貴)의 아들이며, 정인지(鄭麟趾)의 아버지. 정도전(鄭道傳)의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에 추증됨.
?~14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진위도(陳衛道) - 진공(陳鞏)
중국 송(宋)의 유학. 선학(禪學)에 심취하여 주희(朱熹)와 함께 선학(禪學)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편지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진유(眞儒) - 이진유(李眞儒)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소론(小論)의 영수 윤증(尹拯)을 비난한 권상하(權尙夏)ㆍ정호(鄭澔)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삭출(削黜)되었으며, 김일경(金一鏡) 등과 함께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킴. 추자도(楸子島)에 유배되어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을 지음.
1669~17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의(振衣) - 민여임(閔汝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 나라 장수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냄.
1559~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진일(眞逸)@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일(眞逸) - 성간(成侃)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나 요절함.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궁사(宮詞)〉ㆍ〈신설부(新雪賦)〉 등의 작품을 남김.
1427~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일재(眞一齋) - 유숭조(柳崇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성(大司成)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 저서로 《진일재집(眞一齋集)》이 있음.
1452~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일재(眞逸齋) - 성간(成侃)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나 요절함.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궁사(宮詞)〉ㆍ〈신설부(新雪賦)〉 등의 작품을 남김.
1427~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일재집(眞逸齋集) - 진일유고(眞逸遺藁)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형인 성임(成任)이 수집하고 동생인 성현(成俔)이 편집하여 1467년(세조 13) 간행함. 서거정(徐居正)ㆍ성현의 서문과 이윤보(李胤保)의 발문이 실려 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진임천(陳林川) - 진암수(陳巖壽)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어려서부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내자 판관(內資判官)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457~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진자(陳子) - 진번(陳蕃)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위(太尉)ㆍ태부(太傅) 등을 지냈으나, 정권을 독점한 환관(宦官)들을 공박하다가 도리어 당인(黨人)이라고 지목되어 종신토록 금고(禁錮)됨.
?~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장(眞長) - 유담(劉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명제(明帝)의 부마(駙馬). 사안(謝安)의 장인이자, 왕희지(王羲之)의 절친한 벗으로, 단양 윤(丹楊尹) 등을 지냈으며, 당대의 인걸로 칭송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진재(眞齋) - 김종후(金鍾厚)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민우수(閔遇洙)의 문인(門人).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
1721~17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진재(進齋)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진재경(陳才卿)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재서씨(進齋徐氏) - 서기(徐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절재(節齋) 채연(蔡淵)의 문인(門人)으로 경사(經史)에 능하였으며, 특히 《주역(周易)》에 정통하여 《진재역설(進齋易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정(眞精)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진정(秦政)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정(震楨) - 유진정(柳震楨)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인홍(鄭仁弘)의 생질로, 폐모론(廢母論)에 찬성하였다가 인조반정 후 금성(金城)에 유배되고, 아들 유지욱(柳之煜)이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역모죄로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진제(秦帝)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제대사(眞際大師) - 종심(從諗)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남전 보원(南泉普願)의 법제자로, 조주(趙州)의 관음원(觀音院)에 있으면서 불교를 전양(傳揚)하는 데 힘을 다하여 당시에 조주문풍(趙州門風)이라 불림. 승려 하나가 조주에게 달마가 서쪽에서 온 뜻[祖師西來意]이 무엇이냐고 묻자, 뜰 앞에 있는 잣나무[庭前栢樹子]라고 대답한 유명한 일화가 있음.
375~44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진조당(眞操堂)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진종(振宗) - 김진종(金振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다 죽음.
149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진종(晉鍾) - 종요(鍾繇)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서예가. 호소(胡昭)와 함께 유덕승(劉德升)에게 글씨를 배우고, 해서(楷書)로 발전해가는 새로운 시대를 개척함으로써 왕희지(王羲之)와 더불어 ‘종왕(鍾王)’으로 병칭됨.
151~23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진주(珍珠)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진주(眞州)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진주(辰州) - 개주(蓋州)
중국 요녕성(遼寧省) 동북쪽에 위치한 주(州) 이름. 고구려(高句麗)와 당(唐) 나라의 전쟁 때 당 나라의 장수 이세적(李世勣)이 고구려의 개갈모성(蓋葛牟城)을 함락시키고 개주(蓋州)로 만듦.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진주부원군(晉州府院君)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중(陳仲) - 진중자(陳仲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은자. 맹자(孟子)는 그를 나라의 제일 큰 선비로 인정하면서도 사람의 윤리를 저버리고 소소한 청렴에 급급했다 하여 비난한 바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진중거(陳仲擧) - 진번(陳蕃)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위(太尉)ㆍ태부(太傅) 등을 지냈으나, 정권을 독점한 환관(宦官)들을 공박하다가 도리어 당인(黨人)이라고 지목되어 종신토록 금고(禁錮)됨.
?~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지(珍之) - 평원대군(平原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째 아들.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의 소생으로, 부사(府使) 홍이용(洪利用)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427~14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진지(鎭之)@이광악 - 이광악(李光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1584년(선조 1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곤양 군수(昆陽郡守)ㆍ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57~16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지(鎭之)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진직경(陳直卿) - 진세량(陳世良)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진진(眞眞) - 고순(高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본관은 제주(濟州). 남효온(南孝溫), 신영희(辛永禧) 등과 교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문인
-
진창군(晉昌君) - 강인(姜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55~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처사(晉處士)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진천(晉川)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진천군(晉川君)@강혼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천군(晉川君)@유지정 - 유지정(柳之淀)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개성윤(開城尹)을 지낸 유간(柳玕)의 아들로,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를 지냈고, 진천군(晉川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천군(晉川君)@유홍 - 유홍(柳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북병사(北兵使) 등 변경 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8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천군(晉川君) - 유구(柳玽)@1335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조선 건국 후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진천군(晉川君)에 봉해졌으며, 예문춘추관 태학사(藝文春秋館太學士)를 지냄.
1335~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천군(晉川君)@유구 - 유구(柳䪷)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무신ㆍ공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 유근(柳根)의 손자이며 구굉(具宏)의 사위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1597~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천군(晉川君)@이옥정 - 이옥정(李玉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4대손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오르고,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동생 이옥곤(李玉崑)과 함께 국문을 받음.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천군(晉川君)@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천뢰(震天雷) -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조선 선조(宣祖) 때 발명ㆍ사용되었던 화기(火器). 보물 제860호. 군기시(軍器寺)의 화포장(火砲匠) 이장손(李長孫)이 발명하여 임진왜란 때 그 위력을 발휘함.
한국>조선후기 , 물품>기타용품>무기
-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강혼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천태(陳天台)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촉(晉矗) - 촉석루(矗石樓)
고려 고종(高宗) 때 경상남도 진주(晉州) 본성동(本城洞)에 세워진 누각.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의 명승으로, 임진왜란 때 논개(論介)가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함.
124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누정
-
진충(盡忠) - 나진충(羅盡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나승중(羅承重)의 아버지로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충숙(陳忠肅)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충좌명공신(盡忠佐命功臣) - 좌명공신(佐命功臣)
조선 태종(太宗) 1년에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의 즉위에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네 등급으로 나누어 이저(李佇)ㆍ이거이(李居易) 등 총 47명에게 내림. 후에 태종의 왕권강화책에 따라 일부가 제거됨.
1401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진침(秦鍼) - 영침(嬴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경공(景公)의 동생으로, 환공이 둘째 아들인 자신을 총애하자 어머니의 충고를 받아들여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진타(陳佗) - 여공(厲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陳) 나라의 제후. 진(陳) 문공(文公)의 아들이자 환공(桓公)의 아우. 환공이 죽자 조카인 태자 면(免)을 죽이고 제후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태(振泰) - 유진태(柳振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진태구(陳太丘) - 진식(陳寔)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태구 현령(太丘縣令)을 지냄. 아들 진기(陳紀)ㆍ진심(陳諶)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 양상군자(梁上君子)란 고사로도 유명함.
104~18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평(晉平) - 최항(崔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우(崔瑀)의 서자로, 집권 초기에는 과중한 세금을 경감하고 탐관오리를 소환하는 등의 정책을 펼쳐서 인망을 얻었으나, 점차 호사와 향락을 일삼고 몽고(蒙古)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함.
?~125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평대군(晉平大君)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진하(鎭河) - 김진하(金鎭河)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김기중(金基中)의 아들로, 삼사(三司)의 청직(淸職)을 두루 거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86~18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진한(辰韓)@경상도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진한정효공(辰韓定孝公) - 진안대군(鎭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고려 창왕(昌王)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강회백(姜淮伯)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親朝)를 청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진안군(鎭安君)에 봉해짐.
1354~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진한춘추(晉漢春秋) - 한진춘추(漢晉春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습착치(習鑿齒)가 지은 역사서.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로부터 진 나라의 민제(愍帝)까지를 내용으로 하였으며, 촉(蜀) 나라를 정통으로 하고 위(魏) 나라를 찬탈(簒奪)로 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진해(秦亥) - 이세(二世)
중국 진(秦)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B.C.209~B.C.207. 시황제(始皇帝)의 둘째 아들로, 시황제가 죽자 이사(李斯)와 조고(趙高)에 의해 황제로 옹립됨. 방탕한 생활로 진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으며, 조고의 협박을 받아 자살함.
?~B.C.207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헌(晉獻) - 헌공(獻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76~B.C.651. 무공(武公)의 아들로, 주변국을 정벌하여 강대국을 만들었으나. 총희(寵姬)인 여희(驪姬)의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B.C.6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현(晉賢) - 조둔(趙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영공(靈公)~성공(成公) 때의 대부. 조최(趙衰)의 아들.
B.C.654~B.C.6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진현(陳玄) - 역현광(易玄光)
먹의 의인화된 명칭. 보통 소나무 재로 먹을 만들기 때문에 송자후(松滋侯)라 칭함. 종이의 저지백(楮知白), 붓의 모원예(毛元銳), 벼루의 석허중(石虛中)과 함께 문방사우(文房四友)로 일컬어짐.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진형중(陳瑩中)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호(陳豪) - 진등(陳登)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지모가 출중하고 해박한 지식을 지녔으며 광릉 태수(廣陵太守)와 동성 태수(東城太守)를 지냄. 자신을 크게 자부하여 손님은 아래에 있는 침대에서 자게 하고 자신은 위에 있는 큰 침대에 누웠다 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황(秦皇)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황제(秦皇帝)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회지(秦會之) - 진회(秦檜)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남침을 거듭하는 금(金)에 대처하여 금과 남송이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영유하기로 합의함. 정권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억압하여 간신으로 낙인찍힘.
1090~11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효(震孝) - 이진효(李震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참봉(參奉) 이면(李勉)의 아버지이며, 정헌(靜軒) 이기(李巙)의 장인으로, 송라도 찰방(松羅道察訪)과 충익부 도사(忠翊府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진후(晉侯)@여공 - 여공(厲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경공(景公)의 아들로, 정(鄭) 나라와 초(楚) 나라를 격퇴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교만하고 포악하여 무도한 짓을 자행하다가 대부 난서(欒書)와 순언(荀偃) 등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함.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후(晉侯) - 도공(悼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572~B.C.558. 14세에 즉위한 뒤 국가 대정(大政)을 총괄하고 인재(人才)를 등용하여 초(楚) 나라를 꺾고 천하의 패자(覇者)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후(晉候) - 양준(楊駿)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장인이며,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의 아버지. 무제가 죽고 혜제(惠帝)가 즉위하자, 국정을 도맡아서 자기의 친당(親黨)만을 등용하여 정권을 전횡하다가, 가후(賈后)에게 미움을 받아 삼족(三族)이 멸하게 됨.
?~2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진후(秦侯)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후(鎭厚) - 민진후(閔鎭厚)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閔鎭遠)의 형.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1659~172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진후(陳侯) - 진평(陳平)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 처음에는 항우(項羽)를 따랐으나 후에 유방(劉邦)을 섬겨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우고, 고향의 호유후(戶牖侯)에 임명됨. 그 후 주발(周勃)과 함께 여씨(呂氏)의 난을 평정한 후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진후(陳侯)@선공 - 선공(宣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왕. 재위 B.C.692~B.C.648. 환공(桓公)의 아들이자 장공(莊公)의 아우이며 목공(穆公)의 아버지. 총희(寵姬)가 낳은 아들 관(款)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태자(太子)인 어구(禦寇)를 죽임.
?~B.C.6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후산(陳后山)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진휘(晉暉) - 강진휘(姜晉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강종경(姜宗慶)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ㆍ선전관(宣傳官)을 지냈지만 30세의 나이로 요절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흥군(晉興君)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희원(眞希元)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희이(陳希夷) - 진단(陳摶)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의 도사. 한(漢) 나라 위백양(魏伯陽)이 만든 태극도(太極圖)가 그에게 전수되고, 다시 여러 사람을 거쳐 주돈이(周敦頤)에게 전해졌다고 함.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질(垤) - 이질(李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左議政) 이원(李原)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칙(李則)의 아버지로, 한성부 소윤(漢城府少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질(晊) - 나질(羅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나사선(羅士愃)의 아버지로, 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질(洷) - 유질(柳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함안 군수(咸安郡守)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질(礩) - 권질(權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장인.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사림파가 쫓겨날 때 아우 권전(權磌)이 장살(杖殺)되면서 그도 예안(禮安)으로 유배되었음.
1483~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질(礩)@김질 - 김질(金礩)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의 단종(端宗)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死六臣)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참여함.
1422~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